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kr 날으는물고기·´″°³о♡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Blockchain AI NationState Cybersecurity Updates

• Malicious blockchain payloads – Recent findings report that malicious payloads stored on Ethereum and BNB chains are extremely resilient to takedown efforts. Security managers should note that threat actors are now leveraging immutable blockchain properties to hide malware and evade remediation.

• AI in security operations – Several reports indicate that AI is increasingly used to strengthen security teams. For example, Fortinet’s focus on global cybersecurity and new initiatives demonstrate that integrating AI into threat detection and incident response is becoming essential. Additionally, Microsoft’s Digital Defense highlights how cybercriminals are weaponizing AI to speed up malware development and sophisticated phishing, raising the bar for defense measures.

• Cybersecurity training and talent development – Multiple notices from the Korean 기관, including the 한국전파진흥협회’s recruitment of talents for the ‘시스코 보안 아카데미’,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tinuously upskilling cybersecurity professionals. KOSA’s events and workshops (including those focused on medical device cybersecurity managed by KTL) also stress the value of staying updated with the evolving threat landscape.

• Open-source tools and GitHub projects – A number of open-source initiatives are highlighted: – Infisical provides secrets, certificates, and privileged access management. – Tools like Gitleaks and leaked credential analysis projects offer methods to detect exposed secrets. – OpenZeppelin Contracts remains a key library for secure smart contract development. – Additional projects include an OSINT tool for website analysis, container and Kubernetes vulnerability scanners, and multi-platform web servers with automatic HTTPS. Security managers should regularly review and incorporate these open-source resources to enhance internal audits and incident response.

• Emerging blockchain and nation-state threats – Several articles report North Korean threat actors pioneering techniques such as “EtherHiding” and hiding malware within blockchain transactions. Intelligence from GTIG and reports on the WaterPlum Cluster B and OtterCandy RAT highlight a shift toward using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networks as covert channels. Such techniques, along with service-form ransomware attacks and crypto infrastructure compromises, underscore the need for cross-domain monitoring and threat intelligence sharing.

• Government systems and public sector breaches – Multiple reports document hacking traces in critical public systems (like the 온나라 and GPKI platforms) and note urgent measures by 국정원. Recent instances of government network breaches, including those uncovered through deep inspections by national agencies, call for reinforced perimeter defenses and rigorous patch management, especially in high-risk public infrastructure.

• Vendor patch releases and product vulnerabilities – Key vendor updates include: – F5 Networks’ quarterly security patches following incidents that left over 269,000 devices exposed. – Cisco’s disclosure of a serious IOS/IOS XE vulnerability that may allow remote code execution or crashes, and additional risk of DoS and XSS in desk and IP devices. – VMware’s release of Workstation 25H2 and Fusion 25H2 with virtualization improvements. – A critical vulnerability in WatchGuard Firebox appliances allowing remote attackers to execute arbitrary code. – A newly discovered Microsoft flaw in its Rust-based GDI kernel component. – Cisco’s critical SNMP Linux rootkit exploit (CVE-2025-20352) highlighting the evolving misuse of technologies such as eBPF, as seen in the LinkPro Linux rootkit. Security management must prioritize timely patching, vulnerability scanning, and maintaining up-to-date product inventories.

• Emerging threats to financial and communications sectors – Reports cover several angles: – Ransomware groups attacking over 30 Korean companies have organized and evolved their methods. – ATM and financial phishing campaigns (with a September phishing email trends report) continue to target both large financial institutions and SMEs. – KT’s discovery of additional illegal base station IDs stresses threats within the telecom domain. Continuous risk assessments and incident response preparedness in financial governance are essential.

• Industrial and IoT security concerns – News of a deep-learning AI IP camera by 씨프로 and emphasis on medical device cybersecurity workshops by KTL reflect broadening attack surfaces, including industrial IoT and healthcare sectors. The move toward global regulatory compliance and support for domestic medical device companies underscores an urgent need for dedicated IoT security protocols.

• Cybercriminal campaigns and social engineering – Reports mention fraudulent support messaging via Zendesk ticket submission loopholes and TikTok-based malware delivery. Additionally, alerts such as 누리랩’s “9월 피싱주의보” documenting messenger impersonation and scam sites suggest increased social engineering risks. Security managers should enhance user education and monitor emerging scam techniques across diverse platforms.

• Broader industry trends and strategic initiatives – Additional updates involve: – Collaborations between Salesforce, OpenAI, and Anthropic, and Oracle’s OCI 제타스케일10 AI cluster demonstrate industry moves toward AI-driven data center and network technologies. – Arm’s partnership with the Open Compute Project and a $40 billion data center acquisition by BlackRock reveal strategic shifts that could impact technology supply chains. – Regional differences in AI regulation and IT leadership challenges, as well as cybersecurity startup investment slowdowns, suggest that market dynamics and regulatory adaptations will be key considerations. – Academic and open-source initiatives, such as collections of computer science courses and appsec resources, provide useful materials for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 Additional technical and intelligence highlights – Security research has shown that: – Advanced satellite interception demonstrations (using receivers costing as little as $800) could compromise global communications. – A detailed Linux rootkit (LinkPro) using eBPF indicates that attackers are employing next-generation OS-level exploitation techniques. – New campaigns targeting Ukrainian military personnel by groups like APT28 and phishing campaigns exploiting Microsoft’s and Cofense’s findings emphasize that nation-state and organized cybercrime remain persistent threats.

Every point, from blockchain-based stealth malware to the newest vendor patches and emerging open-source tools, signals that cybersecurity management requires a holistic, multi-layered approach—integrating continuous monitoring, prompt patch management, employee training, and threat intelligence sharing to effectively counter this rapidly evolving threat landscape.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Global Cybersecurity Updates: Nation-State Infiltrations, Critical Vulnerabilities, and AI-Driven Defenses

• F5 Networks breach – A sophisticated nation‐state actor infiltrated F5’s environment, exfiltrating proprietary BIG‑IP source code and confidential vulnerability data. Users face risks such as supply‐chain attacks, lost credentials, and exploitation of BIG‑IP flaws (including the identified privilege escalation issue ID 2023‑1026). Security managers should review patch management, reassess third‑party component risk, and verify incident response plans.

• National infrastructure and recovery challenges – A report shows only 37.2% of national resources have been recovered, with immediate restoration of several interlinked systems (“7전산실”) remaining difficult. This underlines the need for resilient continuity planning and robust incident management in government systems.

• Cybersecurity conferences and AI tools – At the 2025 부산 사이버보안 콘퍼런스, industry experts (including 램파드) spotlighted AI packet analysis and anomaly detection. Other sessions include AI-based cyber innovation conferences hosted by 주택금융공사 and discussions on leveraging AI as a competitive security advantage. Security leaders must keep abreast of emerging AI analytics for threat detection and integrate automation into their defenses.

• Critical vulnerabilities in widely used software – Unity’s Linux builds are at risk due to a runtime security flaw (CVE-2025-59489). Microsoft reported zero‑day issues leading to enhanced security measures in Edge’s IE mode and disruption of Windows Server 2025’s Active Directory after October updates. Additionally, two new vulnerabilities in Microsoft BitLocker (CVE‑2025‑55333 and CVE‑2025‑55338) may allow attackers to bypass encryption safeguards. Prompt patching and environment hardening are essential.

• Exploitation campaigns and APT activities – – A Brazilian banking Trojan (dubbed “Maverick”) is spread via WhatsApp malware campaigns. – Microsoft disrupted a major campaign by the Vanilla Tempest group. – An operation using Windows Scheduled Tasks and DLL side‑loading deployed the ValleyRAT backdoor via spear‑phishing. – Another campaign by the Famous Chollima subgroup of Lazarus employed blended JavaScript tools (BeaverTail and OtterCookie). – The Mysterious Elephant APT group is active against government and foreign entities. Security managers must enhance threat intelligence, monitor spear‑phishing attempts, and collaborate with threat research communities.

• Supply‑chain, credential leakage and emerging vulnerabilities – Latest reports stress vulnerabilities in passkey synchronization, and GitHub tools (Gitleaks, Nuclei, SSO/MFA portals, and repository security frameworks) are increasingly used to find leaked credentials, misconfigurations, secrets, and vulnerabilities in containers, Kubernetes, and cloud infrastructures. Integration of such open‑source scanning tools into security operations can help reduce risk.

• Critical vendor and library flaws – – A severe remote code execution vulnerability (CVE‑2025‑54539) in Apache ActiveMQ’s .NET client library endangers developers. – New exposures in Samba’s WINS server hook script may allow unauthenticated remote code execution on domain controllers. – A critical Adobe Experience Manager Forms vulnerability has been added to CISA’s Known Exploited Vulnerabilities catalog; immediate patching is advised. Vigilance in monitoring vendor advisories and timely application of patches is crucial to prevent exploitation.

• Financial and criminal cyber threats – – 캄보디아 online human trafficking and scam syndicate leadership has faced a major seizure (20조원 in Bitcoin by the US DOJ). – Netcraft has identified a suspicious URL targeting GMO Aozora Bank using legacy Basic Authentication formatting. – The Qilin ransomware RaaS operation is intensifying its extortion efforts through a discreet network of bulletproof hosting providers. Security teams in the financial sector should strengthen monitoring of anomalous transactions, perform continuous penetration testing, and enhance email and web filtering.

• GitHub and open-source security contributions – Numerous repositories and projects have been highlighted, including: – Tools for finding and analyzing leaked credentials (Gitleaks). – Nuclei, a customizable vulnerability scanner built on a YAML‑based DSL to tackle trending vulnerabilities. – Official repositories for NGINX, an intercepting HTTPS proxy, and multi‑platform web servers that streamline secure development and deployment. These community tool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vulnerability research and proactive scanning.

• Government, industry, and academic initiatives – – 공공기관 are accelerating cyber defense measures (“국가망보안체계”) to counter repeated attacks. – 다수의 보안공모전 및 교육 프로그램 have been announced, including the 인포스틸러 동향 보고서 for September, 정보보호 인증제품 조달 공고, and 교통안전공단’s 취약점 발굴 contest. – 국산 데이터센터 장비 및 AI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개발 등 기술 혁신을 통한 보안 강화 사례가 주목된다. Security managers should monitor such initiatives for potential collaboration, technology transfer, and workforce skill development.

• Hardware and networking developments with security implications – – AMD and 메타 have unveiled the ‘헬리오스’ rack-scale platform. – 티피링크 has achieved ‘와이파이 8’ connection testing success. – 주요 네트워킹업체 are advancing AI‑optimized Ethernet technologies (ESUN alliance) that may influence secure network architecture design. Keeping hardware supply chains secure and integrating advanced network capabilities is key.

• Emerging cyber risk management and legal accountability – In the wake of high‑profile attacks (e.g. 롯데카드 hack and Capita cyber attack leading to a £14 million penalty by the UK ICO), and expert opinions emphasizing that “최종적 방어 실패 책임은 CEO에 있다,” organizations are urged to upgrade integrated security strategies (including microsegmentation, reducing ransomware dwell time, and lowering insurance premiums by cutting attack windows by up to 33%) as a comprehensive risk management measure.

• Additional industry insights and research – – Reports on Mobile Security & Malware and Ransom & Dark Web issues provide further intelligence on threat trends. – A significant underground doxxing campaign targeting Lumma Stealer (Water Kurita) core members has been observed, leading to reduced activity and a migration to rival infostealer platforms. – New phishing scams impersonating LastPass and campaigns employing the PhantomVAI Loader (a multi‑stage .NET loader referred to by Unit 42) highlight the evolving tactics used in social engineering and advanced malware delivery. Security professionals must maintain updated threat intelligence feeds and adopt robust user awareness training.

• Emerging legal, outsourcing, and strategic issues – – 지사장 임명 소식, AI 물리보안 시장 강화, 그리고 K‑특허 분쟁 등은 업계의 기술과 법적 책임이 점점 더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CIO들을 위한 아웃소싱 전략 질문과 API ROI 재정의 등 기업 내부 보안 전략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This signals that legal, strategic, and operational aspects of cybersecurity are converging, requiring integrated board‑level oversight.

• New vulnerabilities and urgent advisories – – CISA’s urgent alerts regarding Adobe AEM remote code execution and other active exploitation techniques in Microsoft Windows underline the critical importance of swift remediation. – An emerging phishing campaign impersonating LastPass and suspicious techniques targeting high‑profile financial institutions call for increased employee vigilance. Staying current with CISA, vendor bulletins, and independent research findings is essential to prevent breaches.

Overall, these updates reinforce the rapidly evolving threat landscape—from sophisticated nation‑state infiltrations, newly identified software and hardware vulnerabilities, to AI and automation trends within the cyber defense domain. Security managers should integrate proactive threat scanning (using open‑source tools), continuous patch management, and strategic incident response planning into their operations, while also monitoring emerging legal and strategic issues in cybersecurity.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보안 취약점 AI 보안 멀티클라우드 개인정보 보호 해킹 위협 최신 동향

■ 글로벌 보안 취약점 및 패치 업데이트
– Microsoft의 10월 Patch Tuesday에서는 172개 보안 취약점(제로데이 포함)이 수정되었으며, Windows Remote Access Connection Manager의 치명적 제로데이(CVE-2025-59230)와 IIS 및 Windows Agere 모뎀 드라이버의 제로데이 취약점, UEFI 서명 쉘 취약점(Framework 랩톱 약 20만대 대상) 등이 신고되었다.
– 구글은 크롬 브라우저의 use‐after‐free 취약점 및 픽스내핑(Pixnapping) 기법—모바일 2차 인증 코드 탈취 위험—에 대해 긴급 보안 업데이트를 시행했다.
– Veeam, Fortinet(FortiOS, FortiPAM, FortiSwitchManager) 및 Cisco SNMP(CVE-2025-20352) 취약점 등 주요 보안 제품에서도 원격 코드 실행, 인증 우회, 루트킷 설치 등의 위험을 해소하기 위한 패치가 발표되었다.
– Microsoft IIS에서 임의 코드 실행이 가능한 심각한 취약점과 Rapid7 Velociraptor에 대한 CISA KEV 등록 등 공급망 위협도 주시할 필요가 있다.

■ 멀티클라우드와 Linux 환경 보안
– “Multi-Cloud Security Best Practices for Linux Environments”에서는 클라우드 기반 Linux 시스템의 보안 강화 방법과 Linux Kernel 취약점(2025년 CISA KEV 인사이트 활용) 대응 전략이 제시되었다.
– 금융분야 상용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보안 관리 참고서 및 보안 인력 부족 사례(LH 기록 등)는 클라우드 보안의 체계적 관리 필요성을 강조한다.

■ AI 보안 및 인증 혁신
– Sweet Security와 기원테크는 각각 Runtime Cloud·AI 보안 솔루션과 AI 기반 통합 보안 플랫폼을 발표해 랜섬웨어 대응 및 위협 탐지에 기여하고 있다.
– AhnLab 콘텐츠 센터에서는 기존 비밀번호 기반 인증의 한계를 지적하고 패스워드리스(Passswordless) 인증 도입 전략을 소개하며, AI 보안 자동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 Salesforce, NHN클라우드, 오라클 등 글로벌 IT 기업은 AI 에이전트 플랫폼 및 자율형 AI 레이크하우스 등 차세대 보안 및 데이터 통합 인프라를 공개하며 AI와 보안의 융합을 가속화하고 있다.

■ 해킹 공격과 악성 행위 동향
– 프로-러시아 해커 NoName057 및 중국 지원 APT 그룹 Flax Typhoon이 이스라엘 인프라와 ArcGIS 시스템 등을 대상으로 지속적 공격을 가하고 있으며, GhostBat RAT 캠페인은 WhatsApp, SMS, GitHub에 호스팅된 APK 등 다양한 경로를 이용해 악성 안드로이드 드로퍼를 전파하고 있다.
– 사이버 해커들이 트로이 목마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17,000명 이상의 개발자로부터 코드 탈취 및 암호화폐 채굴을 진행하는 사례도 보고되었다.
– 비공식 팀즈 다운로드 시 동반 설치되는 프록시웨어로 인한 네트워크 자원 유출 위험 및 해킹 사고로 인한 개인정보 대규모 유출(초보 해커에 의한 12만 연구자 피해, 금융·의료 분야 해킹 등)도 경고되고 있다.

■ 인프라 노후화와 내부 관리 체계 문제
– 관세청 보안장비 중 5대 중 1대, 총 97대 중 17대가 내용연수 초과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과기정통부와 국회에서는 서버 폐기 은폐 의혹 및 보안 관리 미흡 문제에 대해 수사와 질타가 이어지고 있다.
– LH와 금융보안원 관련 보도는 보안 인력 부족과 기존 인프라의 노후화로 인한 관리 취약점을 부각시킨다.

■ 개인정보 보호 및 관련 가이드라인
–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영향평가, 가명정보 처리, 자율규제단체 및 마이데이터 전송 절차 등 다수의 가이드라인과 안내서가 2025년 10월 업데이트되어 개인정보 유출 사고 발생 시 과징금 부과 및 책임 보장을 강화하는 흐름이다.
– 개인정보위 및 관련 기관은 개인정보 노출 방지와 사고 대응 매뉴얼 등의 최신 지침을 공개하며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 산업별 보안 동향 및 이벤트
– 금융권에서는 통합보안관제 고도화와 클라우드 보안 관리 참고서 발간을 통해 사이버 위협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SKT는 보안·AI 직군 신설 등 인재 채용을 통해 보안 역량을 보완한다.
– 국방보안 칼럼에서는 SDW 시대에 RMF 대신 SWFT 검증 체계 도입의 시급성을 지적하고 있으며, 고려대학교와 싸이터 ‘코마린’ 등에서는 해양·선박 수명주기 기반 사이버보안 솔루션과 해양사이버보안 워크숍이 개최되었다.
– 또한, 금융보안원과 쿠콘·예금보험공사의 공공 데이터 활용 및 IT 전시회, MOU 체결 사례 등 정부와 민간의 협력 사례가 다수 발표되었다.

■ 오픈소스 및 커뮤니티 동향
– GitHub에서는 누출된 크레덴셜 분석, Gitleaks, Nuclei(취약점 스캐너), OpenZeppelin Contracts 등 수많은 보안 관련 프로젝트가 활발히 운영되며 보안 연구자와 펜테스터들이 최신 취약점과 설정 오류, SBOM, 컨테이너 및 클라우드 구성의 보안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 또한, Single Sign-On Multi-Factor 포탈, TLS 인터셉트 프록시, 자동 HTTPS 제공 웹 서버, 해커 및 보안 연구자들을 위한 다양한 awesome list 등이 공유되며 커뮤니티 기반 보안 협업이 강화되고 있다.

■ 추가 최신 동향 및 대응 전략
– Microsoft는 Windows 10 지원 종료로 인한 전세계 사용자의 보안 취약점 노출 우려를 경고하는 가운데, 제조업 및 각종 인프라 분야의 랜섬웨어 공격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 텔레그램이 현대 해커 집단의 주요 조정 플랫폼으로 부상하는 연구 결과와, 영국 및 중동 지역에서 급증하는 사이버 공격 및 AI 기반 차세대 보안 솔루션 도입 사례도 주목할 만하다.
– Aiden의 랜섬웨어 대응 솔루션과 같은 클라우드 기반 복구 방안은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신속 대응 및 복구 프로세스 구축에 참고할 만하다.

