공공 및 금융 해킹 사건과 침해사고
• 방송통신사무소 공고(제2025-78호): 과태료 고지서 반송 문제로 공시송달 진행, 행정상 주의 필요.
• SKT 해킹 사태 여파와 롯데카드 해킹 사고 발생 – 1.7GB 데이터 유출 및 악성코드 감염 등 금융권 전반에서 보안 위험이 재조명되고 있음.
• 금융권 보안 적색등 경보와 함께, 해킹 노출 사건 및 랜섬웨어 공격 신고 건수가 상반기 1천 건을 넘어 보안 관리와 침해사고 대응 체계 강화가 시급함.
• 최근 해킹 공격이 내부 파일 유출, 무단 악성코드 침투 및 서버 취약점 패치를 미흡한 시스템을 노리고 있어 금융 및 통신업계의 보안 감사와 보안 패치 관리가 중요함.정부, 국제 동향 및 기업 대응
• 정부는 KT·LGU+ 해킹 사고 여부를 분석 중이나 해당 업체들은 침해 사실 부인, 정확한 사실관계 파악과 신속한 보고 체계 마련이 필요함.
• 체코가 AI와 양자기술 등 신기술을 포함한 사이버보안 동맹을 한국에 공식 제안하는 등 국제 협력이 확대되고 있어, 보안 전략 수립 시 국제 동향과 동맹 강화에 주목해야 함.
• 통신업계에서는 북한 해커 ‘김수키’ 등 외부 위협에 의한 공격 시나리오가 지속적으로 보고되는 만큼 물리·네트워크 보안을 동시에 강화하는 조치가 요구됨.침해사고 및 최신 악성코드, 취약점 동향
• 랜섬웨어와 해킹 공격이 급증하고 있으며, 특정 악성코드(예: TinkyWinkey 키로거)의 고도 위장 및 데이터 탈취 기능이 주목됨.
• HashiCorp Vault의 CVE-2025-6203 및 HCSEC-2025-24 취약점, Mobile Security Framework(MobSF 4.4.0) 취약점 등 주요 취약점이 공개되어, 보안 관리자는 신속한 패치 및 점검 계획을 마련해야 함.
• “Core appsettings.json 파일 내 Azure AD 자격증명 노출” 등 내부 설정 오류 사례도 언급되어, 내부 보안 감사와 설정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됨.사이버보안 도구 및 오픈소스 프로젝트 동향
• GitHub에서 KeePassXC(암호관리), Nuclei(취약점 스캐너), Single Sign-On Multi-Factor 포털, OpenZeppelin Contracts(스마트컨트랙트 보안) 등 다양한 보안 도구와 스크립트가 활발히 업데이트되고 있음.
• 최신 Wireshark 4.4.9 릴리스와 HTTP/1-2-3 웹 서버(자동 HTTPS 지원) 등 보안 및 네트워크 분석 도구의 업데이트도 관리자가 참고할 중요한 자원임.
• OWASP Cheat Sheet Series 및 “Awesome Lists” 등 해커, 펜테스터와 보안 연구자들이 공유하는 자료는 내부 보안 교육과 가이드라인 마련에 활용 가능함.AI와 보안 기술 융합, 제로트러스트 및 암호 해제 대책
• AI 기술을 접목한 보안 솔루션과 ‘패스워드리스 얼라이언스 포럼’ 등 제로트러스트 인증 관련 행사가 개최되며, AI 보안 전문기업들의 주가 급등과 함께 보안 시장 판도 변화를 예고함.
• Microsoft는 Azure 포털 등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해 MFA를 의무화하며, AI 기반 보안 솔루션 도입 추진 및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정리(Edge, Chrome Editor 확장 종료 예정) 등 보안 인증 강화에 나섬.
• 최신 AI 응용 사례와 함께, AI 에이전트 사용 시 계정 탈취 위험 증가 등 내부 보안 프로세스 검토와 보안 정책 강화가 필요함.IoT 및 소비자 기기 보안 이슈
• 일부 로봇청소기에서 카메라 취약점이 발견되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제기됨.
• 중국산 로봇청소기와 관련해 개인정보 유출 및 원격 제어 취약점이 보고됨에 따라, 공급망 보안과 소비자 기기 보안 점검 강화 필요.
• 드로퍼 앱의 악성코드 배포 방식 변화와 함께, IoT 보안 취약점이 확대되어 관리자가 관련 제조사와 협력한 보안 점검을 강화해야 함.해외 해킹 사례 및 피싱, 대규모 DDoS 공격
• Fox-IT와 NCC Group이 라자루스 계열의 해킹 그룹을 추적하는 등, 금융 및 암호화폐 관련 해킹 위협이 지속됨.
• Cloudflare는 11.5Tbps 규모의 DDoS 공격을 자동 방어하며, 글로벌 사이버 위험이 얼마나 고도화되고 있는지를 시사함.
• OneDrive 문서 공유 알림 등을 악용한 스피어피싱 캠페인과, WhatsApp 대상 최신 사기 수법, SSL VPN·RDP 노출 공격 등 다양한 해킹 시나리오가 등장하고 있어 경계와 보안 교육이 필수임.보안 행사, 워크숍 및 산업 협력 동향
• CISO 역량강화 워크숍, 충청 사이버보안 콘퍼런스, 패스워드리스 얼라이언스 포럼 등 다수의 보안 관련 행사와 기술 포럼에서 최신 위협 대응 사례와 협력 방안이 공유됨.
• 국내외 보안 컨퍼런스 및 워크숍(서울시 정보보호, 의료 AI 보건의료인 교육사업, 국방 무인이동체 사이버보안 검증 테스트베드 등) 소식을 참고하여, 관련 교육 프로그램과 내부 훈련 계획 수립이 권장됨.참고 및 추가 최신 정보
• GitHub의 여러 최신 보안 도구 프로젝트 페이지와 오픈소스 자료, Wireshark, Cloudflare, Palo Alto Networks, Microsoft, Zscaler 등 주요 보안 관련 기업의 공식 발표 및 보안 권고자료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 각종 정부 공고, 금융감독원 및 전문 매체(강석오, 김선애, 조재호 등 기자)의 보도자료를 통해 사건의 전개 상황과 대응 정책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
• 국제 사이버보안 동맹 및 협력, AI 보안 기술 동향(체코, 유럽 사이버보안 시장 진출 사례) 등도 보안 전략에 반영해야 함.
보안관리 담당자로서는 금융·통신 분야의 해킹 공격 및 내부 취약점, 최신 악성코드와 취약점 대응, AI와 제로트러스트 등 차세대 보안 기술 도입, 그리고 IoT 및 소비자 기기 보안 위험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최신 도구와 오픈소스 자원, 정부와 국제 협력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신속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