보안관리 담당자로서는 위와 같이 다양한 취약점 공지, 패치 업데이트, 내부 인프라 노후화, AI 보안 솔루션 및 개인정보 보호 가이드라인 변화와 함께, 글로벌 해킹 동향과 공급망 위협, 그리고 오픈소스 기반 도구와 커뮤니티 협력 동향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대응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윈도우 업데이트 버그 해결, 사이버 공격 증가, AI·랜섬웨어 보안혁신 동향

• 윈도우 11 업데이트 후 종료 버그가 4년 만에 해결되었음 – 관리자들은 해당 패치 적용을 서둘러 사용자 시스템의 불안정 문제를 예방해야 함. • 새로운 디자인이 포스트 양자암호(Post-quantum) 대비를 위한 높은 기준을 제시 – 미래 암호체계와 관련한 제품 도입시, 보안 전환 전략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 • 국회 의원 김태년이 ‘사이버 보안 대응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정부와 기업 모두 보안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과 보완이 필요함. • 시놀로지와 디지탈지앤티가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대응 및 기업 데이터 생존 전략 관련 세미나를 개최 – 데이터 백업 및 복구 전략 강화가 요구됨. •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권한 없이 “Pixnapping” 공격을 실행할 수 있음 – 의심스러운 앱 설치 및 사용자 행태 모니터링 강화가 필수. • 에이치시티(HT)가 내달 6일 방산 분야 AI·사이버보안 시험평가기술 세미나를 개최 – 방산 및 국방 관련 보안 기술 동향을 미리 파악하여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함. • 의대 정원 복귀 및 기출문제 분석 등 시험 관련 취약점 보완 소식이 있으나, 보안 관련 관점에서는 내부 시스템 및 개인정보 보호 관리가 중요함. • 해외 사이버 일일동향과 “보안을 論하다-25” 시리즈에서 보안 위험 대응 시 소중한 자산 보호 우선순위에 대해 다룸 – 보안관리 담당자는 위험 평가 및 자산 분류에 주의. • GitHub를 중심으로 여러 보안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주목받고 있음:  – 유출된 자격증명을 찾고 분석하는 도구,  – API 설계·테스트·출시 시 필수 체크리스트,  – KeePassXC (크로스플랫폼 패스워드 관리자),  – Nuclei (YAML 기반 취약점 스캐너),  – OpenZeppelin Contracts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라이브러리),  – Single Sign-On Multi-Factor 포털 및 여러 취약점 진단 도구 등
→ 관리자들은 최신 오픈소스 보안 도구와 취약점 스캐너를 활용해 지속적인 시스템 점검 및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얼리헬스 그룹이 걸프 지역의 사이버보안 기업 CYB3R를 인수 – 글로벌 보안 시장의 변화에 따른 M&A 동향과 기술 융합 가능성을 검토해야 함. • 관세청이 보유한 보안장비 중 18%가 노후화되어 공격이 6배 증가한 상황이 지속됨 – 정부기관 및 대형 기관은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및 예방적 유지보수에 각별히 신경 쓸 필요. •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페스카로가 모빌리티 사이버보안 기술교육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부산시와 정읍시에서는 각각 사이버보안 콘퍼런스와 보안 실태 평가에서 우수한 성과를 기록 –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보안 역량 강화 노력을 주목. • Dell, Unity, Figma MCP Server 등 주요 IT 제품에 보안 업데이트 권고가 발표됨 – 관련 제품 사용 기업은 즉시 업데이트를 실시하여 취약점 악용 위험을 줄여야 함. • 오픈마루가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클라우드지원서비스 제공기업으로 선정됨 – 클라우드 전환 및 계약제도 변화에 따른 보안 정책 재정비 필요. • 레드햇 해킹 사례를 분석하며 공급망 보안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한편, 와이파이 신호를 통한 개인 식별 이미지 생성 기술이 공개됨 – 기업 네트워크 및 개인 정보 보호 대책 강화가 요구됨. • 라쿠텐 마리타임이 RINA 사이버보안 인증을 획득하여 유럽 시장에서의 신뢰성을 높였으며, 정일영 의원과 국감에서는 관세청 보안장비 노후화와 사이버 공격 증가 문제를 재차 강조 – 공공 및 민간 부문 모두 장비 교체 및 최신 보안 솔루션 도입을 고려해야 함. • 해킹 사고와 관련해 롯데카드, KT, SKT 등 대형 기업이 국감 및 해킹사고 수습에 대한 책임을 논의 중이며, 조좌진 대표 등은 집단 소송 및 보안 투자 계획을 밝힘 – 피해 발생 시 사후 대응 체계 및 고객 신뢰 회복 전략 마련이 필요. • 스노우플레이크가 ‘금융 특화 코텍스 AI’를 출시하고, 세일즈포스와 엔비디아도 각각 에이전틱 AI 전략 및 ‘그리드 투 칩’ 전략을 내놓으며, AI가 보안 및 IT 경영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재조명함 – IT 및 보안담당자는 AI 융합 보안 솔루션 도입 및 미래 변화에 대한 대비를 강화해야 함. • Ivanti에서는 Endpoint Manager(EPM)에서 권한 상승 및 원격 코드 실행을 가능케 하는 13종의 취약점을 공개 – 즉각적인 패치 확인과 적용이 필요함. • 사례 연구와 인터뷰를 통해 미국 엔로헬스의 디지털 전환 전략 및 AI 위협에 관한 목소리가 전해졌으며, 송파 ICT 보안클러스터 등 보안 커뮤니티와 공공기관 간 협력 사례도 주목됨. •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RMM) 도구를 악용하여 초기 침투를 시도하는 위협 행위 및 새롭게 공개된 sudo 취약점(PoC exploit) 등이 등장함 – 내부 사용자 권한 관리와 플랫폼 점검을 강화해야 함. • SK쉴더스가 ASM과 모의해킹 전문성을 결합한 원스톱 보안 점검 서비스를 선보였으며, 사이버보안 국감에서 관세청 장비의 노후화, LotteCard와 KT 해킹 사건 등이 집중 조명됨 – 종합적인 보안 진단 및 컨설팅 서비스 도입을 고려해야 함. • 미래암호워크숍, 부산 사이버보안 콘퍼런스 등 다수의 보안 관련 세미나와 행사가 예정되어 있어 최신 이슈와 기술 동향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할 필요가 있음. • GitHub 리포지토리와 커뮤니티에서는 OpenAI의 Guardrails 프레임워크 취약점(프롬프트 인젝션)과 Clevo의 인텔 부트가드(private key 유출), SAP NetWeaver AS ABAP 취약점(CVE-2025-42902), RHEL의 Vim Moderate Code Execution 취약점(CVE-2025-53905) 등 다양한 취약점 및 공격 기법에 대해 경고하고 있으므로, 신속한 취약점 분석 및 패치 대응 전략 수립이 중요함. • 최신 위협 그룹 TA585의 정교한 공격 전술, npm 생태계를 악용한 피싱 캠페인, Discord 웹훅을 이용한 악성 패키지 유입, 콜롬비아 사용자 대상 SVG 파일 피싱 등 새로운 공격 기법들이 다수 보고됨 – 보안 시스템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위협 인텔리전스 공유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 PolarEdge라는 이름의 새로운 봇넷 임플란트가 자체 TLS 서버와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사용해 침투를 시도하며, CLEVO의 부트 가드 키 노출과 같은 사례가 발생 – 로컬 시스템부터 조직 전체 네트워크까지 보안 취약점 진단과 모니터링 체계를 재점검해야 함. • EU 집행위원회가 고위험 AI 시스템의 중대한 사고보고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을 공개하고 의견수렴 중이며, Invoicely와 Elastic Cloud Enterprise에서 대규모 데이터 노출 및 템플릿 엔진 인젝션 취약점이 보고됨 – 규제 변화 및 클라우드 보안 업데이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 해킹 사건과 의료기관 해킹으로 127만 명 이상의 환자 데이터가 유출된 사례, 그리고 OpenAI와 Sora 2 AI를 사칭한 피싱 캠페인 등도 추가되어, 전반적인 사이버 공격 위협이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함. • 해양 사이버보안 분야에서는 고려대 ‘해양사이버보안’ 프로그램 등이 선도적 역할을 하며, AI 보안 자동화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급증 중임 –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최신 방어 기술을 도입할 필요가 있음. • 마지막으로, 케미라 워터 인덱스 2025와 같이 비전통 분야까지 보안 취약점이 연구되고 있으며, 차세대 보안 기술 및 위협 분석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투자, 기술 교육이 필수적임.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보안 위협과 대응 전략 사이버 공격 취약점 AI 보안 혁신

• Discord 웹훅 남용 및 오픈소스 패키지 – 위협 행위자들이 Discord 웹훅을 은밀한 C2(명령 및 제어) 채널로 악용해 비밀, 호스트 정보, 개발자 데이터를 탈취하는 기법이 증가하고 있음. 보안관리 담당자는 서드파티 라이브러리 및 오픈소스 코드에 포함된 웹훅 호출에 대한 모니터링과 이상 징후 탐지가 필요함.

• 국내 통신·카드사 보안사고 및 정보유출 – 2025년 대한민국에서 통신사와 카드사 보안사고로 대규모 정보 유출이 발생했으며, 롯데카드 해킹사건과 관련해 금융감독원의 보안 부실이 지적됨. 이와 함께 LH 및 국토부 산하기관에서 정보 시스템 취약점이 다수 보고되었음. 관리자는 관련 사고 대응 프로세스, 취약점 점검 및 보안 인증 체계 강화 방안을 검토해야 함.

• VPN 및 SSL 취약점 – 소닉월 SSL VPN 제품에서 대규모 침입 및 비밀번호 탈취 사례가 발생했고, 관련 대상 공격 캠페인이 다수 탐지됨. EDR(침입 탐지 및 대응) 체계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과 함께 IPsec VPN 서버 구축 스크립트 관련 내용도 있으며, 보안 담당자는 VPN 관련 취약점 패치와 로그 모니터링, 계정 관리 강화를 우선 검토해야 함.

• 주요 보안 오픈소스 및 GitHub 프로젝트 –

  • Infisical, eBPF 기반 네트워킹/보안/관찰성 도구, Nuclei 취약점 스캐너, Single Sign-On 멀티팩터 인증, IPsec VPN 서버 구축 스크립트, OWASP 치트시트 시리즈, 자동 HTTPS 적용 웹 서버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활발히 활동 중임.
  • 이러한 도구들은 취약점 스캔, 애플리케이션 보안 강화, 인프라 모니터링에 유용하므로 최신 버전과 커뮤니티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함.

• 기업 및 기술 이벤트, 컨퍼런스 – 부산 사이버보안 콘퍼런스, 정읍시 사이버보안 실태 평가(5년 연속 최우수), 통신3사 CEO 줄소환 및 국정감사, 국내 최대 AI 콘퍼런스(SK AI Summit 2025) 등 주요 행사와 정부/지자체 주도의 보안 점검 및 혁신 추진 소식이 잇따름. 각 기관의 보안 역량 강화 및 최신 위협정보와 기술 동향을 반영한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함.

• AI와 보안의 융합 – 구글 클라우드의 ‘제미나이 엔터프라이즈’, 오픈AI의 코덱스 출시, AI 기반 SQL 자동 튜닝, 매트랩 코파일럿, 금융권 AI 솔루션 등 AI 기술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하는 다양한 시도가 보임. 보안관리 담당자는 AI 기반 위협 탐지, 예측모델 및 자동화 솔루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운영체제 및 플랫폼 취약점 –

  • Microsoft Defender for Endpoint의 클라우드 통신 악용, Windows 11 “업데이트 후 종료” 오류 수정, Microsoft Edge의 IE 호환 모드 취약점 보완 등 주요 OS 및 보안 제품에 관한 이슈가 보고됨.
  • 또한 Happy DOM JavaScript 라이브러리의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5-61927) 및 Autodesk Revit 플러그인 취약점 등도 언급됨.
  • 해당 취약점들에 대한 신속한 패치 및 보안 설정 강화가 필요함.

• 악성코드 및 해킹 캠페인 –

  • McAfee가 발견한 Astaroth 캠페인, 새로운 사이버 범죄 집단(Scattered Lapsus$ Hunters)의 대규모 데이터 유출 시도, WhatsApp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브라질 내 공격 등이 보고되었음.
  • 또한, 북한 위협 행위자의 npm 패키지 악용(50,000회 이상 다운로드) 공격과 TwoNet 해킹 그룹의 OT/ICS 시스템 침입 사례 등 다양한 악성 행위가 존재하므로, 멀티팩터 인증, 네트워크 세분화, 이상 징후 감시를 강화해야 함.

• 최신 보안 도구 및 연구 동향 –

  • EDR-Freeze와 같이 엔드포인트 보안 제품을 일시 중단시키는 PoC 도구, Microsoft Defender, McAfee, Oracle의 취약점 경고, 그리고 다양한 보안 교육 및 암호모듈 검증 전문교육(예: 국내 암호모듈검증 심화과정)이 소개되고 있음.
  • 보안 담당자는 최신 위협 인텔리전스와 교육 과정을 적극 활용해 내부 보안 역량 강화에 힘써야 함.

• 기타 기업·산업 동향 및 AI 기술 응용 –

  • 의식주컴퍼니의 드라이클리닝·빨래 합포장 로봇 시스템 상용화, 버카다 및 인트라링크의 임원 재임명 등 IT, AI, 스마트제조, 데이터센터 관련 다양한 산업 소식이 발표되고 있으며, 보안과 IT 인프라 전반의 안정성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음.
  • EU의 AI 우선 전략과 칼럼에서 언급된 기업 스토리지 전략 변화 등 글로벌 기술 동향도 주시해야 함.

• 해외 법 집행 및 사이버 범죄 시장 –

  • 스페인 법 집행기관이 AI 기반 피싱 네트워크를 해체하고 주요 해커 개발자 'GoogleXcoder' 체포에 성공한 사례가 있음.
  • 또한, 러시아 시장에서 RDP 접근 권한 판매를 시작으로 온라인 사이버 범죄 시장이 활발해지고 있어, 외부 위협에 대한 국제 협력과 정보 공유가 요구됨.

• 산업 제휴 및 제품 출시 –

  • 기원테크의 AI 기반 통합 보안 플랫폼 'EG-Platform'으로 랜섬웨어 선제 방어, 시놀로지와 파트너사의 랜섬웨어 대응 세미나, 오마다의 무선 브릿지 솔루션 출시, 각종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신규 제품 출시 소식이 다수 있음.
  • 신기술과 제품에 대한 테스트 및 적용 검토가 보안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음.

전반적으로 보안관리 담당자로서는 공격 표면 확장, 취약점 신속 대응, AI 및 자동화 기반 보안 솔루션 도입, 그리고 글로벌 및 국내 보안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신속한 패치 및 보안 교육, 내부 감사 강화 등을 통해 조직의 보안 수준을 향상시켜야 함. 최신 위협 인텔리전스와 기술 혁신 사례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관련 행사 및 연구 성과를 반영한 전략 수립이 요구됨.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보안 업데이트 제로데이 취약점 랜섬웨어 위협 사이버보안 국감 현황

■ 시놀로지 DiskStation Manager 7.3 출시
– 시놀로지는 DSM 7.3 버전을 공개하며 안전성, 신뢰성, AI 혁신 기능을 모두 탑재했다고 발표함. 보안관리 담당자는 최신 운영체제 업데이트 적용과 강화된 보안 설정, AI를 활용한 시스템 이상 징후 탐지 및 관리 기능을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제로데이 취약점 및 협업 플랫폼 공격 경고
– 미국 CISA는 협업 플랫폼 ‘짐브라’에서 이메일 열기만으로 발생 가능한 XSS 제로데이 취약점을 경고함. 공격 시나리오가 단순 사회공학 기법을 통해 진행되므로, 사용자는 의심스러운 메일에 주의하고 보안 패치 및 웹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함.

■ 데이터 유출 협박 및 기업 대응
– 세일즈포스는 데이터 유출 협박에 대해 몸값 지불 없이 단호한 입장을 보임. 이는 기업들이 사이버 공격자들의 협박 수법에 대처하는 새로운 전략을 예고하며, 내부 데이터 보안 프로세스와 침해 사고 대응 체계 재점검의 필요성을 시사함.

■ GitHub 보안 및 모니터링 오픈소스 프로젝트
– “Find, verify, and analyze leaked credentials”: 유출된 자격 증명 정보를 탐색·검증하는 도구로, 침해사고 분석 및 위협 인텔리전스에 유용함.
– SQL 기반의 운영체제 계측 및 모니터링 도구: 로그 분석과 실시간 트래픽 모니터링을 통해 공격 징후를 조기에 탐지할 수 있음.
– KeePassXC: 크로스 플랫폼 패스워드 관리 툴로, 안전한 비밀번호 저장 및 관리를 지원함.
– Nuclei: YAML 기반 DSL을 이용한 맞춤형 취약점 스캐너로, 애플리케이션, API, 네트워크, DNS, 클라우드 구성 전반의 취약점을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음.
– 싱글 사인온 및 다중인증 포털: OpenID Certified™ 인증을 받은 이 프로젝트는 사용자 인증 및 접근관리 강화에 기여하며, 연동 환경에서도 신뢰성을 보장함.
– OpenZeppelin Contracts: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을 위한 라이브러리로, 블록체인 및 디파이 서비스를 운영하는 조직에 필수적임.
– IPsec VPN 서버 구축 스크립트: 다양한 VPN 프로토콜(IPsec/L2TP, Cisco IPsec, IKEv2)을 포함하여 안전한 원격접속 환경 구축에 도움을 줌.
– 인터넷 트래픽 모니터링 도구: 네트워크 트래픽을 손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잠재적 위협 탐지에 유용함.
– 다중 플랫폼 HTTP/1–2–3 웹 서버 및 자동 HTTPS: 최신 프로토콜 지원과 보안 연결의 자동화를 통해 웹서버의 보안 강화에 기여함.
–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페이로드 및 우회 기법 모음: 펜테스트와 CTF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모의해킹 및 취약점 연구를 지원함.

■ 사회공학 및 스미싱 공격 주의
–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화재 상황을 악용한 보이스피싱, 스미싱 수법에 대해 경고함. 보안관리 담당자는 사회공학 및 스미싱 공격 사례를 교육하고, 사용자 경각심을 높이는 내부 캠페인을 준비할 필요가 있음.

■ 지식재산 및 EU 제도 관련 변화
– 지식재산처가 ‘EU 지식재산 제도 설명회’를 개최하여, 특허 및 IP 보호에 관한 최신 국제 동향을 소개함. 보안 전략에 IP 위험 관리 및 특허 관련 분쟁에 대비한 정책 수립이 요구됨.

■ AI 악용과 신종 악성코드 위협
– 소셜네트워크에서 생성형 AI 기술을 악용한 악성코드 ‘그로킹’이 등장. 보안관리 담당자는 AI 기반 악성코드의 동작 방식과 대응책을 연구하고 보안 솔루션 업데이트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

■ 사이버 보안 입법 및 규제 강화 움직임
– 최근 통신사 및 롯데카드 해킹 사고로 국회와 정부 차원에서 보안 입법이 시동됨. 또한, 통신 3사의 해킹·보안 사고를 둘러싼 국감이 진행 중이며, 관련 CEO들이 증인으로 출석하는 등 강도 높은 감독이 이루어지고 있음. 보안관리 부서는 관련 법령과 규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내부 보안 감사 및 R&D 예산 확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 특허침해 및 산업계 사이버 보안 취약점
– 미국 법원은 삼성에 대해 특허침해로 6000억원 배상 판결을 내림. 동시에 산업부 및 산하기관에서 지난 5년간 3402건의 해킹 시도가 탐지되는 등 사이버 보안이 미흡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음. 정부와 민간 모두 보안 투자를 확대하고, 자산 보호 및 해킹 대응 체계를 재검토해야 함.

■ 랜섬웨어 공격과 제로데이 취약점 악용
– 랜섬웨어 해킹 그룹 ‘클롭’이 오라클 제로데이 취약점을 이용해 다수의 기업을 공격한 사례가 보고됨. 또한, 해킹 그룹 ‘스톰-2603’은 오픈소스 포렌식 도구를 악용해 다중 랜섬웨어 공격을 수행하고 있음. 신속한 패치 적용, 취약점 관리, 그리고 침해사고 대응 프로세스 강화가 시급함.

■ 기타 관련 보안 동향
– 고립가구를 위한 서울시 스마트안부확인 서비스가 3년간 10만 건의 확인을 달성하며, 공공 안전과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성공 사례를 보여줌.
– 호주 항공사 ‘콴타스’의 경우, 랜섬웨어 협박 만료 후에도 570만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등, 항공 및 대형 서비스 업체들도 반드시 보안 강화와 위협모니터링 시스템 재점검이 필요함.
– 카이스트 류석영 교수 연구팀이 구글 V8 연구지원금을 선정받은 점은 보안 및 기술 연구 역량 강화에 긍정적인 신호로, 최신 보안 연구 동향 및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기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줌.

※ 추가 최신 정보
최근 보안 업계는 AI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이상행위 탐지, 제로트러스트 보안 모델, 클라우드 및 컨테이너 보안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음. 또한, 각종 오픈소스 보안 도구 및 취약점 스캐너가 활발히 업데이트되고 있으므로, 관련 GitHub 저장소들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최신 패치와 보안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함. 국내외 보안 입법 동향과 관련 국감 결과에도 주목하여, 내부 보안 전략 및 규제 준수 체계를 재점검할 필요가 있음.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취약점, 랜섬웨어, IoT, 정부 및 IP 보안 이슈 동향

■ 구글 AI 버그 바운티 – 구글이 AI 관련 보안취약점 조사에 나서며 최대 3만 달러를 지급하는 프로그램을 본격 운영한다. 보안관리 담당자는 AI 시스템 내 취약점 및 오동작 검증 체계를 마련하고, 유사 바운티 프로그램 도입 및 외부 연구자와의 협업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 최근 WIRED 보도에 따르면 보너스 포함 최대 보상이 5백만 달러에 달할 수 있음을 시사하므로, AI 보안점검 투자와 내부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하다.

■ 브라질 WhatsApp 웜 및 다중요소 인증 우회 – 브라질을 표적으로 한 WhatsApp 자가 전파형 악성코드가 금융기관 공격을 감행 중이다. 스캐머들이 다중요소 인증(MFA)을 우회하는 기술을 사용한 점을 주목해야 하며, 관련 금융 시스템 및 메신저 보안 점검, 사용자 교육 강화가 요구된다.

■ 하이퍼리퀴드 암호화폐 해킹 – 개인 지갑 정보 노출로 약 290억 원 상당의 암호화폐가 탈취된 사건이 발생했다.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을 관리하는 조직은 지갑 보안, 키 관리 정책 및 멀티시그/콜드 스토리지와 같은 보안 대책을 재점검해야 한다.

■ GitHub 보안 오픈소스 프로젝트 동향
 ○ Infisical – 비밀 관리, PKI, SSH 접근 관리를 위한 오픈 소스 플랫폼.
 ○ eBPF 기반 네트워킹 및 보안 도구 – 실시간 보안 모니터링과 네트워크 분석에 활용 가능.
 ○ KeePassXC –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는 패스워드 관리 도구.
 ○ SSO Multi-Factor 포털 – OpenID 인증 획득으로 웹앱 통합 인증 및 보안 강화.
 ○ OpenZeppelin Contracts – 안전한 스마트 계약 개발을 위한 라이브러리.
 ○ 컨테이너, 쿠버네티스, 클라우드 등에서 취약점, misconfiguration, 시크릿, SBOM 등을 탐지하는 도구
 ○ OWASP Cheat Sheet – 응용 프로그램 보안 주제에 대한 핵심 정보 제공
 ○ 인터넷 트래픽 모니터링 및 TLS 가능한 인터셉팅 HTTP 프록시 등 다양한 보안 도구 모음
보안관리자는 이러한 트렌디한 도구들을 활용해 내부 시스템 점검 및 취약점 분석 프로세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정부 및 산업 보안 취약점 –
 ○ 산업부 및 산하기관에서 발생하는 사이버 보안 “구멍”과 인력·예산 부족 문제는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 국정원 관계자 출석 등 정부 해킹 관련 국감 이슈가 대두되고 있어, 공공기관과 연계한 보안 대책 마련 및 예산 확대 방안을 심도 있게 검토해야 한다.
 ○ IP 관련해서는 상표 심사 지연으로 연간 14조 원의 손실이 발생하는 등 지식재산 보호 시스템에도 보완이 요구된다.

■ 랜섬웨어 및 취약점 공격 동향 –
 ○ 엑사그리드는 AI 기반 보존 시간 잠금 기능을 도입해 랜섬웨어 복구 효율을 높이는 솔루션을 출시했다.
 ○ 최신 봇넷 ‘론도독스’가 56개 취약점을 동시 공격하며 IoT 기기 보안 위협을 증폭시키고 있다.
 ○ 미국 CISA는 협업 플랫폼 ‘짐브라’의 XSS 제로데이 취약점을 경고, 이메일 등을 통한 추가 공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어, 제품 취약점 패치 및 침해 탐지 강화가 필요하다.  ○ 신규 Stealit 악성코드는 Node.js의 실험적 기능을 악용하여 Windows 시스템에 감염시키는 활동을 보이고 있어, 해당 환경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와 로그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 랜섬웨어 생태계 및 OS 변화 –
 ○ 랜섬웨어 위협 그룹들이 동맹을 맺으며 생태계가 격변하고 있고, 이에 따른 대응 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  ○ OS 세대교체기의 도래에도 불구하고 윈도우11의 점유율이 46%에 머무르고 있어, 구형 OS 취약점 및 업데이트 미비 문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IP 및 AI 특허, 개인정보 보호 관련 이슈 –
 ○ 미국에서 개최된 AI 특허 동향 세미나에서는 특허 획득 전략이 공개되었으며, 보안관리 측면에서는 IP 보호와 혁신 기술 적용의 균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송경희 제3대 개인정보위원장은 신뢰 기반 AI 혁신을 강조, 개인정보 보호와 AI 도입 간의 안전한 균형을 확립하기 위한 정책 개선이 요구된다.  ○ “영업비밀 등 특허 커버 불가”라는 문제에 대응하는 신 대안이 부상 중이므로, 기업들은 기술 및 영업비밀 보호 전략을 재검토해야 한다.  ○ 해커 채용 공고와 구독형 악성코 관련 보도는 악의적 공격 인프라와 관련 인력 동향에 주의를 환기시킨다.

■ 종합 보안 관리 포인트
 ○ AI, IoT, 클라우드, 모바일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취약점 점검 및 신속한 패치 적용이 필수적이다.  ○ 내부 및 외부 보안 인프라 강화, 최신 오픈소스 보안 도구 도입, 모니터링 시스템 개선 등을 통해 위협 대응 역량을 높여야 한다.  ○ 정부 및 공공기관 보안 예산 증액과 관련 법·제도 개선 요구, 그리고 IP 보호 체계 보완 등 정책적 지원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최근 보안 이슈들은 기술적 취약점 뿐 아니라 정부, 산업, IP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보안 위험 요소를 전반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보안관리 담당자로서는 이러한 모든 요소를 체계적으로 점검 및 대응하는 다층적 보안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CVE-2025 취약점, AI 기반 사이버 공격, 글로벌 보안 동향 및 최신 기술 업데이트

– RHEL의 open‑vm‑tools에서 CVE‑2025‑41244로 분류된 주요 권한 상승 취약점이 발견되어 신속한 패치 적용이 필요하다.
– 삼성전자가 상반기 약 1만건에 육박하는 특허를 등록하는 등 기술·IP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므로, 관련 산업의 보안 IP 전략 동향도 주목해야 한다.
– 다양한 사이트에서 사용자 신분 확인 및 연령 인증 요구가 늘어나면서 개인정보 유출 등 추가 사고 가능성이 증가 중이다.
– 해킹 사고 감소에도 불구하고 감축된 사이버 대응 예산(736억→488억)과 해외 사이버 동향 분석은 보안관제 예산 배분 및 자원 재조정을 요구하며, 정부와 금융감독당국은 웹로직 등의 취약점에 대해 추가 보안 조치를 권고하고 있다.
– 하반기 최대 화두로 부각되는 ‘AI를 활용한 해킹과 방어’ 관련 전망에 따라, AhnLab의 에이전틱 AI 기반 보안 운영 전략 및 Oracle과 구글의 AI 통합 솔루션(오팔, 챗GPT 서드파티 앱 연동) 등 최신 AI 보안 기술 동향을 관리자가 주목해야 한다.
– GitHub 상에서 활발히 개발되는 보안 도구들이 다수 소개되었다.
 • Nuclei – YAML 기반 취약점 스캐너(25k 스타)
 • Single Sign-On 다중인증 포털 – OpenID 인증 획득(25.5k 스타)
 • OpenZeppelin Contracts –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라이브러리(26.6k 스타)
 • 여러 curated hosts 파일 및 취약점, 설정 오류 탐지 도구들(29~98.8k 스타)
 이들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컨테이너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자동화된 취약점 식별에 기여하므로, 최신 업데이트 및 커뮤니티 피드백을 정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 센스톤의 OTAC가 글로벌 IoT 보안 솔루션으로 평가받는 등 IoT 보안 분야의 혁신 사례도 주목할 만하다.
– 상업용 보안과 경비업체 간 차이에 대한 심층 분석 및 매장 운영자를 위한 가이드, 또 위블록의 싱가포르 토큰 2049 참가를 통한 한국형 RWA 비전 발표 등 물리·디지털 경계를 아우르는 보안 전략도 확대되고 있다.
– 인텔은 ‘인텔 코어 울트라 시리즈 3’ 및 팬서 레이크 아키텍처, 오라클 및 CBRE, 구글, Oracle Fusion Cloud CX 등 주요 IT·클라우드 기업들이 신제품과 디지털 전환 전략을 발표하며, 보안관리 담당자는 최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혁신 모델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 랜섬웨어 그룹 “킬린”은 아사히 맥주 해킹을 주장하며 27GB 데이터 탈취를 언급했고, 아사히 역시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해 제조업 보안 경보음을 내고 있다.
– 7‑Zip의 ZIP 아카이브 처리 과정에서 원격 코드 실행을 유발할 수 있는 디렉토리 트래버설 취약점 두 건, Gladinet CentreStack 및 Triofox의 로컬 파일 포함 취약점(CVE‑2025‑11371) 등 주요 취약점들이 다수 보고되어 패치 및 보안 점검이 시급하다.
– KFC 베네수엘라 지사 데이터 유출, 결제 단말기의 주요 취약점, Oracle E‑Business Suite에 대한 10월 4일 긴급 패치(CL0P 익스플로잇 대응) 등 다양한 실제 공격 사례와 취약점들이 현장에서 확인되고 있어, 보안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투명한 고객 대응 체계의 중요성이 재확인된다.
– Microsoft Threat Intelligence는 ‘payroll pirate’ 공격 증가를 경고하고 있으며, 국제 수사기관이 사이버 범죄 마켓플레이스 BreachForums의 도메인을 압수하는 등 범죄자 활동에 대한 단속도 강화되고 있다.
– SnakeKeylogger를 변종으로 활용한 정보 탈취 캠페인, GitHub Copilot Chat의 CVSS 9.6 치명적 취약점(개인 소스코드 및 비밀정보 노출), LLM 기반 악성코드의 런타임 생성 공격 등 최신 위협들은 보안 체계의 재점검과 보안 솔루션의 AI 기반 분석 기능 도입을 요구한다.
– Socket의 ‘Beamglea’ 피싱 캠페인은 175개의 악성 npm 패키지를 통해 26,000회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악성 패키지 유통 및 공급망 공격 가능성을 시사한다.
– Akira 랜섬웨어 공격이 SonicWall SSL VPN 장비의 미패치 취약점을 악용한 사례와, 업무 시간 외에도 치밀하게 계획되는 공격 활동 등은 보안 감시 체계 강화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 통신사 해킹 증가 사례와 관련 분쟁조정 신청 건수 증가는 통신 인프라 보안의 취약점을 부각시키며, 산업별 맞춤형 보안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 기업 및 정부 주도의 국감(과기부 국감 포함)에서는 사이버 보안, AI, R&D 등 주요 분야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과 예산 조정, 정책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보안담당자는 예산 변동 및 향후 R&D 투자 방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 그 외에도 CBRE의 최고지식책임자 신설, IT 비용 최적화 함정 경고, 디지털 전환 전략 관련 인터뷰 및 사례 연구 등 다양한 산업의 보안·디지털 전략 이슈들이 논의되고 있다.
–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오라클, 구글 등 글로벌 IT 기업의 최신 로드맵 발표와 함께, 채용공고를 통한 해커 모집 및 구독형 악성코드 거래와 같이 공격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변동에 따른 새로운 위협 환경이 전개되고 있어, 전사적 보안 전략 수립과 지속적인 위협 인텔리전스 업데이트가 필수적이다.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CISA Sudo AI Expl로 인한 취약점 악용, 랜섬웨어 동맹과 클라우드·AI 공급망 공격 위협

ㆍ미국 CISA는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Sudo의 치명적 취약점을 경고하며, 해당 결함이 이미 공격자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악용되고 있음을 알림. 보안 관리자는 해당 시스템에 대한 패치 적용과 모니터링을 긴급히 수행해야 함.

ㆍ중국 연계 해커들이 2024년 10월부터 VMware 제로데이 취약점을 이용해 침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신속한 패치 및 보안 설정 점검이 요구됨.

ㆍ신종 안드로이드 트로이 목마 "Datzbro"는 AI가 생성한 페이스북 여행 이벤트를 활용해 주로 노년층을 대상으로 사회공학 공격을 수행. 또한, 은행 업무를 노린 또 다른 안드로이드 트로이 목마 "Klopatra"는 숨은 VNC 채널을 통해 피감염 스마트폰을 원격 제어하며 재정적 피해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관련 앱 및 업데이트 점검이 필요함.

ㆍ구글 Gemini AI의 취약점이 prompt injection 및 클라우드 익스플로잇을 가능하게 하면서, AI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칠 위험성이 제기됨. 이와 함께 구글은 AI가 보안 취약점을 스스로 수정하는 자동 패치 시스템 “코드멘더”를 공개해 자동화된 보안 유지 관리 시대를 예고함. 보안담당자는 AI 및 자동화 도구의 도입 검토가 필요함.

ㆍ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약 50달러 규모의 RAM 공격이 인텔 및 AMD 클라우드 보안 보호 기능을 우회하고, Red Hat OpenShift에서 AI 관련 취약점을 통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 전체를 장악할 위험이 보고됨. 워크로드와 데이터 보호 강화를 위해 클라우드 구성 및 메모리 보안 점검이 필요함.

ㆍ새로운 WireTap 공격은 DDR4 메모리 버스 인터셉터를 이용해 인텔 SGX의 ECDSA 키를 추출하는 등 하드웨어 수준의 위협이 등장. 보안 관리자는 하드웨어 기반 보안 기능에 대한 이해와 최신 보안 패치 적용이 요구됨.

ㆍThreatsDay Bulletin, 주간 요약 보도 등에서는 CarPlay 취약점, BYOVD(Bring Your Own Vulnerable Driver) 전술, SQL C2 공격, iCloud 백도어 및 Oracle 0-Day, BitLocker 우회 등의 복합 위협 사례를 정리하여 전달. 다양한 위협에 대한 전체적인 모니터링과 다층 방어 전략 마련이 시급함.

ㆍWhatsApp의 자체 전파 악성코드 SORVEPOTEL, Discord 고객 서비스 제공업체 해킹에 따른 민감정보 탈취, 그리고 Python 원격 접근 트로이 목마(RAT) 등 사용자 기기를 대상으로 한 변종 악성코드들이 다수 포착됨. 또한, 플랫폼별 취약점(GitLab DoS, WordPress ‘Service Finder Bookings’ 플러그인 관리자 탈취, Nothing Phone 보안 부팅 취약점 등)과 관련한 공격 시나리오가 증가하는 가운데, 평소 보안 점검과 취약점 분석, 업데이트 관리가 필수적임.

ㆍGitHub에서는 eBPF 기반 네트워킹, 누출된 자격증명 분석, Gitleaks를 통한 비밀정보 검색, SSO 및 MFA 포털 등 개발 및 배포환경 보안을 지원하는 다양한 도구와 리포지토리가 활발히 공유되고 있으며, OWASP 치트시트, 컨테이너 및 클라우드 보안을 위한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최신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자료로 주목받고 있음. 보안 담당자는 이를 활용해 내부 개발 및 운영 프로세스에 보안 자동화/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해야 함.

ㆍ랜섬웨어 위협도 심화되고 있음. Chaos 랜섬웨어의 C++ 기반 신종 변종, 드래곤포스·록빗·킬린 등 사이버범죄 조직의 동맹 결성, 그리고 일본 아사히 맥주와 같은 주요 기업 대상의 공격 등으로 인한 운영 차질 및 데이터 탈취 사례가 다수 보고됨. SK쉴더스의 복구 솔루션 공개 등 대응법이 소개되는 만큼, 공격 발생 전 사전 대응 및 복구 전략 수립이 중요함.

ㆍ또한, AI와 보안을 연계한 신종 공격 기법(예: Perplexity의 Comet AI 브라우저를 통한 데이터 탈취, AI 백본 MCP 서버 해킹 등이 있음)과 로그 포이즌 기법을 통한 웹 애플리케이션 공격 등 새로운 위협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음. 이와 더불어, QR 코드를 악용한 퀴싱 공격, 캐시 스머글링 기반 ClickFix 기법 등 첨단 기법들이 보안 위협을 다변화시키고 있으므로, 보안 솔루션 및 사용자 교육 강화가 필요함.

ㆍ한편,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는 사이버 보안 예산, 인력 확충 문제(예를 들어 KISA 해킹 대응 업무 급증에 7%의 인력 증가 등), 그리고 국정감 및 정책 개선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제사이버보안인증협회 주최 AI 선박·스마트 해운 사이버 안전 전략 세미나 등으로 공공과 민간의 협력 강화가 시도되고 있음.

ㆍ추가로, GitLab, VirusTotal, SonicWall/Mandiant, Cisco Talos, Microsoft Azure 등 주요 벤더 및 플랫폼에서 최신 보안 업데이트와 사건 분석 결과를 공개하는 등, 기업 및 기관은 최신 보안 이슈와 업데이트를 꾸준히 확인하고 신속히 대응할 필요가 있음.

ㆍ최근 중국 위협 행위자들이 AI 플랫폼(예: ChatGPT 등)을 활용해 사이버 공격을 정교화하는 사례, 글로벌 데이터 유출 플랫폼의 증가, 그리고 Velociraptor 등 포렌식 도구의 악용 사례 등이 나타나면서 보안 관리 책임자는 전사적 보안 전략 재검토 및 내부 보안 체계 강화, 교육 및 인프라 투자 확대를 적극 고려해야 함.

2025년 10월 9일 목요일

AI 보안과 취약점, 랜섬웨어, 정부 클라우드 위협 대응

– AI 보안 솔루션 수요 및 대응: 보안 종사자의 97%가 AI 기반 보안 솔루션 필요성을 언급하는 가운데, AI를 악용한 공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Chatbot이 백도어로 변할 위험, AI 취약점 보완을 위한 딥마인드의 ‘코드멘더’와 Google의 인공지능 취약점 보상 프로그램(최대 3만 달러) 등이 주목된다. 최근 리코디드 퓨처와 같은 AI 자동 위협 대응 솔루션 및 OpenAI의 ChatGPT 관련 악용 사례(중국 해커 계정 차단)도 보안 담당자가 주목해야 할 이슈이다. 이에 따라 AI 도입 시 취약점 분석, 자동 패치 및 AI 기반 공격 식별 능력 강화가 필수적이다.

– 보이스피싱과 금융·가상자산 공격: 가상자산 고수익 미끼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공격이 경고되고 있으며, 금융권에서도 해킹 사고에 대응해 AI와 화이트해커를 총동원하는 등 보안 강화 노력이 진행 중이다. 관련 공격은 직원 교육과 다층적 인증 등 예방 대책이 필요하다.

– 정부 및 공공기관 사이버 보안 평가와 국감 동향: 과기정통부가 자체 평가에서 ‘1등급’으로 포장한 사이버보안 성과와 2025년 국감에서 사이버 보안 분야,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인력 처우 등 다양한 이슈가 다루어지고 있다. 소방공무원 시험(119고시) 개인정보 유출, 국정자원 화재 사태 복구율 문제 등 공공 분야의 보안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정부 지침과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 취약점과 랜섬웨어 공격 사례:   • 오라클 EBS 제로데이 취약점 및 그 악용 사례, Oracle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등 공급망 취약성이 두드러진다.   • SQL 인젝션 취약점(CVE-2025-57819) in FreePBX, Redis Lua 스크립팅 취약점, Zimbra Collaboration Suite의 제로데이 XSS 취약점, Nagios Log Server 취약점, Ubuntu 커널의 네트워크 DoS 문제 등 새로운 취약점이 다수 보고되고 있다.   • 랜섬웨어 공격 조직(예: Trinity of Chaos, 키린(Qilin) 등)의 실제 공격, Shuyal Stealer와 같은 인포스틸러 전개 등은 조기 패치와 적극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최근 ‘Mic-E-Mouse’ 공격에서는 일반 컴퓨터 마우스가 정교한 도청 도구로 변모하는 사례가 보고되어, 주변 장비 보안 관리에도 주의해야 한다.

– 클라우드와 공급망 보안 이슈:   • AWS 관련 취약점(예: macOS 클라이언트 VPN CVE-2025-11462)과 Crimson Collective와 같은 신생 위협 그룹의 공격 기법이 나타나고 있다.   • Autodesk Revit 플러그인에서 Azure Storage Account 자격증명 노출 사례는 공급망 공격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하며, 클라우드 인프라와 제3자 소프트웨어 보안 점검이 중요하다.   • BK Technologies의 보안 사고 및 CloudSEK TRIAD 단위의 Charming Kitten (APT35) 관련 내부 자료 공개 사례는 글로벌 사이버 스파이 활동에 대비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 오픈소스 보안 도구와 GitHub 업데이트:   • Gitleaks, KeePassXC, OpenZeppelin Contracts, NGINX 공식 저장소, TLS-capable HTTP 프록시, 빠른 HTTP/1-2-3 웹 서버 및 다양한 페이로드 목록 등 GitHub에서 공개되는 보안 관련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소개된다.   • 또한 Single Sign-On 다중요소 인증 포털, 컨테이너 및 클라우드 취약점 탐지 도구 등 최신 보안 도구 활용을 통해 환경의 취약한 부분을 선제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 HoneyBee와 같은 자동화된 허니팟 배포 도구도 위협 연구와 실시간 공격 탐지에 도움을 준다.

– 최신 업데이트 및 기타 보안 이슈:   • Microsoft Teams 보안 강화 권고, 애플의 윈도우 보안 취약점 저격 ‘BSOD’ 광고, 그리고 이메일 기반 공격에서 CSS를 이용한 ‘salt’ 주입 등이 주목된다.   • ClamAV 1.5.0 업데이트로 문서 형식에 대한 악성코드 탐지 기능 강화, 그리고 OpenAI의 ChatGPT 관련 악용 방지 조치 등 각 플랫폼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보안 점검이 강조된다.   • 보안 관련 국제 이슈로 북한 IT 근로자의 글로벌 위협, AI와 SaaS 애플리케이션 기반 정보 유출 사례 등도 추후 모니터링해야 한다.

보안관리 담당자는 AI 기반 보안 솔루션 도입과 자동화 취약점 탐지 도구 활용, 정부 정책 및 국감 결과 반영, 최신 취약점(CVE) 및 패치 적용, 클라우드 및 공급망 보안 강화 등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GitHub 등 오픈소스 보안 프로젝트를 통한 도구 업데이트와 실시간 보안 모니터링을 병행하며, 내부 직원 교육과 보안 인력 보강을 통해 전반적인 사이버 방어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최신 보안 동향과 국제 사이버 위협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분석이 필수적이다.

2025년 10월 8일 수요일

보안 사이버 위협 및 AI 보안 혁신 동향

• 국내외 AI 전략과 보안 기술 발전 – 이원태의 글로벌 AI안보 전략 시리즈에서는 한국의 AI 외교가 글로벌 권력 지형을 재편하고 있음을 짚으며, AI와 보안을 융합한 정책 및 외교 전략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구글 딥마인드는 SW 취약점 탐지와 해결에 활용되는 AI 보안 에이전트 ‘코드멘더’를 공개하며 AI 기반 보안 자동화 기술 발전을 보여준다.

• 지적재산(IP) 관리 및 상표 분쟁 – USPTO가 대규모 상표 말소 조치를 단행하며 미국 내 상표권 관리에 초비상 상황임을 알렸다. 보안관리 담당자에게는 IP 관련 침해, 분쟁 리스크 관리와 함께 기업의 기술 및 브랜드 보호 전략 강화가 요구된다.

• 핵심 소프트웨어 취약점 및 패치 현황 –
 - Redis에서 발견된 “RediShell”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5-49844)은 CVSS 10점 만점의 심각도를 보이며, 관련 시스템의 즉각적인 점검 및 패치가 필요하다.
 - OpenSSL의 CVE-2025-9230, 9231, 9232 취약점 패치 상태 역시 관리 대상이며, 관련 서버 및 Linux 환경 관리자들은 업데이트 계획을 재점검해야 한다.
 - 최근 Oracle E-Business Suite의 제로데이 취약점(CVE-2025-61882)은 클롭 랜섬웨어 그룹에 의해 악용되고 있어, Oracle Linux 사용자 및 해당 시스템 운영 기업들은 보안 권고 및 패치 적용을 신속히 진행해야 한다.
 - GoAnywhere MFT 라이센스 서블릿 취약점의 악용 사례와 Medusa 랜섬웨어 확산 경고 등도 주시하며, 다양한 플랫폼의 취약점 대응 및 로그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하다.
 - OpenSSH의 ProxyCommand 기능 취약점을 통한 원격 코드 실행 가능성이 보고됨으로써, SSH 클라이언트 설정과 관련 정책 재검토가 요구된다.

• 정부와 기관의 사이버보안 평가 및 대응 –
 - 정부의 사이버보안 등급 평가가 실제 해킹 및 보안 사고 빈도와 괴리되어 있다는 비판과 함께, 현장의 보안 복원력 강화와 예방 중심의 정책 수립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 국정자원 화재 사태를 계기로 “보안은 막는 것, 복원력은 살아남는 것”이라는 이슈칼럼은 보안 관리자가 단순 방어를 넘어 신속한 복구 및 위기 대응 체계 구축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랜섬웨어 및 범죄자 대응 –
 - 랜섬웨어 공격 건수 증가와 함께, 몸값 지불 비율(80%) 및 협상 가능성에 대한 여론(51% vs. 44%)이 분열되는 상황에서, 기업과 공공기관은 침해사고 발생 시 대응 매뉴얼과 외부 전문가와의 협력 체계를 점검해야 한다.
 - 해킹 및 사이버 공격 관련 다수의 보도는 보안 스타트업의 기술력과 투자처로서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며, 보안 유지와 함께 위협 탐지, 예방, 대응 역량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새로운 위협 기법과 지리·정치적 타깃 –
 - 중국 연계 위협 행위자 Mustang Panda의 DLL 사이드로딩 기법은 특정 정치·사회 집단(티벳 공동체)을 노리고 있어, 지리정치적 요소를 반영한 위협 평가와 타겟별 위험분석이 필요하다.
 - 러시아 APT 그룹 Cavalry Werewolf와 해커 집단 Crimson Collective의 활동 증가는 텔레그램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이용한 전술 변화를 보여주며,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위협 인텔리전스 강화가 요구된다.
 - “Scattered Lapsus$ Hunters”와 같은 해킹 연합체의 등장 및 extortionware 포털 운영은 사이버 범죄 조직이 조직적이고 구조화된 공격 방식을 취하고 있음을 반영하므로, 위협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외부 전문기관과 협업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 클라우드 및 SaaS 환경을 겨냥한 최신 공격 기법 –
 - 전통적 악성코드 대신 “living-off-the-land” 기법을 사용해 클라우드와 SaaS 환경에서 공격을 전개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클라우드 인프라 전반에 대한 보안 설정 검토와 취약점 진단 자동화 도구 도입이 필요하다.

• 다양한 오픈 소스 도구 및 리소스 활용 –
 - SSO와 다중 인증 포털(OpenID Certified™), OpenZeppelin의 스마트 계약 보안 라이브러리, IPsec VPN 서버 구축 스크립트, NGINX 공식 오픈소스 저장소 등은 보안 관리와 개발 단계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리소스이다.
 - GitHub에 공개된 호스트 파일 통합, 컨테이너 및 Kubernetes 보안 취약점 스캐닝, 윈도우 사용자 모드 디버거, HTTP/1-2-3 웹 서버 등 다양한 도구들은 전반적인 보안 진단 및 운영 효율화를 지원하므로, 관련 최신정보와 업데이트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과 펜테스트 관련 payload 목록, 그리고 해커 및 보안 연구자들을 위한 “awesome lists”는 내부 보안 교육 및 위협 분석에 유용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개인정보 및 위치 정보 보호 –
 - 사진 속 GPS 태그 노출이 개인 정보와 집 주소까지 유출될 수 있음을 경고하는 카드뉴스는, 직원들과 사용자들에게 위치 정보 관리 및 개인정보 보호 교육의 중요성을 재확인시켜준다.

• AI 보안 취약점 –
 - 구글 제미나이의 취약점 사례는 AI 자체가 공격의 진입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므로, AI 시스템 설계 및 배포 시 보안 취약점 사전 점검과 리스크 평가가 필수적이다.

• 공휴 및 연휴 기간 사이버 위협 –
 - KISA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랜섬웨어, 스미싱 등 사이버 침해 사고에 주의를 당부한 것은, 휴가 기간 동안 보안 위협 증가에 대비해 직원 업무 연속성 및 모니터링 체계 점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최신 IP 관련 소송 및 산업 보호 동향 –
 - [IP국감] 보도에 따르면 지난 6년간 수백 건의 NPE 소송이 소부장 분야에서 집중되었으며, 중국 기업까지 타깃 확대되고 있는 점은 기술 산업 전반의 지식재산 보호와 함께 보안과 법률 리스크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음을 시사한다.

보안관리 담당자는 위와 같이 다양한 취약점 정보, 정부 및 기관의 보안 평가, 랜섬웨어와 국가간 사이버 위협 사례와 더불어 AI, 클라우드, 오픈 소스 도구 등 최신 보안 동향에 유의하며, 지속적인 패치 관리, 위협 정보 공유, 직원 교육 및 위기 대응 체계의 강화에 주목해야 한다. 최신 보안 뉴스와 관련 URL들(예: GitHub 저장소 및 보안 경고 게시판 등)은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각종 보안 도구와 리소스 업데이트에 따른 대응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다.

2025년 10월 7일 화요일

보안 관리 핵심 소식 및 최신 취약점과 도구 동향

• 이글루코퍼레이션가 AI 보안 및 SIEM 기술 관련 특허 3건을 취득한 점은 AI 기반 보안 솔루션, 자동화된 위협 탐지 및 대응 체계 발전에 주목할 만하다. 보안관리 담당자는 향후 AI 기술을 보안 인프라에 접목하는 흐름을 예의주시해야 한다.

• 디스코드의 일부 이용자 정보 유출 사건은 플랫폼 특성상 메신저 및 커뮤니케이션 툴 보안의 취약점을 드러낸다. 개인정보 보호 프로세스와 접근 제어, 로그 관리 등에 대한 보안 점검이 필요하다.

• 2025 국감–2 관련 산업보안 및 산업안전 이슈 점검에서는 정부와 관련 기관, 기업들이 사이버 공격과 물리적 안전 위협에 대처하는 방법을 평가하고 있다.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는 전체 보안 체계와 관련 정책을 재점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 GitHub에 공개된 여러 오픈소스 보안 도구들이 주목받고 있다.

  • Infisical: 비밀 관리, PKI 및 SSH 접근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민감 정보 보호와 관리 체계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 Matomo: Google Analytics 대안으로 프라이버시 및 데이터 소유권에 초점을 맞추며, 개인정보 보호 정책 강화 측면에서 참고할 만하다.
  • Proxmox VE Helper-Scripts, UNIX-like 역공학 프레임워크, eBPF 기반 네트워킹/보안/관찰성 툴 등 다양한 도구들이 보안 테스트,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침투 테스트 및 시스템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다.
  • 유출된 자격 증명 검색, OpenID 인증을 획득한 싱글 사인온/다단계 인증 포털, OpenZeppelin Contracts(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개발 라이브러리) 등도 최신 보안 모범사례와 도구 활용 방안을 제공한다.
  • TLS 지원 인터셉팅 HTTP 프록시와 웹 어플리케이션 보안 점검을 위한 페이로드 목록은 실제 취약점 점검 및 침투 테스트 시 참고 자료로 유용하다.

• 금융권에서는 연이은 해킹 사고에 대응해 화이트해커와 AI 기술을 동원한 전방위 보안 점검이 진행 중이다. 보안관리 담당자는 은행권, 통신 및 금융 기관의 ‘보안 생존 모드’ 전환 사례를 면밀히 분석해 내부 보안 체계 및 사고 대응 프로세스를 점검해야 한다.

• KISA에서는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랜섬웨어, 스미싱 등 사이버 침해 사고에 주의할 것을 권고하고 있어, 연휴 기간의 리스크 관리 및 직원 보안 교육 강화가 요구된다.

• 안랩 창업자와 관련 행사 ‘GCF 2025’에서는 사이버보안이 성장과 혁신을 위한 인프라임을 강조했으며, 국가기관 및 민간 기업 모두 보안 투자와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 사이버 공격 패턴이 국가기관과 기업을 동시에 겨냥하는 가운데, 군 및 헌법재판소 해킹 시도 사례 등이 잇따르면서 보안 관제 및 위협 인텔리전스 강화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 취약점과 악성 소프트웨어 관련 주요 이슈

  • CVE-2025-32463: Sudo 바이너리의 로컬 권한 상승 취약점에 대한 PoC 익스플로잇이 공개되어, 시스템 내부 권한 관리와 패치 적용이 시급하다.
  • Oracle E-Business Suite의 제로데이 취약점은 원격 코드 실행이 가능해, 인증 없이 악의적 행위가 이루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긴급 보안 업데이트와 취약점 관리가 필요하다.
  • WARMCOOKIE 백도어 악성코드의 기능 강화 및 새로운 기능 도입은 최신 악성코드 분석과 실시간 위협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 QNAP Systems의 NetBak Replicator, Redis 서버의 use-after-free 취약점, Zabbix 에이전트의 로컬 권한 상승 취약점 등은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나는 소프트웨어 취약점 관리 및 패치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Google Chrome의 WebAssembly 엔진 취약점 및 완전 기능의 익스플로잇 공개는 브라우저 보안에 대한 관리 체계를 재검토하게 한다.
  • Kali Linux 2025.3 릴리스와 함께 공개된 AI 기반 Gemini CLI는 보안 평가 및 취약점 탐지 자동화 도구로서 보안 전문가들이 최신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사례다.

• 악성코드와 사이버 공격 기법의 진화

  • Yurei 랜섬웨어는 파일 암호화 시 확장자 변경 및 은폐 기법을 적용, 침투 후 흔적을 최소화하며 공격 효과를 극대화한다.
  • WordPress 웹사이트에서 테마 파일을 변조해 PHP 인젝션으로 무단 스크립트를 삽입하는 사례는 CMS 기반 공격에 대한 방어 체계 점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XRayC2 프레임워크는 AWS X-Ray를 이용해 은밀한 명령 제어 통신을 구축, 클라우드 환경 내 위협 탐지 및 대응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TamperedChef와 Asgard Protector와 같이 파일 포맷 위장 및 암호화 기법을 이용해 악성 페이로드를 숨기는 공격 기법은 최신 악성코드 분석 도구와 대응 매뉴얼의 업데이트가 요구된다.
  • Huawei 관련 보안 유출 및 중국산 로봇청소기의 '무단 촬영' 가능성, Unity 엔진 취약점으로 인한 게임 상점 일시 삭제 등은 특정 산업 분야(모바일, IoT, 게임 등)에서 발생하는 보안 리스크에 대한 모니터링 필요성을 강조한다.
  • Android RAT(원격 제어 트로이 목마)와 데이터베이스 랜섬웨어 공격 기법을 방어하기 위한 최신 보안 솔루션 및 사고 대응 매뉴얼 개발이 시급하다.

• 정부 및 기술 발전 관련 추가 소식

  • 정부는 2030년 완전자율 선박 및 드론 상용화를 위한 로드맵을 발표, 자율 시스템 보안 및 안전 인프라 구축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보여준다.
  • 구글 딥마인드가 공개한 코드멘더는 AI가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자동으로 패치하는 기술로, 향후 보안 자동화와 인공지능 기반 보안 운영 체계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보안관리 담당자는 상기 다양한 이슈들을 바탕으로 최신 취약점 패치, 보안 도구 도입, 내부 보안 교육 및 위협 모니터링 체계 강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산업 및 정책 동향 또한 주시할 필요가 있다.

2025년 10월 6일 월요일

보안 국제 인증, AI 취약점, 랜섬웨어 공격, 내부자 위협, 통합 보안 전략, 오픈소스 보안 도구 및 공공 · 글로벌 협력

  1. 한드림넷 보안스위치가 일본 보안 인증 ‘JC-STAR’ 라벨을 취득한 소식은, 해외 시장 진출 및 국제 표준 준수를 위한 중요한 성과이다. 보안관리 담당자는 제품의 신뢰도 제고와 국제 인증 취득 절차 검토에 참고할 만하다.

  2. 구글의 AI 플랫폼 제미나이 취약점이 보고되면서 “AI 자체가 공격 통로”가 될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되었다. AI 기반 시스템 도입 시 취약점 탐지 및 보안 점검, 공격 표면 최소화를 위한 추가 보안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3. WIPO 총장이 한국콜마를 방문해 글로벌 IP협력 논의를 진행한 점은 기술 및 지식 재산 보호 측면에서 중요하다. 보안과 IP 보호는 기업의 전반적 리스크 관리 전략에 포함시켜야 할 요소로, 관련 국제 동향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4. 미래엔서해에너지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례는, 사이버 공격의 타격이 사업 연속성과 개인정보 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여실히 보여준다. 기업 및 기관은 랜섬웨어 공격에 대비한 백업, 모니터링, 사고 대응 계획을 재점검해야 한다.

  5. 명정보기술이 트루컷시큐리티와 사이버 위협 대응 관련 MOU를 체결한 점은, 통합 보안 전략 수립과 외부 전문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대응 역량 강화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업계 전반에서 통합 보안 전략에 집중하고 있으므로 조직 내 보안 통합 체계 마련이 요구된다.

  6. 국내 사이버 보안 업계에서는 '통합 보안' 전략을 총력전으로 전개 중이다. 다부처의 중복 조사 대신 원스톱 신고체계 도입 등, 정부와 기업 모두 효율적인 보안사고 대응 체계를 마련하려는 움직임에 주목해야 한다.

  7. 해킹 국감 및 관련 논의에서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위협도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었다. BBC 기자 해킹 제안과 랜섬웨어 조직의 치밀한 유혹 사례는, 내부자 위협에 대한 모니터링과 교육, 내부 통제 시스템 강화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8. 기업 보안 책임자들 사이에서 사이버 사고 은폐 현상이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는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투명한 공개 및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하는 과제를 제기하며, 향후 조사 및 보고 절차의 개선이 요구된다.

  9. 헌법재판소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9년간 110만 건에 달하는 테러 시도가 있었으며, “빨간불” 경고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보안관리 담당자는 공공 및 주요 기관의 보안 상황을 면밀히 감시하고, 관련 경고 지표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10. SK쉴더스는 데이터 인질극 문제를 해결하며 랜섬웨어 '아르곤와이퍼'의 복호화에 성공한 사례를 통해, 랜섬웨어 공격 대응 및 복구 기술의 발전을 엿볼 수 있다.

  11. 강태영 농협은행장의 추석 연휴 기간 사이버 보안 총력 명령은, 금융권을 비롯한 주요 산업 전반에서 휴가철 대비 사이버 공격 위험 증가에 따른 대비책 마련의 필요성을 재확인시킨다.

  12. 해킹과 DDoS 공격이 급증하는 가운데, KISA 보안인력 보강 등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공공 및 민간 기관 모두 보안 인력 강화와 실시간 위협 분석 체계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

  13. 도시가스 및 소방청 동시 해킹 사건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공공 및 인프라 보안 전면 강화 요구는, 필수 인프라 보안체계 구축과 비상대응 매뉴얼 점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14. 일본 최대 주류기업 아사히가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해 공장 가동을 중단한 사례는, 제조업 및 산업설비에서도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대비와 신속 대응 시스템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15. 마이크로소프트가 Outlook에서 SVG 형식을 차단하여 악성코드 유입 경로를 차단한 조치는, 이메일 클라이언트와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취약점 보완 및 정책 강화의 사례로 참고할 만하다.

  16. 외신에서 “한국 사이버 보안 매달 뚫렸다”는 비판 기사가 나오면서, 보안 취약점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보안 정책의 개선 필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되었다.

  17. 마이크로시스템이 ‘전자식 자가세정 기술 적용 영상감시 카메라’로 IR52 장영실상을 수상한 소식은, 첨단 기술과 보안 장비의 융합을 통해 보안 인프라의 신뢰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한다.

  18. GitHub에서 소개된 다양한 오픈소스 보안 및 분석 도구(예: Matomo, Proxmox VE Helper-Scripts, UNIX-like 리버스 엔지니어링 프레임워크, eBPF 기반 네트워킹 및 보안, KeePassXC, 다중 요소 인증 포털, OpenZeppelin Contracts, 통합 호스트 파일 및 OWASP Cheat Sheet 등)는 보안 담당자들이 최신 보안 도구 및 자료를 활용해 시스템 점검, 침해 대응, 인증 및 암호화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각 프로젝트의 별(star) 수와 최근 업데이트 일자를 통해 활발한 개발 및 커뮤니티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오픈소스 보안 도구들을 활용하는 것은 보안 인프라를 체계적으로 강화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추가 최신정보로, 인공지능 보안 취약점 및 공격 표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각국 정부와 기업들이 통합 보안 관제 체계,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공유, 보안 인력 확충 등 다각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 중이다. 또한, 오픈소스 보안 도구와 커뮤니티 기반의 정보 공유가 더욱 활성화되면서, 보안 전문가는 최신 도구와 사례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적용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2025년 10월 5일 일요일

랜섬웨어 위협 글로벌 전략 강화 오픈소스 보안 혁신

  1. 랜섬웨어 공격 및 대응 동향 • “장기화 가능성”…랜섬웨어 공격에 '스톱' (2025-10-04): 장기간 공격이 지속될 가능성을 경고하며, 네트워크 백업, 취약점 패치, 침해사고 대비 계획 수립 등 사전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함. • SK쉴더스, 신종 랜섬웨어 복호화 기법 세계 최초 공개 (2025-10-04): 기존 ransomware 복호화 방법과 차별화된 기술이 공개됨으로써, 피해 복구 및 데이터 복원에 새 대안이 제시됨. 보안관리 담당자는 최신 복호화 기법과 도구 도입 여부를 검토해야 함. • “랜섬웨어 에이전트, 자동화된 공격으로 광범위한 피해 가능” (2025-10-04 09:00:00): 자동화된 공격 수단이 도입됨에 따라, 공격 범위와 속도가 대폭 증가할 위험이 있음. 이에 따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조기 탐지 체계 강화 필요. • “랜섬웨어 에이전트” 관련 경고와 Oracle ERP 제로데이 취약점 악용 사례 (2025-10-03 18:40:41): 주요 ERP 시스템의 취약점이 ransomware 공격에 이용되고 있어, 패치 관리 및 보안 감사가 필수적임. • 아사히 맥주, 도시가스사, 삼성‒지멘스 고객사 등 주요 산업군에서 ransomware 공격 및 연관 사건 다수 발생: 운영 차질, 개인정보 유출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 각 산업별로 보안 대응 및 재해 복구 계획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음. • 랜섬웨어 관련 “추석 선물 도착” 문자 등 피싱, 스팸 메시지 공격: 연휴 기간 중 사회적 이슈와 연계된 악성 메시지 확산 사례가 있으므로, 사용자 교육 및 경계 강화 조치가 요구됨.

  2. 해킹 및 악성코드 위협 • 중국 연계 해커, 아시아 통신·제조업 노린 하이브리드 악성코드 유포 (2025-10-03 11:12:00): 중국 연계 해킹 그룹이 아시아 주요 산업 부문을 대상으로 하이브리드 악성코드를 배포하고 있음. 공급망 보안과 관련 기업 간 협력 강화가 필요함. • 미래엔서해에너지 랜섬웨어 공격 및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2025-10-03 17:13 및 2025-10-04): 전산 시스템 중단과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동시에 발생, 내부 보안 점검 및 위협 탐지 시스템 확충의 필요성을 시사.

  3. 글로벌 사이버 보안 전략 및 컨퍼런스 • 안랩의 사우디 GCF 2025 참가 (3년 연속, 2025-10-04 및 2025-10-03 13:21): 글로벌 사이버보안 전략을 공유하며, 국제적 협력과 정보 교류를 통해 최신 대응 기법을 모색하고 있음. 보안담당자들은 해외 포럼 및 컨퍼런스에서 공유되는 사례와 전략을 주시해야 함. • 배경훈 부총리 및 정부 관계자 언급 (2025-10-03 14:31): 국가 차원의 사이버 보안 강화 의지를 재확인하였으며, 정책적 지원 및 공공기관의 보안 강화에 주목해야 함.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주최 충청 사이버보안 콘퍼런스 (2025-10-04): 지역 단위에서의 보안 협력 및 연구 성과 공유를 통해 보안 생태계 강화 시도.

  4. 보안 취약점 및 해킹 사고 • 디스코드, 고객지원업체 보안사고로 일부 이용자 정보 유출 (2025-10-04): 공급망 공격 및 외부 업체와의 연계 취약점에 대한 경계 필요. • 유니티 2017 이후 버전 보안 취약점 긴급 경고 (2025-10-04): 주요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이 발견되어 빠른 업데이트 및 패치가 필수임. • 도시가스 및 기타 산업에서 개인정보 유출, 해킹 사건 발생 (충남 도시가스, 삼성-지멘스 고객사 등, 2025-10-04): 산업별 보안 취약점과 내부 통제 미흡함을 재점검하고, 피해 최소화를 위한 전사적 대응이 요구됨.

  5. 오픈소스 보안 툴 및 GitHub 프로젝트 동향 • GitHub 공개 보안 도구 및 프레임워크 다수 언급:  – UNIX-like reverse engineering framework and command-line toolset (2025-10-04 07:54, 22.4k 스타)  – eBPF-based Networking, Security, and Observability (2025-10-04 08:05, 22.6k 스타)  – SQL powered operating system instrumentation, monitoring, and analytics (2025-10-03 21:40, 22.8k 스타)  – API 보안 체크리스트, Single Sign-On Multi-Factor portal (OpenID Certified™, 2025-10-04 05:54, 25.4k 스타)  – OpenZeppelin Contracts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2025-10-04 00:32, 26.5k 스타)  – 컨테이너, Kubernetes, 코드 저장소 및 클라우드 내 취약점 분석 도구 (2025-10-03 18:57, 29.3k 스타)  – OWASP Cheat Sheet Series (어플리케이션 보안 핵심 정보, 2025-10-03 21:15, 30.4k 스타)  – 다기능 HTTP/1-2-3 웹 서버 (자동 HTTPS 지원, 2025-10-04 05:05, 67.1k 스타)  – 해커, 펜테스터, 보안 연구자를 위한 Awesome 리스트 모음 (2025-01-18 10:48, 98.6k 스타) • 보안 도구 및 프로젝트의 높은 관심은 최신 취약점 분석, 자동화된 보안 점검, API 및 클라우드 보안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 각 프로젝트의 GitHub 페이지에서 최신 업데이트와 적용 사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음.

  6. 기타 보안 이슈 및 기술 동향 • ICE, 플랫폼 스캔을 위한 계약직 채용 계획 (2025-10-04 22:21:55, WIRED): 정치 및 사회적 보안 문제와 연계되어, 개인 데이터와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증대됨. • 번개장터의 ‘코어리틱스’ 융합형 과학검수 솔루션 및 타포의 태양광 무선 CCTV ‘Tapo C400 KIT’ 출시 (2025-10-02 13:30 및 2025-10-01 13:58): IoT 및 신기술 보안 적용 사례로, 관련 기술에 대한 보안 검증과 취약점 분석이 요구됨. • 네트워크 스위치 및 클라우드 보안 리포트 (2025-10-03 23:10, 23:23): 공공분야 클라우드 보안 확산과 함께 네트워크 인프라 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인프라 전반의 보안 점검과 강화가 필요함. • “추석 황금연휴 안전하게 보내는 사이버 보안수칙 7가지” (2025-10-04): 연휴 기간을 노린 악성 공격에 대비한 기본 보안 수칙을 숙지하여, 내부 사용자 및 고객 대상 교육 강화 필요.

보안관리 담당자는 ransomware 및 해킹 공격 증가, 신종 취약점 악용, 글로벌 보안 전략 변화, 그리고 오픈소스 보안 도구의 발전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함. 각 사건과 프로젝트의 최신 업데이트와 상세 내용은 관련 뉴스 URL 및 GitHub 페이지에서 추가 확인할 것.

2025년 10월 4일 토요일

인천행정기관사이버보안 GIST자율주행 취약점 IP정책 랜섬웨어 삼성핀테크 피싱 GitHub보안 도구

• 인천지역 행정기관이 모여 사이버보안협의회를 개최하여 지역 정부 간 협력 및 정보 공유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보안관리 담당자는 향후 지방자치단체와의 연계 강화 및 공동 사이버 위협 대응 체계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 GIST에서 자율주행차 인식 시스템의 취약점을 진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자율주행 및 자동차 IoT 관련 서비스 제공 기업은 차량 보안 취약점에 대한 사전 점검과 개선을 고민해야 한다.

• ‘지식재산처’라는 IP정책 컨트롤타워가 공식 출범하면서 지식재산 관리와 보안이 밀접하게 연결되고 있다. 기업 내 IP 보호 및 기술 탈취 방지 정책 강화에 주목해야 한다.

• KISIA에서는 최신 랜섬웨어 공격 동향과 선제적 대응체계에 대해 논의했다. SK쉴더스가 신종 랜섬웨어 ‘ArgonWiper’의 복호화 기법을 최초 공개한 점은 실시간 위협 분석과 대응 전략 수립에 참고할 만하다.

• 영국 명품 백화점 해롯에서는 약 43만 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되었으며, 이와 같은 사례는 개인정보보호 및 고객 데이터 관리에 대한 취약점을 상기시킨다. 보안관리 담당자는 데이터 암호화, 접근 제어, 취약점 점검 등을 재검토해야 한다.

• 삼성은 케냐 핀테크 회사와 사이버 보안 구축을 위한 협력을 진행 중이다. 금융 및 핀테크 분야는 글로벌 협력과 보안 인프라 투자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연구 결과 Z세대를 비롯한 젊은 층이 피싱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내부 직원 대상 보안 교육과 인식 제고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GitHub에서는 leaked credentials 검증, eBPF 기반 네트워킹·보안·관찰 도구, Gitleaks, OpenID 인증 포털, 호스트 파일 통합, 컨테이너 및 클라우드 환경 취약점 분석, 실시간 인터넷 트래픽 모니터링, 다중 프로토콜 지원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페이로드 및 Pentest 도구 등 다양한 보안 도구들이 활발히 업데이트되고 있다. 이러한 오픈소스 도구들은 내부 감사 및 취약점 탐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최신 버전 확인과 함께 도입 검토가 필요하다.

• 국정자원 관련 대국민 서비스 안내를 사칭한 스미싱이 발생하는 등 공공서비스 모방 공격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기관 내부와 국민 대상 사전 예방 및 홍보가 강조된다.

• 안랩은 사우디 정부 주최 사이버보안 포럼 ‘GCF 2025’에 3년 연속 참가하며 국제 보안 협력 강화에 앞장서고 있다. 해외 보안 동향과 정책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빈집털이, 랜섬웨어 공격, 택배·도어락·계정 해킹 등 다양한 위협에 대비해 보안 점검 및 긴급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 Trend Research와 관련 보도에서는 WhatsApp을 통해 ZIP 파일 첨부 형태의 악성 캠페인이 유포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공격자가 계정 탈취 후 피해자 연락처로 확산시키는 수법에 주의해야 한다.

• Oracle E-Business Suite의 데이터 유출 및 이를 이용한 금전 갈취 extortion 캠페인, VMware Workstation의 게스트-투-호스트 탈출 취약점, Dell 장비 사용자 대상 Microsoft Defender의 BIOS 경보 오경보 사례, VPN 보안 취약점 등 여러 취약점 및 오탐 이슈가 보고되어, 보안 패치 관리와 모니터링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 Signal은 암호화 보안 강화를 위해 Sparse Post Quantum Ratchet을 도입하는 등 암호기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어, 보안 솔루션 선택 및 암호 프로토콜 업데이트 시 참고할 만하다.

• Oracle, CCTV 등 기업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피싱, 스미싱, 랜섬웨어, 악성코드 유포 등 국제적으로 다양해진 공격 기법에 주목해야 하며, 특히 중국 연계 및 사이버 스파이 활동, UAT-8099 같은 그룹이 IIS 서버 취약점을 노리는 사례는 보안 관리 대책 수립 시 고려 대상이다.

• 사이버 보안 관련 정부 고위 관계자들(배경훈 부총리, 과기부 등)이 연휴 전에 직접 현장을 점검하고 대응 현황을 점검하는 등, 정부 차원의 사이버 보안 강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기업 내에서도 최고경영진이 직접 보안 현황을 점검하고 필요 시 추가 투자 및 개선 활동을 주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 한편, 사이버 범죄 조직들이 Impact Solutions, Rhadamanthys, GhostSocks 등의 새로운 해킹 툴과 구독형 악성코드 도구를 판매하며 공격 기법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SideWinder APT 그룹 및 Cavalry Werewolf 클러스터 등 다수의 공격 집단이 정부, 방위, 금융 부문을 대상으로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위협 인텔리전스와 모니터링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다.

• 최신 연구에서는 DrayOS 라우터의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Grafana 취약점(CVE-2021-43798) 악용 시도, 그리고 안드로이드 스파이웨어 캠페인(ESET 연구 결과) 등이 보고되었으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 IoT, 모바일 보안에 대한 지속적 점검과 업데이트가 요구된다.

• IP 전략과 관련해 KAIPS 조직 개편, NPE 관련 논의, 특허법 개정 관련 신간 등도 보안 및 기술 경쟁력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기업의 R&D, 기술 보호 전략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해외에서는 일본 아사히그룹의 랜섬웨어 공격으로 생산 차질이 발생하는 등, 생산 및 공급망 전반에 걸친 사이버 위협도 기업 운영과 연계해 재검토해야 한다.

• 전반적으로 보안 관리 담당자는 국내외 정부 및 민간 부문의 최신 위협 동향, 보안 도구 및 기술 발전, 국제 협력 및 정책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기업 내부 보안 점검, 직원 교육, 위협 인텔리전스, 취약점 패치 관리 등을 강화하여 종합적인 사이버 보안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2025년 10월 3일 금요일

종합 보안 동향 및 사이버 위협 관리 핵심 정보

  1. 디지털 전환 가속과 함께 IT 시스템 취약점을 노리는 사이버범죄가 증가하고 있어, 조직 차원의 취약점 관리와 보안 솔루션 강화가 필수적이다. 취약점 관리 소프트웨어를 비롯해 Splunk, Microsoft, Cisco 등 주요 벤더와 관련 보안 권고가 속속 발표되고 있으며, 보안관리 담당자는 신속한 패치 및 모니터링 체계를 점검해야 한다.

  2. 주요 보안 취약점 및 위협 동향
     • Splunk 보안 권고: Splunk Enterprise와 Splunk Cloud Platform의 다수 XSS 등 취약점에 대해 경고하고 있으며, 업데이트 적용과 네트워크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Microsoft Outlook: Windows용 클래식 Outlook에서 발생하는 버그로 이메일 접근 불능 문제가 보고되어, 사용자 지원 및 점검을 긴급히 실시해야 한다.
     • Cisco, Salesforce, Fortra 등 대형 IT/보안 제품에서도 0-day 취약점과 원격 코드 실행(RCE), 강제 데이터 유출 등 치명적 결함이 발견되어, 즉각적인 보안 패치와 권고사항 준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3. 랜섬웨어 및 악성코드 위협
     • SK쉴더스가 신종 ‘ArgonWiper’ 랜섬웨어의 복호화 취약점을 최초 공개함에 따라, 랜섬웨어 공격에 대비한 백업 및 사고 대응 계획을 재점검해야 한다.
     • 랜섬웨어 신흥 그룹 동향과 타깃 공격 증가에 따른 금융기관 및 공공기관의 보안 점검 강화가 요구된다.
     • 인천시, NH농협은행 등 주요 기관이 추석 연휴 대비 사이버 보안 점검 및 24시간 보안 센터 운영을 발표하여, 국가 및 지역 차원의 사이버 방어 체계 구축이 강조되고 있다.

  4. 정부·산업 및 국제 협력 동향
     • 사우디 정부 주최 사이버보안 포럼과 한국-중동 간 사이버보안 협력 등 국제 및 정부 차원의 보안 협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인천광역시와 국정원, 사이버보안협의회, 방산안보 컨퍼런스 등 다수 정부 및 공공기관 주도의 보안 점검, 교육, 협업 및 정책 추진이 이루어지고 있다.  • 금융권에서는 “보안·전산 사고에 대한 책임 엄정” 등 보안사고 발생 시 즉각 대응 및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는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5. 오픈소스 및 개발자 도구 업데이트
     • GitHub 상에서는 NGINX 설정 생성 툴, 호스트 파일 통합, 컨테이너·Kubernetes 취약점 스캐닝, 개인용 VPN 구축, OWASP 치트시트, TLS 기능을 갖춘 인터셉팅 프록시, 자동 HTTPS 제공 웹 서버 등 다양한 보안 관련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공개되어, 개발자와 보안 연구원들이 최신 위험 및 대응 기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 암호모듈 구현안내서(GVI Part 2) 개정 공지처럼 보안 기술 문서와 가이드라인 업데이트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암호화 및 모듈 개발 시 최신 표준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6. 하드웨어 및 인프라 보안
     • Totolink X6000R 라우터의 펌웨어(V9.4.0cu.1360_B20241207)에서 3개의 주요 취약점이 발견되어, 네트워크 장비 업데이트와 보안 점검이 시급하다.  • 공식 Termix Docker 이미지에서 민감한 SSH 인증서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결함 발견 등, 컨테이너 보안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7. AI 및 클라우드 보안 혁신
     • Google은 AI 기반 랜섬웨어 탐지 시스템을 Drive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에 도입하여, 조직들의 데이터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  • 클라우드 기반 AI 도입 가속화 및 클라우드-안전 PC, AI 네이티브 혁신 등 클라우드 보안 및 인프라 관리 방안이 주요 의제로 떠오르고 있다.  • AI Security 101 및 ‘AI Attack Surface’ 관련 교육, 심포지엄, 베스트 스피커 어워드 등 보안 및 AI 융합 기술 역량 강화 행사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8.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신규 제품 발표
     • Chrome 141 업데이트가 보안 취약점 개선과 함께 안정성 강화를 목표로 배포되고 있으며, Microsoft 역시 AI 중심 경영진 개편 및 Entra ID 관련 치명적 보안 이슈를 패치 중이다.  • 로지텍 ‘MX 마스터 4’, SK텔레콤 24시간 보안센터 운영, 오케스트로의 AI 퍼스트 클라우드 전략, 그리고 클라우데라의 AI 생태계 확장 등 보안과 연계된 신제품 및 서비스가 시장 선도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9. 추가 최신 정보 및 주의 사항
     • 사이버 공격은 추석 연휴 등 주요 기간에도 급증하고 있으므로, 정부와 민간 모두 사이버 보안 점검 및 사고 대응 체계(예, SKT ‘T 안심 24시간 보안센터’, 인천시 사이버보안협의회 운영 등)를 강화하고 있다.  • 국제 보안 동향 및 해킹 도구, 모의해킹 경진대회, 보안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이 활성화돼 앞으로도 지속적 업데이트와 협력이 필요하며, 관련 GitHub 프로젝트와 보안 커뮤니티를 통한 최신 정보 수집을 권장한다.  • Cisco ASA, BMC, ShadowV2, LockBit 5.0 등 다수의 0-Day 취약점, DDoS 기록 및 악성코드 동향이 보도되고 있으므로, 보안관리 담당자는 네트워크 트래픽 및 위협 인텔리전스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

보안관리 담당자로서는 위 내용들을 바탕으로 전사적 보안 정책 점검, 최신 보안 도구 및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활용, 취약점 패치 적용 및 사이버 사고 대비 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정부 및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실시간 위협 대응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최신 블로그, GitHub, 보안 컨퍼런스 및 정부 공지사항 등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변화하는 위협 환경에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2025년 10월 2일 목요일

종합 보안 동향 AI 보안 랜섬웨어 취약점 솔루션 혁신

• 이메일 인프라와 전산망 안정성 강화   - SMTP 및 API 기반 이메일 솔루션이 보안성과 전송률 개선에 기여하며, 향후 이메일 인프라 보안 강화에 참고할 만함.   - 국가 전산망 마비 사건과 해킹 포비아 확산에 따라 보안주가 급등하는 등, 전산망 안정성에 대한 위기가 재조명됨.

• 클라우드, AI 기반 보안 혁신 및 해킹 대회   - zeroday.cloud의 클라우드 및 AI 해킹 대회 개최는 최신 위협 환경을 체험하고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기회로, 보안 관리자에게 대비와 혁신의 필요성을 일깨움.   - 데이터브릭스가 AI 기반 사이버보안 솔루션을 공개하여 실시간 위협 모니터링과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사례도 주목할 만함.   - AhnLab은 Guardian Agent SecureBridge, Agentic AI 기반 TDIR 시스템, 제로 트러스트 도입 등 AI 기술을 접목한 보안 운영 혁신 전략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음.

• 하드웨어 및 산업별 보안 취약점 이슈   - 칩 제조사들이 물리적 공격 위협 모델을 보안 설계에서 배제한 점은 사용자들에게 추가 경각심을 요구하며, 보안 관리자 입장에서 하드웨어 기반 공격을 간과하지 않도록 경계가 필요함.   - GIST와 자율주행 관련 연구진이 자율주행차 시각 인식 보안 취약점 진단 기술을 개발하는 등, 특정 산업 분야의 보안 취약점 진단이 확대됨.

• 랜섬웨어와 사회공학 공격 경고   - “추석선물 배송문자, 알고보니 랜섬웨어?”와 같은 명절맞이 공격 사례가 반복 등장하며, 사회공학 공격과 랜섬웨어 위협에 대한 주의가 요구됨.   - 씨큐비스타가 랜섬웨어 탐지 및 전 단계 TTP(전술, 기법, 절차)를 추적하는 ‘헌터 랜섬’ 엔진을 개발, 기업 보안상 허점을 선제적으로 점검할 필요성을 시사함.

• 글로벌 및 정부 기관 보안 동향   - 정부 기관 화재 이슈와 연계해 사칭 스미싱, 피싱 공격이 확산되고 있어, 정부 및 공공기관 역시 ‘긴급 보안 점검’을 받고 있음. 대통령 지시와 함께 모든 부처의 보안·안전 점검 결과 제출이 요구됨.   - 국정원과 관련 기관들은 해외 마약운반 연루 경고 및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시스템 이전 등, 국가 차원의 보안 인프라 재정비에 집중.

• 주요 취약점 및 연구 결과   - 구글 Gemini AI 어시스턴트의 ‘Gemini Trifecta’ 취약점, Cisco ASA/FTD (CVE-2025-20333, CVE-2025-20362) 및 IOS SNMP 서브시스템 취약점 등 심각한 보안 결함들이 다수 보고됨. 또한 Red Hat OpenShift AI 서비스의 권한 상승 취약점 등, 조직 보안환경에서 예방 조치가 필요.   - 최신 연구에서는 macOS에서 EV 코드 서명 인증서를 남용한 악성 캠페인, Linux 커널 우회 루트킷(FlipSwitch) 등 심도 있는 공격 기법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음.

• 오픈소스 및 커뮤니티 중심 보안 도구   - GitHub에서는 누출된 자격 증명 분석, eBPF 기반 네트워킹·모니터링, Gitleaks 등을 비롯해 NGINX, 개인 VPN 설정, SBOM(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목록) 분석 등 다양한 보안 도구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며, 개발자 및 보안 관리자들이 이를 활용해 정밀한 보안 분석 및 관제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음.   - OWASP 치트시트와 같은 고부가가치 자료도 최신 보안 트렌드를 반영하여 제공되고 있음.

• 기타 산업/기업 보안 및 디지털 전환 동향   - LG CNS, 로이드케이, 시선AI, 아콘소프트·가온아이, 현대오토에버 등 주요 IT·보안 기업들이 AI와 피지컬 보안, 클라우드 보안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 사례와 솔루션을 공개함.   - SK쉴더스는 모의 해킹과 공격표면 분석을 결합한 선제적 보안 점검 서비스를 출시, 기업의 보안 사각지대를 줄이는 방향으로 주목받고 있음.   - 각종 국책 연구 및 협력 사업(예. KISA-나이프 아랍 안보과학대, 한국-중동 사이버보안 협력)과 디지털 주권, 데이터센터 투자 등도 보안 정책과 연계되어 있음.   - 윈도우 10의 지원 종료 이후 1년간 보안 유지 프로그램 제공 및 보안 교육, 사이버보안 기초 교육 온라인 과정(카스퍼스키 발표) 등도 조직 내부 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정보임.

• 최신 위협과 대응 전략   - 주요 보안 연구에서는 악성 PyPI 패키지(SoopSocks), DNS 기반 명령 제어 캠페인(Detour Dog), 텍스트 메시지를 통한 랜섬웨어 유포 등 다각도의 위협이 포착됨.   - 기업과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하드웨어 기반 메모리 암호화, SaaS 보안 가이드(예, 구글 Threat Intelligence 그룹의 Salesforce 보안 강화 가이드) 등을 통해 새로운 공격 벡터에 대응 중.   - 사이버 공격이 점점 복잡해지는 가운데, AI와 자동화 기술을 통한 선제적 모니터링과 사고 대응 체계 구축이 필수적임.

보안관리 담당자로서는 위와 같은 다양한 위협 및 기술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AI 및 자동화 기반 보안 운영 체계를 도입하며, 정부 및 업계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보안 인프라 전반의 취약점을 선제적으로 점검해야 함. 최신 오픈소스 도구와 커뮤니티 제공 자료를 적극 활용하고, 명절 기간 등 특별시기에 증가하는 사회공학 공격과 랜섬웨어 위협에 대비하는 보안 교육 및 대응 매뉴얼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글로벌 보안 이슈와 취약점 발표에 맞춰 관련 패치 적용, 보안 점검 및 위협 인텔리전스 업데이트를 정기적으로 수행할 것을 권고함.

2025년 10월 1일 수요일

정부 전산망 화재 취약점 랜섬웨어 APT AI 보안 도전

■ 정부 및 공공기관 보안 위협 및 대응
– 국정자원 및 정부 전산망 화재 사고가 드러낸 보안 취약점으로, 과거의 행정전산망 마비 사건의 교훈이 반영되지 않은 점이 지적됨.
– 김병기 및 관련 당국은 국가 정보 인프라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티맥스티베로 등 주요 기업은 전담 TF를 가동하는 등 신속한 대응에 나섬.
– 국정원에서 국가 망 보안체계(N2SF) 보안가이드라인 1.0을 정식 공개하며, 정부 시스템 장애를 악용한 스미싱·악성 앱 유포에 대한 경고 메시지가 확인됨(정부 시스템 관련 알림은 100% 스미싱으로 간주).
– 대구센터의 민간 클라우드 복구 작업과 전자출원 서비스 정상 운영 복구 등 사고 후 복구 및 보안 강화 노력이 진행 중임.
– 국정자원 화재 사고로부터 보안·국민안전 시스템의 전반적 재점검, CEO 서명 확인서 도입 등 추가 점검 방안이 시행되고 있음.

■ 산업 및 국제 보안 동향, 시장 및 플랫폼 전략
– 미국과 해외에서는 AI 구축 본격화에 따른 사이버 보안 지출이 증가, 보안 플랫폼화가 주된 트렌드로 부상.
– 자율주행, 자동차 사이버 보안 및 디지털 전환 전략에 대한 논의가 오토아이삭 서밋 등에서 발표됨.
– 글로벌 기업 Harrods와 같은 대형 소매업체가 해킹 당해 430,000명의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등 금융·유통 분야 보안 문제가 심화됨.
– Google, Meta, OpenAI 등 주요 IT 기업들은 향후 6개월 내 국내 법인 대리인 변경 등의 규제 이슈에 직면하게 될 전망.

■ 최신 오픈소스 도구 및 기술 동향
– Trend Vision One™ 및 Gartner® 2025 CNAPP Market Guide에서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보호를 위한 통합 보안 솔루션의 중요성이 강조됨.
– GitHub에서 공개된 다양한 보안 툴들이 주목받음:
 • eBPF 기반 네트워킹, 보안 및 관찰 도구
 • SQL 기반 OS 계측, 모니터링, 분석 도구
 • Gitleaks를 통한 코드 및 저장소 내 비밀값 탐지
 • Nuclei – YAML 기반 DSL을 활용한 취약점 스캐너
 • OpenZeppelin Contracts – 안전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라이브러리
 • OWASP Cheat Sheet Series를 통한 핵심 보안 가이드라인 제공
 • Single Sign-On 다중 인증 포털 및 기타 컨테이너·클라우드 보안 도구
– FlipSwitch 같은 새로운 syscall hooking 기술과 함께 Linux의 로컬 권한 상승 취약점(CVE-2025-32463)에 대한 심층 기술 보고서가 발표됨.

■ 해킹 및 악성코드, 취약점 및 패치 동향
– Threatsday Bulletin에서는 루트킷 패치, 연쇄 해킹 사고, OnePlus SMS 유출, TikTok 스캔들 등 다수 사건이 언급됨.
– 범죄조직 Lunar Spider가 단 한 번의 악성 클릭으로 Windows 시스템에 침투한 사례와, npm 에코시스템 내 악성 패키지(postmark-mcp)를 이용한 공격이 보고됨.
– Broadcom은 VMware vCenter Server와 NSX 제품의 SMTP 헤더 주입 취약점(CVE-2025-41250) 등 세 가지 주요 취약점을 대상으로 패치를 출시함.
– VMware 하이퍼바이저 사용자들은 로컬 권한 상승 제로데이(CVE-2025-41244)의 악용 가능성에 주의해야 하며, Palo Alto GlobalProtect 취약점(CVE-2024-3400)도 확대 탐지되고 있음.
– macOS Sequoia 15.7.1 업데이트는 폰트 파서 취약점(CVE-2025-43400)을 해결하며, 안랩은 추석 연휴 기간 사이버 공격 대비 수칙을 발표함.
– APT35 관련 피싱 서버, 중국 연계 APT(Phantom Taurus)의 스파이 활동, Patchwork(또는 Dropping Elephant, Monsoon, Hangover Group)의 PowerShell 기반 로더 활동 등 다수의 공격 기법이 확인됨.
– 새로운 다크웹 마켓플레이스 상에 원격 액세스 공격 도구가 광고되는 사례와, 악성 Chrome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한 AI 도구 사칭 공격도 등장함.

■ 보안 교육, 학술·산업 협력 및 전략
– 서해지방해양경찰청과 제주도교육청 등은 정보보안 워크숍과 실전 훈련을 통해 사이버 대응 역량 강화를 추진하고 있음.
– 한남대, 영남이공대, KISTI 등 학계에서는 사이버보안 콘퍼런스와 첨단분야 융합스쿨 프로그램을 개최해 우수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국내 교육 및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음.
– 기업 전략 측면에서는 CIO의 핵심 역량, IT 관리자 채용의 교훈, 그리고 AI 교육 강화 등 조직 개편 및 인력 감축과 관련한 논의가 진행됨.

■ 추가 참고 및 설치 가이드
– MariaDB의 Ubuntu 24.04 설치 및 보안 강화 가이드와 함께, 다양한 보안 솔루션 및 모니터링 도구의 최신 버전이 공개되어 보안관리 담당자가 참고할 수 있는 자료들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됨.
– GitHub에 공개된 여러 보안 툴 및 모니터링/분석 자료는 빠르게 진화하는 위협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 참고 자료로, 최신 취약점 탐지 및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정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음.

■ 주요 참고 URL 및 출처
– 정부 및 규제 관련 내용은 국정원, 국가 망 보안체계 보안가이드라인 정식판, 정부 전산망 화재 관련 보도(원병철·김병기 기자) 및 관련 보안 경고 문자 안내를 참고.
– 기술/도구 관련 내용은 GitHub(예: Gitleaks, Nuclei, OpenZeppelin Contracts 등)와 Gartner®, Trend Vision One™ 자료를 참고하며, 주요 CVE 상세 정보는 CVE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증.
– 국제 보안 사건과 관련해 CISA, Broadcom, Apple, VMware 관련 패치 및 업데이트 공지를 모니터링할 것.
– AI, 클라우드 보안, 디지털 전환 및 사이버 위협 동향 등은 Auto-ISAC 서밋, 업계 언론(강석오, 강현주, Mayura Kathir, Divya 등)과 인터뷰, 칼럼을 통해 최신 정보를 확보할 필요가 있음.

보안관리 담당자는 정부 인프라의 취약점 개선과 함께, 최신 오픈소스 보안 도구 및 취약점 패치 동향, 글로벌 및 국내 해킹 사례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조직 내 보안 전략에 반영하고, 관련 교육 및 실전 훈련을 강화할 것.

2025년 9월 30일 화요일

AI 무인무기 랜섬웨어 클라우드 취약점 사이버보안 동향

• AI 및 무인무기·사이버보안 시장 전망

  • 심층분석 기사에 따르면 AI 기반 무인무기와 사이버보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2034년까지 시장 규모가 35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보안관리 담당자는 인공지능과 자율시스템 위협, 그리고 이에 대한 방어체계 구축에 주목해야 함.

• 클라우드 인프라 및 스토리지 업데이트

  • 델 테크놀로지스가 스토리지 제품군을 대대적으로 업데이트하여 클라우드 인프라가 보다 빠르고 스마트하게 개선됨. 보안팀은 클라우드 환경의 확장과 함께 데이터 보호, 접근 통제, 그리고 신규 취약점 발생 가능성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음.

• 인증절차 미흡 및 서류 검증 문제

  • “일주일 ‘알바’가 서류만 보고 보안인증” 사건은 보안 인증 절차의 허술함이 해킹 사고로 이어졌음을 보여줌. 내부 보안 관리체계와 인증 프로세스 전반에 대해 재검토하고, 실질적 평가 및 다각적 검증 절차 도입을 고려해야 함.

• 차세대 취약점 진단 및 웹쉘 탐지 솔루션

  • 에스에스알이 KCSCON 2025에서 차세대 취약점 진단과 웹쉘 탐지 솔루션을 공개함. 이를 통해 보안관리자는 최신 취약점 진단 기술과 자동화된 위협 탐지 도구 도입을 검토해 보안 진단 프로세스를 혁신할 필요가 있음.

• 네트워크 기반 랜섬웨어 ‘헌터 랜섬 TTP’

  • 씨큐비스타가 개발한 국내최초 네트워크 기반 랜섬웨어 TTP(전술, 기술, 절차)는 조기 경보 및 침투 탐지에 유용함. 보안 운영 센터(SOC)나 위협 헌팅 팀에서 이를 참고하여 대응력을 강화할 수 있음.

• 오픈소스 및 GitHub 기반 보안 도구

  • 여러 GitHub 리포지토리(UNIX-like 역공학 툴셋, 유출된 자격증명 분석, eBPF 기반 네트워킹, API 보안 체크리스트, Nuclei 스캐너, OpenID 인증 SSO/MFA 포털, OSINT 도구, 개인 VPN 구축, 웹 취약점 및 페이로드 모음 등)가 공개되어 있음.
  • 보안담당자는 이러한 도구들로 최신 취약점 분석, 디지털 포렌식, 위협 탐지, API 보안 강화 등의 대응 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관련 커뮤니티 동향도 주시해야 함.

• 자동차 사이버보안 및 글로벌 확장

  • 페스카로가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받고 있으며, 글로벌 자동차 사이버보안 시장 선도를 목표로 하고 있음. 자동차와 운송 관련 IT 인프라의 보안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

• 식량 시스템 회복탄력성 지원 솔루션

  • 오라클이 글로벌 식량 시스템 회복탄력성 제고를 위한 솔루션을 공개. 공급망과 필수 인프라의 사이버보안 취약점 역시 보안관리의 중요한 이슈임.

• DLL 하이재킹 및 SIEM 기술 강화

  • 카스퍼스키는 DLL 하이재킹을 탐지하는 기능을 추가한 SIEM 솔루션을 발표함으로써, 시스템 내부 공격에 대한 탐지력을 강화함.
  • 보안담당자는 메모리 기반 공격 및 DLL 하이재킹 사례에 주의하고, SIEM 시스템의 규칙과 탐지 시그니처를 최신 상태로 유지해야 함.

• 모바일 보안 및 MS-SQL 서버 공격 사례

  • Mobile Security & Malware 이슈 및 MS-SQL 서버를 이용한 XiebroC2 공격 사례가 보고됨. 모바일 기기와 핵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보안 패치,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 기업 보안 및 해킹 사례, 인사, 정책 동향

  • 해킹으로 인한 CEO 보너스 삭감, 정부 전산망 마비, 개인정보 불법 유통, 해킹사고 후 보안 인력 채용 저조 사례 등이 언급됨.
  • 보안 관리자는 조직 내 보안 문화 강화와 더불어 인력 채용, 교육, 위기 대응 계획의 재검토 및 보안 내재화(Security by Design) 추진을 고려해야 함.
  • 또한, 대법원, 공공기관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 제출 기한 연장 등 정책 및 법적 검토 사항도 면밀히 확인할 필요가 있음.

• AI, 클라우드, 랜섬웨어 및 취약점 공격 최신 동향

  • Salesforce, WhatsApp, SUSE Rancher Manager, Formbricks 등 주요 플랫폼 및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서 치명적 취약점이 다수 보고됨.
  • 특히 Apple macOS/iOS의 DLL hijacking 취약점(CVE-2025-56383)과 WhatsApp 제로클릭 RCE 등은 신속한 패치 배포와 위협 모니터링 필요성을 강조함.
  • 악성 SVG 파일, Microsoft Teams를 이용한 malvertising 캠페인, 그리고 Trojanized 생산성 도구를 활용한 'TamperedChef' 캠페인 등 새로운 공격 기법이 등장함.

• 국가 및 국제 사이버 위협 및 대응 동향

  • 네덜란드 당국이 17세 청소년을 사이버 스파이 관련 혐의로 체포한 사례, 북한 해킹 이후 정보보안 인력 채용 지연, 국정자원 화재 후 행정 시스템 보안 위기 등 국가 단위의 사이버 위협에 관한 이슈가 보고됨.
  • 또한 금융권(HSBC의 양자컴퓨팅 실험, 항공사 콴타스의 보안 사고 등), 제조업, 통신 분야 전반에 걸친 사이버 사건들이 있으며, 이에 따른 긴급 보안 점검 및 위기경보 상향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음.

• 최신 사이버 보안 도구 및 이벤트

  • Forensic-Timeliner와 같은 오픈소스 포렌식 도구, 24/7 SOC 운영, 그리고 CMMC 인증 관련 조달규칙 등은 보안 실무에 직접 활용 가능한 최신 도구와 정책임.
  • 보안관련 경진대회와 세미나(레몬세미나,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경진대회, AI 해킹방어 대회 등) 개최 소식은 차세대 보안 인재 육성과 업계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음.

• 클라우드 위험 관리 및 통합 방어 솔루션

  • Wiz와 Check Point가 클라우드 위험과 네트워크 방어를 통합한 솔루션을 선보임. 보안관리 담당자는 이러한 통합 솔루션 도입을 통해 점점 복잡해지는 IT 환경에서 위협을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함.

• 기타 시장 및 벤더 동향

  • AI를 활용해 랜섬웨어 탐지 및 위기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려는 시도, 버그 바운티 프로그램 확산, 그리고 다양한 보안 벤더 계약 전 CISO가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질문 등은 보안 투자 및 전략 수립에 중요한 포인트임.
  • 일부 해킹 사례와 관련하여 기업 및 정부, 금융권 뿐만 아니라 제조업과 통신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 보안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 추가 최신 위협 및 캠페인 사례

  • Olymp Loader와 같이 신종 Malware-as-a-Service(MaaS) 방식 악성코드, 악성 광고(malvertising)를 통한 crypto-stealing, SonicWall SSL VPN 자격증명 도용으로 Akira 랜섬웨어 확산 사례 등이 보고됨.
  • 또한, 악성 지시를 숨긴 세일즈포스 AI 취약점, 제로클릭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 그리고 trojanized 도구를 이용한 정보 탈취 공격 등으로 인한 위협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므로, 보안 관리자는 실시간 위협 인텔리전스와 신속한 패치, 그리고 다계층 보안 방어 체계 확립에 주의해야 함.

• 보안관리 담당자를 위한 핵심 대응 요점

  • 최신 취약점(예. CVE-2025-56383, zero-click RCE 등)과 공격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련 패치를 신속히 적용할 것.
  • 클라우드 인프라, 모바일, 데이터베이스 등 주요 자산에 대한 보안 점검 및 접근 통제 강화.
  • 오픈소스 보안 도구와 위협 헌팅 시스템(SOC, SIEM, TTP 기반 솔루션 등)을 적극 도입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
  • 보안 인증 및 인력 관리, 벤더 계약 전 필수 점검 사항 등 내부 보안 관리 체계를 재점검하여 ‘보안 내재화(Security by Design)’를 달성할 것.
  • 정부 및 금융, 제조, 통신 등 다양한 산업의 최신 사이버 사고 사례와 정책 변화(예. CMMC, 개인정보 보호 평가)를 참고하여 조직 전체의 보안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것.

• 추가 참고 사항

  • GitHub의 다양한 보안 프로젝트와 도구들을 활용해 보안 테스트 및 취약점 분석, OSINT 조사 능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문 인력과 보안 팀의 역량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
  • 최신 보안 관련 세미나, 경진대회, 해킹방어 대회 등의 참여를 통해 업계 최신 기술 동향과 사례를 공유하는 것도 향후 보안 전략 수립에 유익함.

위 내용은 관련 기사 및 공개 자료, GitHub 프로젝트, 그리고 최신 보안 사건을 종합한 개요로, 보안관리 담당자가 조직 내 보안 전략 및 위협 대응 체계를 재검토하고 강화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핵심 포인트들을 담고 있음.

2025년 9월 29일 월요일

롯데카드 해킹 볼보 개인정보 유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하이테크 취약점 구글 백도어 주의

  1. 롯데카드 해킹 사태 (2025-09-28)
    • 카드사 내부 보안관리 비상체제 가동. 보안관리 담당자는 해킹 사례를 통해 실시간 위협 탐지·대응 체계 점검과 내부 보안 정책 강화 필요성을 재확인해야 한다.

  2. 볼보 북미법인 랜섬웨어 피해 (2025-09-26 16:57, 한세희 기자)
    • 협력사 쪽 랜섬웨어 공격의 여파로 직원 개인정보가 유출됨. 제3자 공급업체의 보안 관리와 연계 시스템에 대한 정밀 점검, 데이터 유출 시 대응 프로세스 마련이 요구된다.

  3.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025-09-27 08:20, 한세희 기자)
    • 10시간 만에 초동 진압되었으나, 647개 정부 시스템 마비 등 IT 인프라 취약성이 드러남. 재난 복구 및 비상 대응 체계, 백업 인프라 점검이 시급하며, 향후 유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리던던시 강화가 필요하다.

  4. 최강 공급망 미세 조정 (2025-09-28)
    • 15차 5개년 계획 내에서 하이테크 관련 취약점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움직임. 협력업체와 공급망 전체의 보안평가와 취약점 점검이 중요하며, 업데이트된 보안 가이드라인을 검토해야 한다.

  5. 올해의 최고 IP스타트업 ‘시리에너지’ (2025-09-26 19:13, IP전략연구소)
    • 혁신적 IP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보안 기술과 연계한 신사업 모델 발전 가능성이 언급된다. 관련 기술 동향에 주목해 보안 솔루션 개발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6. 구글 맨디언트 “브릭스톰 백도어 공격 주의” (2025-09-26 13:38, 조재호 기자)
    • ‘브릭스톰’이라는 명칭의 백도어 공격 기법에 대한 경고가 제기됨. 네트워크 및 시스템 로그 모니터링 강화, 의심 트래픽 탐지와 침입 탐지 시스템(IDS) 점검이 필요하다.

  7. GitHub 보안 오픈 소스 도구 동향
    • Proxmox VE Helper-Scripts (Community Edition, 21.1k★)
    • UNIX-like Reverse Engineering Framework & CLI Toolset (22.3k★)
    • Leaked Credentials 분석 도구 (22.4k★)
    • eBPF 기반 네트워킹, 보안, 관찰 도구 (22.5k★)
    • KeePassXC – 크로스플랫폼 패스워드 매니저 (24.3k★)
    • Nuclei –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취약점 스캐너 (24.9k★)
    • Single Sign-On Multi-Factor Portal (25.4k★, OpenID Certified™)
    • 통합 호스트 파일 관리 도구 (28.9k★)
    • 클라우드 기반 개인 VPN 설정 방법 (29.9k★)
    • Windows 역공학 및 악성코드 분석용 오픈소스 디버거 (47k★)
    • 보안관리 담당자는 이들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최신 업데이트와 적용 사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내부 보안 환경에 맞춘 도구 도입 및 커스터마이징을 검토해야 한다.

  8. 보안 관련 기업 및 정부, 학계 동향
    • 보안주: 잇따른 해킹 사고 여파로 보안 관련 주식에 대한 상승 기대감이 커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647개 정부 시스템 마비 사례가 나타나 IT 강국의 취약점을 드러냄.
    • 동신대 컴퓨터학과에서는 사이버 보안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강화되고 있음.
    • 인공지능(AI) 보안 선도를 위한 해킹방어 대회가 한국에서 세계 최초로 개최되어 최신 보안 기술과 대응 전략이 공유됨.
    • IBK기업은행과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사이버 보안 강화에 협력, 보안 인프라와 정보보호 체계를 재점검하고 강화함.
    • [배종찬의 보안 빅데이터]에서는 해킹 사각지대를 예방 중심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됨.
    • SKT와 KT 등 주요 통신사의 연이은 해킹 사건과 이준석 전 의원의 “국가 기반 서비스 삼중 분산 및 정기적 취약점 테스트 필요” 발언은 신뢰 회복과 철저한 보안 관리의 중요성을 부각시킴.
    • 중소·중견기업에서 다수 발생하는 해킹 사고를 정부가 공격표면관리 지원을 통해 적극 방어하고 있음.
    • 미래차 및 금융 분야에서도 사이버 보안은 안전과 소비자 보호의 핵심 과제로 부상하며, 금융위는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가동하여 불편 최소화와 강화된 보안을 주문함.
    • 기존 보안 취약점 방치로 인한 해커의 공격 사례가 다수 발생했으며, 이에 따른 예방이 수습보다 우선되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 제로 트러스트 접근법과 ‘시큐어 엔터프라이즈 브라우저’ 도입은 쉽고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보안 강화 대책으로 평가됨.

추가 최신정보
• 클라우드 보안, 제로 트러스트 모델, 실시간 위험 모니터링 체계 도입 등 선제적 보안 대책이 각 분야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음.
• 사이버 공격 위협 증가에 대응하여 공급망 보안, 네트워크 취약점 스캐닝, 다중 인증, 임직원 보안 교육 강화가 필수적이다.
• AI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사이버 위협 탐지와 사고예방, 그리고 대학·정부·기업 간 협력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이 보안 역량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보안 현안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최신 도구 및 정책 개선을 통해 공격표면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2025년 9월 28일 일요일

AI 보안, 랜섬웨어 규제, 정부 보안 점검, 해킹 사고 및 보안 혁신 동향

– 2025년 사이버 보안 전선에서는 AI 기술이 양날의 검처럼 작용하고 있다. 한편에서는 AI 기반 침투 테스트 도구들이 전통적 수동 분석보다 빠르고 정밀한 자동화·지능형 정찰 및 취약점 분석으로 보안 전략의 핵심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반면, 챗GPT 등 생성형 AI를 활용해 악성코드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되면서 해킹 문턱이 낮아지고, 이에 따른 기업 보안 취약성과 무방비 상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주요 사이버 공격 사례로는 애플 macOS를 노린 XCSSET 악성코드의 새 변종 등장과 KT 서버 해킹 및 축소‧은폐 의혹이 지적된다. 기업 및 공공기관 내부 보안 체계 재점검과 사고 대응 프로세스 강화가 시급하며, 정부 및 개인정보 보호 위원회가 랜섬웨어 피해와 관련된 기업(예, 테라스타, 아이스트로)에 제재를 가하는 등 규제 강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 정부는 전국 3만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IT 자산 등 4가지 항목의 긴급 보안 점검을 지시하며, CEO 서명을 통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강력한 대응은 해킹에 대한 공포와 더불어 정보보안·인증 관련 주식 시장의 변동성을 촉발시키고 있으며, 보안관리 담당자들은 각 기업의 보안 점검 및 대응 체계를 재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 보안 관련 인프라 및 솔루션 측면에서는 엑시스 코리아가 AI 보안 솔루션 컨퍼런스 2025를 개최하고, IBK기업은행이 KISA와 사이버 보안 협력을 강화하는 등 민관 협력이 두드러진다. 또한, 페스카로가 대동 사이버보안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농기계 보안 사업 등을 확대하는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보안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SK쉴더스의 AI 기반 MXDR 도입 및 관제 플랫폼 ‘시큐디움’ 고도화 역시 최신 보안 트렌드를 반영한다.

– 최신 오픈소스 보안 도구들도 다수 공개되고 있다. GitHub에서는 OpenID Certified™ 기반의 Single Sign-On Multi-Factor 포털, OpenZeppelin Contracts(보안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NGINX 오픈소스, 그리고 여러 보안 관련 리포지터리(호스트파일 통합, 취약점 및 설정 오류 스캐닝, OWASP Cheat Sheet, HTTP/HTTPS 프록시, 고속 웹 서버, 해커·펜테스터 자료 모음 등)가 높은 참여도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도구들은 보안관리 담당자들이 최신 위협 대응 및 취약점 관리에 참고할 만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추가 최신 정보로, 국가공인 영상정보관리사 자격검증 및 오는 11월 시행 예정인 ‘IP중개사’ 검정 등 보안 및 IT 관련 자격 인증 분야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이처럼 다양한 보안 인증 제도와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확산됨에 따라, 보안 전문가 양성과 조직 내 보안 인식 제고도 병행되어야 한다.

– 보안관리 담당자로서는 AI 기반 위협 진단 도구 도입 검토, 정부 규제 동향 및 긴급 보안 점검에 따른 내부 점검 강화, 오픈소스 보안 툴 및 최신 솔루션 활용, 그리고 민·관 협력을 통한 광범위한 보안 대응 체계 확립이 시급하다. 최신 해킹 기법과 AI를 활용한 보안/공격 기술 양측의 발전 추세를 모니터링하며, 조직 내 보안 교육과 대응 프로세스 정비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2025년 9월 27일 토요일

글로벌 보안 위협 증가와 AI·클라우드 보안 혁신 가속화

■ 중국 정부 지원 해킹 그룹 Salt Typhoon이 전세계 통신 인프라를 대상으로 장기 스파이 활동을 강화하고 있음. 보안관리자는 관련 네트워크 모니터링과 침해탐지 체계 강화에 주목해야 함.

■ 신종 RaaS(BQTLOCK)가 윈도우 사용자 대상 공격을 위해 텔레그램과 다크웹 포럼을 활용 중임. 관리자는 악성코드 탐지, 최신 백신 업데이트와 의심 트래픽 감시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 딜로이트가 AI 도입으로 사이버 보안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며 MDR(Managed Detection and Response) 전략을 재설계해야 한다고 경고함. AI 활용 보안 솔루션 도입 및 기존 보안 체계 점검이 요구됨.

■ 금융·통신·에너지 분야에서 해킹 및 고객 정보 유출 등 연속 보안 사고가 보고됨(롯데카드, 한수원 등). 은행 및 대기업 보안담당자는 취약점 분석 및 신속한 해킹 대응절차 마련이 필수적임.

■ 클라우드 보안 관련 소식으로는 CNAPP(Cloud-Native Application Protection Platform)와 AWS·SAP 및 클라우드플레어 등 주요 업체의 협업, 보안 솔루션 전면 개편 소식이 다뤄짐. 멀티클라우드와 컨테이너 보안, API 취약점 점검에 주의해야 함.

■ 다양한 오픈소스 보안 도구와 프로젝트(GitHub 상 Gitleaks, Nuclei, OWASP Cheat Sheet 등)가 소개됨. 보안팀은 이러한 도구들을 활용해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컨테이너, 클라우드 설정 등 전반에 걸친 취약점 점검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대학 및 공공기관과 관련하여 SK쉴더스가 200여개 대학에 사이버보안 대응체계를 지원하고, IBK기업은행과 한국인터넷진흥원이 해킹 대응 및 금융 취약점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점은 교육 및 공공기관 보안 역량 강화 측면에서 중요한 참고사항임.

■ 주요 취약점 및 제로데이 공격 경고가 다수 존재함

  • Cisco ASA 5500-X 시리즈 및 Cisco Secure Firewall, CVE-2025-20363 등 Cisco 제품의 취약점이 악용되고 있음.
  • Apache Airflow의 CVE-2025-54831 취약점으로 인해 읽기 권한만 있어도 민감한 연결정보 열람 가능.
  • 새로운 LockBit 랜섬웨어 변종이 윈도우, 리눅스, VMware ESXi 시스템을 타깃으로 활동 중임.
  • Salesforce Agentforce AI 플랫폼의 치명적 취약점 발견으로 고객 데이터 탈취 위험이 존재함.

■ AI 기술을 악용한 진화형 사이버 위협도 부각됨

  • LLMs(대형 언어모델)를 이용해 실시간 정찰과 데이터 유출을 수행하는 AI 기반 위협이 출현함.
  • ‘god-mode’ 권한을 가진 AI 비서 도구(MCP 서버 등)가 이메일 전송, DB 쿼리 실행 등에서 과도한 권한을 사용함으로써 보안 리스크를 증대시키고 있음.
  • Xcode 프로젝트 감염을 통한 macOS 개발자 대상 XCSSET 악성코드 사례 등 새로운 공격 기법이 등장함.

■ 정부 및 기업, 주요 기관간 보안 협력 강화

  • IBK기업은행과 한국인터넷진흥원, SK쉴더스와 대학, 통신사 및 금융권의 보안 협업 강화 소식이 다수 보도됨.
  • 통신3사 보안 대응 체계 개선 및 임직원 대상 리스크 교육 강조, 정부의 펨토셀 문제 등 제도적 보완 필요성이 언급됨.

■ 그 외 추가 내용 및 최신 이슈

  • 클라우드 빅테크, AI 기반 혁신 기술과 비대면 본인확인, 사이버 위협 대응 및 양자보안 분야 관련 컨퍼런스와 기술 발표 소식이 있음.
  • Cisco, MS, DJI 등 주요 IT, 모바일, 클라우드 기업들이 신제품 및 보안 패치, 플랫폼 업데이트 발표를 통해 보안 강화에 집중하고 있음.
  • 또한, 해킹 집단 LAPSUS$, Scattered Spider, ShinyHunters 등이 고위급 기관 및 대기업을 대상으로 사회공학적 공격을 전개하는 사례가 확인됨.
  • Amazon의 Kuiper 위성 발사 계획, 영상정보디스플레이 구축 등 IT 및 IoT 인프라 보안 강화에 관한 다양한 움직임도 포착됨.

보안관리 담당자는 위와 같이 급변하는 위협 환경에 대응하여 보안 인프라 점검, 최신 취약점 패치, AI와 클라우드 기반 보안 솔루션 도입, 그리고 공공 및 민간 협력 체계를 적극 모니터링하고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 최신 연구 동향과 오픈소스 도구 활용, 그리고 정부 및 주요 기업의 보안 관련 협업 뉴스들을 지속적으로 주시하며 체계적인 보안 전략을 마련해야 함.

2025년 9월 26일 금요일

보안 소식 AI 공격 클라우드 보안 취약점 해킹 사고 및 정책 변화

• AI·모델 파일 위협 및 AI 시대 공격 변화
최근 AI 관련 공격이 더욱 은밀해지고 있어, 악성 LoRA, 중독된 데이터, 트로이 목마 모델 파일 등으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AI 챗봇 하나의 침해사고로 Salesloft‑Drift에서 700개 이상의 기업 데이터가 노출된 사례를 보듯, AI 통합 환경에서는 IP allow-list, 토큰 보안, 실시간 모니터링 등의 추가 보안 조치가 필수적이다.

• 클라우드 보안 및 지능형 자율관제 도입
다양한 “클라우드 보안 인사이트 2025” 기사에서 지스케일러, 메타넷티플랫폼, 케이토, 멘로 등 기업들이 AI 기반 자율관제, 섀도우 AI 관리, 제로 트러스트 구현 및 안전한 클라우드 연결(클라우드플레어 등)을 통한 보안 강화를 추진 중이다. 국산 ‘AI 스토리지’ 도 입지를 다지기 위한 움직임이 있으며, 클라우드 보안 관리 담당자는 AI와 클라우드 연계 보안 솔루션의 최신 동향을 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 취약점, 제로데이, 백도어 및 악성 코드
Cisco IOS와 IOS XE에서 CVE-2025-20160 등 치명적 제로데이 취약점이 확인되었으며, NVIDIA Merlin Transformers4Rec 라이브러리, Linux Kernel의 ksmbd(CVE-2025-38561) 또한 리모트 코드 실행 위험에 놓인 상태다. BRICKSTORM, Hikvision 카메라 뒤늦은 공격, Windows 단축파일(LNK) 및 Windows 설치 프로그램의 파일 처리 취약점(SetupHijack 사례) 등 다양한 백도어 기법이 관찰되고 있다. 보안업무 담당자는 제로데이 취약점 대응과 패치 관리, 시스템 및 네트워크 모니터링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오픈소스·도구 및 개발자 보안 생태계 강화
GitHub에서는 Nuclei 취약점 스캐너, Single Sign-On Multi-Factor 포털, OpenZeppelin Contracts, OWASP Cheat Sheet, Windows 사용자 모드 디버거, HTTP/1-2-3 웹 서버, 해커 및 펜테스터용 유용한 payload 모음 등 다양한 보안 도구와 자료가 활발하게 공유되고 있다. 또한, 악성 Rust crate나 위장된 빠른 로그 라이브러리 사건 등 개발자 대상으로 한 공격이 늘어나고 있어, 개발 및 배포 전 보안 점검, 코드 서명 및 의존성 관리가 필수적이다.

• 랜섬웨어, 해킹 사고 및 금융·산업 보안 이슈
서울보증 해킹 피해, 카드사 및 금융권 해킹 리스크, 그리고 정부 행정망과 KT의 펨토셀 침해사고 등 다수의 해킹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지프, 마세라티 제조사 스텔란티스 등 기업 대상 사이버 침해 공격과 함께, 산업설비(ABB의 사이버 보안 탑재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엘림광통신의 산업용 PoE 스위치 신제품) 및 에너지 분야(한국전력 일렉콘 훈련)에서도 보안 취약점이 부각되고 있다. 사이버 사고 예방 및 피해 복구를 위한 취약점 점검, 보안 인증 확대, 그리고 백업 및 비상대응 계획의 점검이 시급하다.

• 피싱 공격 및 사회공학, 도메인 혼동, 악성 이메일
Python 커뮤니티와 GitHub를 노린 도메인 혼동 피싱, AI생성 코드를 이용한 SVG 파일 내 악성 코드, Y Combinator 사칭 피싱 등 공격이 다양화되고 있다. 또한, DPRK 해커들이 클릭 기반 BeaverTail 악성코드를 배포하거나 Lone None 그룹이 저작권 삭제 통지 수법을 악용해 정교한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등 사회공학 공격이 심화되고 있으므로, 전 직원 대상 교육 강화와 이메일 및 도메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정부, 개인정보 및 사이버 보험, 정책 및 민관 협력 동향
정부 사이버 보안 체계에 존재하는 ‘구멍’과 서울시 행정망 해킹 사례는 고도의 통합 보안 정책과, 기존 칸막이식 대응에서 벗어난 포괄적 보안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에 대해 사업자 제재 및 해외 대리인 점검을 강화하고 있으며, 금융보안원은 ‘사람과 AI의 협업’을 통한 업무 혁신을 추진 중이다. 또한, 사이버보험 시장 및 민간 협력 플랫폼(양자보안포럼) 출범, 국가 망 보안체계 개선 등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의 보안 강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 특허, 지식재산 및 기술혁신 관련 보안 및 IP 이슈
특허청과 IP전략연구소에서는 광주 중소기업과 IP 기반 성장 방안을 모색하고, 지식재산처 및 현역 변리사들이 특허 가치 제고에 힘쓰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기술 혁신과 더불어 보안 취약점이 사회·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하므로, 관련 부문과의 긴밀한 협력과 기술보안 검토가 요구된다.

• 추가 주목 사항 및 최신 동향
최근 Recorded Future Insikt Group은 고위 정부 및 민간 대상 Go 기반 백도어 캠페인(TAG-100)을 공개했고, 도메인 혼동 및 인증 우회, SNMP 인터페이스 노출(2백만 개) 문제도 보고되었다. 또한, Steam 게임(인디 BlockBlasters)에서 악성코드 발견, 그리고 다양한 보안 연구진과 언론의 분석 (예, ASTx 결제 문제, QR코드 악성 패키지, 태그 및 악성 Rust crate 사건 등)은 보안 관리자들이 최신 위협과 대응 방안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함을 시사한다.

보안 관리 담당자는 위와 같이 AI 시대의 발전과 함께 변화하는 공격 패턴, 클라우드 및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도입, 오픈소스 보안 도구 활용, 정부 및 민간 부문의 연계 강화, 그리고 최신 취약점 및 피싱, 랜섬웨어 공격 동향을 면밀히 관찰해 적극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최신 보안 관련 URL과 GitHub 저장소, 정부 및 민간 보안 정책 자료 역시 지속적으로 참조하여 실시간 보안 강화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2025년 9월 25일 목요일

사이버보안 위협 동향 클라우드 해킹 AI 랜섬웨어 제로트러스트 국가공격

【클라우드와 인프라 보안 강화】
– Wiz와 HCP Terraform을 통한 IaC와 클라우드 인프라 사이의 보안 간극 해소 노력이 진행 중임.
– “[클라우드 보안 인사이트 2025]” 등 국가 및 공공기관 대상 클라우드 안전 운영 방법론이 제시되고, GitHub에서는 Nuclei, OpenZeppelin Contracts, 최신 웹서버, eBPF 기반 도구 등 클라우드와 네트워크 취약점 탐지·대응 도구들이 활발히 업데이트되고 있음.
– Cloud Linux의 업데이트와 Firebase 취약점 분석, 도메인 프론팅 기법을 이용한 공격 사례 등, 클라우드 환경에 내재한 다양한 위험성을 보여주는 최신 사례에 주목해야 함.

【해킹 및 랜섬웨어 – 데이터 침해 사건】
– 자산운용사와 금융기관(롯데카드, 지제이텍, SGI서울보증 등) 대상으로 발생한 랜섬웨어 공격과 해킹사건이 연이어 보고됨.
– 개인 정보 유출 및 서버 침입 사례와 함께, 다국적 기업 및 Mac 사용자 대상, GitHub를 악용한 정보 탈취 등 공격 기법이 다양해지고 있음.
– 멀티시그 보안 취약점, 인메모리 PE 로더 등 차세대 회피 기법과 함께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BMC) 취약점, Salesforce CLI, OnePlus OxygenOS 등의 취약점 사례도 발생해 보안 패치와 취약점 분석이 시급함.

【국가 및 지방 정부의 규제와 대응 강화】
– 서울시는 29일부로 사이버보안 조례를 시행하며 ‘사이버보안관리관’을 신설, 전 기관 대상 보안 강화 조치를 추진.
– 금융위, 우리은행, KT 등 주요 금융기관과 정부 부처에서는 해킹 사고 후 보안 점검, 모의해킹 경진대회 등 인재 양성 및 취약점 보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
– 대통령실 및 범부처 차원에서 SW 설치 강요 문제와 함께 종합적 보안 대책 마련에 주력하는 등 국가 기조의 변화가 감지됨.

【AI 및 제로트러스트, 최신 공격 기법 동향】
– 생성형 AI 콘텐츠의 진위 검증을 위한 워터마크 기술 개발과, AI 및 DevOps를 결합한 새로운 악성코드(YiBackdoor, Rust 버전 INC 랜섬웨어) 분석 결과가 발표됨.
– 제로트러스트 보안 전략이 애플리케이션과 워크로드 보호 관점에서 재조명되고 있으며, 악성 확장 설치 기법, 도메인 프론팅을 이용한 공격 등 최신 기법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함.
– Cisco Talos와 Darktrace 조사에서는 DLL 서치 오더 하이재킹, 인메모리 공격 등의 첨단 기법과 함께 국가 간, 특히 러시아·북한 등 “nation-state” 연루 공격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

【긴급 보안 업데이트 및 취약점 패치】
– Google은 Chrome의 3개 고위험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한 긴급 업데이트를, CISA는 GeoServer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에 대해 경고 발표함.
– SonicWall Secure Mobile Access 제품군, Salesforce CLI (CVE-2025-9844), Supermicro BMC 및 OnePlus OxygenOS 등 주요 제품의 보안 패치가 진행 중이며, 공격자들이 새로운 취약점을 악용하는 사례가 다수 확인됨.
– GitHub Actions를 통한 신뢰 출판 및 Kali Linux 2025.3의 업데이트 등 오픈소스 보안 도구들도 최신 위협에 대응하고 있음.

【기업·기술 동향 및 교육, 연구 활동】
– 지케이테코의 멀티 생체 인식 단말기, 인텔리빅스의 안전 AI 제품 등 신기술과 신제품이 공개되며, 기업들은 기술 혁신과 동시에 보안 강화를 도모하고 있음.
– KITRI 화이트햇 스쿨 졸업, 금융보안 인재 양성 및 우리은행 모의해킹 경진대회 등 보안 인력 교육 및 역량 강화 활동이 확대됨.
– SAP, 엔비디아, 오라클 등 글로벌 IT 기업 간 협업과 조직 개편, 투자 소식 등도 보안뿐 아니라 경영과 기술 발전 측면에서 주목할 만함.

【정치·국제적 사이버 위협과 공공 대응】
– 미국, 유럽 및 아시아 각국에서 발생한 해킹 사건과 피싱, 불법드론 대응, 이동형 불법 기지국 관련 범죄가 지속되고 있으며, 북미와 유럽에서는 기업 신용평가에도 사이버 보안 수준이 반영될 예정임.
– 러시아 연계 공격 및 몰도바 선거 개입 시도처럼 국가 간 사이버전이 현실화되는 가운데, 보안관리 담당자는 국외 공격 기법과 정책 변화를 지속 모니터링해야 함. – 악성 GitHub 페이지를 이용한 정보 탈취 및 도메인 프론팅 기법 등, 글로벌 공격 환경의 복잡성이 더욱 가중되고 있음.

─────────────────────────────────────────────
보안관리 담당자는 클라우드 인프라 및 네트워크 보안 도구 업데이트, 최신 취약점 패치와 함께 정부 및 금융권의 보안 규제 동향을 면밀하게 검토해야 함. AI를 활용한 공격 기법과 제로트러스트 보안전략 도입, 그리고 국가 간 사이버 위협에 대한 국제 협력 강화 역시 우선 과제로 부각되고 있으므로, 실시간 모니터링 및 보안 인력 교육 확충을 통해 위협에 선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함.

2025년 9월 24일 수요일

사이버 보안 위협 종합 해킹 랜섬웨어 AI 보안 인프라 취약점 대응

• IMDS 관련 이상행위 분석 – IMDS(Instance Metadata Service)를 악용해 드물게 나타나는 행동 패턴을 추적, Exploit을 발견하는 연구 사례가 발표되었으므로, 클라우드 인프라의 메타데이터 서비스 접근 제어와 로깅을 강화해야 함.

• AI와 차세대 보안 솔루션 – CRWD 등 주요 보안 기업들이 AI 혁신을 통해 사이버 위협 대응 체계를 재도약 중이며, 보안 관리자는 최신 AI 기반 보안 솔루션 동향과 활용 방안을 점검할 필요가 있음.

• 공항 랜섬웨어 공격 사례 – 유럽 주요 공항의 자동 체크인 시스템이 랜섬웨어 공격으로 마비되어 항공편 지연·취소 사태가 발생함. 항공 보안관제 및 사이버 방어 R&D,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강화가 요구됨.

• 유명 브랜드 도용 및 피싱 경고 – LastPass를 포함한 유명 브랜드의 도용 사례가 보고됨과 동시에 GitHub 공식 알림 시스템을 이용한 피싱 캠페인 등, 브랜드 신뢰도와 사용자 인증체계 강화에 주의해야 함.

• Linux 프록시 서버 보안 강화 – Linux 환경에서 프록시 서버 구성 및 보안, 프라이버시 강화 방법이 안내됨. 내부 네트워크의 접근 제어 및 트래픽 모니터링 강화에 참고할 만함.

• 금융권 및 외주 전산 해킹 사건 – 사모펀드 20곳 해킹 피해, 롯데카드, KT 등 연쇄 해킹 사건이 발생하며, 금융 및 IT 외주업체의 보안 취약점이 부각됨. 정부와 금융위원회의 CEO 책임 강화 및 전면적 보안체계 점검 요구가 대두됨.

• 국가 보안 체계와 공공기관 취약점 – 금보원, KISA 등 사이버보안 컨트롤타워 부재 지적 및 국가망보안체계(N2SF) 전환에 따른 공공기관의 보안 대응 전략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짐. 공공부문과 민간의 역할 분담 및 정책 개발이 시급함.

• 2025년 사이버 보안 EPR 테스트 결과 – 주요 보안 솔루션들의 성능과 취약점 보완 상황이 공개됨에 따라,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보안 솔루션 선택과 업데이트 주기 재검토 필요.

• 항공 안전 및 보안 R&D – 항공기 내 보안 강화와 관련한 R&D 추진전략이 논의되고 있어, 관련 업계는 스마트 항공 보안 시스템 개발 및 적용에 주목해야 함.

• 오픈 소스 보안 도구와 GitHub 프로젝트 동향
  - eBPF 기반 네트워킹 및 보안 도구,
  - Nuclei와 같은 취약점 스캐너,
  - OpenZeppelin Contracts를 통한 스마트 계약 보안,
  - Single Sign-On Multi-Factor 포털의 OpenID 인증,
  - OWASP Cheat Sheet 시리즈 등 다양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음.
보안 관리자는 최신 오픈 소스 도구와 GitHub 커뮤니티의 협업 소식을 주시하여 내부 보안 점검과 도구 도입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

• 연쇄 해킹 및 해킹 사고 – SKT, KT, 롯데카드 등 대형 기업에서 연쇄 해킹 사고가 발생하며, 해킹 사고의 원인으로 펨토셀 취약점 등 과거 경고를 외면한 점이 지적됨. 보안 예산 축소, 해킹 사고 과징금 부과 등의 이슈가 함께 제기되어, 고위 경영층과 보안 담당자가 전사적 보안 점검과 예방 조치를 재검토해야 함.

• 개인정보 및 민감 정보 유출 – 오픈AI 챗GPT의 ‘딥 리서치’ 모드 취약점, 자산운용사 대상 랜섬웨어 공격과 개인정보 유출, 금융사 해킹 사고 등 최근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사건이 다수 발생하고 있음. 관련 조사와 보안 강화, 모니터링 체계 확립에 주목해야 함.

• 최신 취약점 및 공격 기법 –
  - SolarWinds Web Help Desk의 치명적 취약점,
  - XSS, 커맨드 인젝션, npm 패키지(fezbox) 악성 코드 배포,
  - 악성 온라인 속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시스템 침해 시도 등 다양한 공격 기법이 발견됨.
보안 관리자는 소프트웨어 취약점 관련 공지사항, 패치 업데이트, 실시간 위협 정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조치해야 함.

• 대규모 DDoS 공격 및 대응 – Cloudflare가 22.2 테라비트수준의 분산 서비스 거부(DDoS) 공격을 성공적으로 완화한 사례는, 네트워크 방어 체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키며, 관련 인프라 보안 강화와 위협 탐지 시스템 점검이 필요함.

• Windows 및 클라우드 보안 가이드 – Microsoft의 Windows 11 업데이트로 인한 일부 문제점, 그리고 Windows Admin Center에서 인증서 기반 인증 도입 관련 가이드가 발표됨. 이를 통해 최신 운영체제 및 관리 툴의 보안 설정 강화를 검토해야 함.

• 산업 및 국가간 사이버 전쟁, 양자보안 대응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및 국가간 협력 속에서 사이버 공간이 주요 전쟁터로 부상함과 동시에, 양자컴퓨팅 시대 보안 준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됨. 보안 체계 전반에 걸쳐 미래 지향적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함.

• 기타 기업 보안 및 IT 환경 변화 –
  - 보험사 랜섬웨어 피해,
  - IT 인재 유치(예: H-1B 비자 인상 이슈),
  - 기업 간 파트너십 및 기술 협력(예: 인텔, 엔비디아 동맹; 카카오와 오픈AI 협력)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보안 및 IT 환경 변화가 감지됨.
보안 담당자는 이와 같은 글로벌 및 산업별 동향을 참고하여, 기업 내 보안 투자 및 기술 트렌드 분석에 반영해야 함.

전반적으로 보안 관리 담당자는 최신 공격 기법, 취약점 공지사항, 정부 및 금융권의 대응 사례, 오픈 소스 보안 도구 개발 동향, 그리고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 진행 중인 보안 R&D 및 정책 변화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내부 보안 인프라와 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점검·보완할 필요가 있음. 최신 정보 및 업데이트는 각 기업, 정부 발표, GitHub 저장소, 보안 관련 국제 및 국내 뉴스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종합적으로 대응해야 함.

2025년 9월 23일 화요일

보안관리 주요 이슈 해킹 사고, 공급망 공격, AI 위협 및 보안체계 재정비

■ 민간기업 해킹 및 정부·기관 대응
– 민간기업 연달아 발생한 해킹 사고에 대해 정부의 책임과 보안 대책 재검토 요구가 제기됨.
– 해킹 사고 지연 신고 시 과태료 부과 등 제재 강화 움직임과 개인정보 보호 강화, 롯데카드 및 KT 해킹 사건 후 방통위와 대통령실이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임.
– “금융권 보안 체계 총체적 위기” 등 보안 투자 미흡 지적과 함께, 보안업계와 정부는 통신, 금융 등 주요 부문의 보안 재정비 및 통합 컨트롤에 주목해야 함.

■ 사이버 공격 및 악성 행위 동향
– 항공기 탑승 시스템, 유럽 공항 및 통신 3사 해킹 등 공급망 공격 및 사이버 침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악성코드 유포 및 랜섬웨어 사건(예: Kawa4096, BlackLock, 하이브리드페트야)이 조직 내부 침투 및 피해 확대 수단으로 활용됨.
– 최근 6년간 사이버 침해 건수가 7천 건을 돌파한 사례와 전 세계적으로 FBI spoofing 경고, RCMP의 사이버 작전 등 국가 단위의 대응 사례가 등장.

■ AI와 최신 기술을 이용한 위협 및 보안 도구
– 사이버 연구진이 새로운 EDR 회피 도구와,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한 최초의 악성코드 ‘MalTerminal’ 등 AI 기반 공격 수법을 공개하여 보안 환경에 새로운 위협을 제기함.
– AI 취약점 탐지, AI 레드팀 강의 개최 및 AI 에이전트 도입 등 내부 보안 강화와 최신 기술을 활용한 보안 대응 전략에 주목해야 함.

■ 오픈소스 보안 툴 및 커뮤니티 지원
– GitHub에서 공개된 Infisical(비밀 관리, PKI, SSH접근), Proxmox VE Helper-Scripts, Matomo, KeePassXC, Nuclei(취약점 스캐너), 싱글 사인온 MFA 포털, IPsec VPN 서버 구축 스크립트, NGINX 오픈소스 등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보안 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있음.
– UNIX 계열 역공학 프레임워크, eBPF 기반 네트워킹, 보안 및 관측, 역공학 도구 등도 점차 주목받고 있으며, 이들 툴은 조직의 취약점 진단과 보안 점검에 유용함.

■ 산업 및 기업 보안 관련 최신 솔루션·투자 동향
– 기업용 AI 기반 솔루션, 클라우드 보안 전환(SSE 적용) 및 네트워크·보안 통합 솔루션이 중소 MSP와 대기업 모두에서 관심 대상임.
– 델, 인텔, 큐브리드 등 주요 IT 기업이 서버, DB 자동화, AI 기반 API 보안 플랫폼 등 신제품 및 기술을 발표하며 보안 기술 발전과 상용 솔루션 도입이 활발함.

■ 블록체인 및 개인정보 보호 강화 노력
– 글로벌 블록체인 기술·정책·산업 동향분석 보고서(여러 주차)와 정부의 개인정보 보호체계 강화, 안전한 개인정보 활용 지원 사업 등이 강조됨.
– 개인정보 유출(롯데카드 해킹 등)과 관련해 개인정보위 및 테크노파크, 혁신기획담당관 등이 고도화된 보호체계 확립에 주력하고 있음.

■ 주요 해킹 방법론 및 최신 공격 사례
– Windows 보안 부팅 무력화, LNK Stomping 기법, Oracle Database Scheduler의 기능 오용, Microsoft Exchange의 인박스 규칙을 이용한 지속적 침투 등 다양한 신종 공격 수법이 등장.
– GitHub에 의한 악성 GitHub Repository를 활용한 Mac 사용자 대상의 피싱 및 RAT(원격 액세스 트로이 목마) 등도 확인됨.

■ 국제·글로벌 사이버 위협 및 대응
– 미국 FBI 경고, 영국 내 해킹 범죄자 체포, 글로벌 금융 및 기술기업 대상 해킹 및 피싱 공격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 보안 커뮤니티는 공급망 공격, 제로데이 취약점, 부트킷, AI 기반 공격 등 최신 위협에 주의하도록 권고 중임.
– Google Chrome 제로데이 CVE, Microsoft 및 Cloudflare가 연계한 피싱 네트워크 해체 등의 사례에서 보안업계의 신속한 대처 필요성이 강조됨.

■ 기업용 솔루션 및 신기술 시장 동향
– AI 및 클라우드 관련 기술(예: AWS 생성형 AI, OpenText 보안 솔루션, AI 에이전트 통합)이 보안 제품과 서비스 혁신에 기여하며, IT 인프라 전반의 보안 자동화와 네트워크 방어 체계 개선에 집중되고 있음.
– 산업 제어 시스템(ICS)와 같은 핵심 인프라 대상으로 악의적 스크립트, 피싱 공격 등 첨단 위협이 지속적으로 등장 중이며, 보안관리 담당자는 이에 따른 실시간 모니터링과 보안 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해야 함.

■ 추가 주목사항
– 보고된 GitHub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은 보안 담당자가 자사 환경 점검과 취약점 스캐닝, 암호 및 PKI 관리 체계 강화 시 참고할 만함.
– 다수의 뉴스 및 분석 기사(최근 2025-09-22 기준)에서 지적된 ‘늑장신고’, ‘공급망 공격’, ‘AI 활용 악성코드’, ‘랜섬웨어 재출현’ 등은 보안 정책 재정비 및 기술적 대응 요구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음.

보안관리 담당자는 위 이슈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기존 보안 체계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AI 및 오픈소스 도구를 활용한 최신 위협 대응 전략을 마련할 것. 동시에 정부 및 관련 기관의 대응 지침과 업계 동향을 모니터링하며, 내부 보안 교육과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2025년 9월 22일 월요일

국내외 사이버 보안 위협 및 대응 동향 요약

– 러시아 봇넷이 DNS 구성 오류와 침해된 MikroTik 라우터를 이용해 대규모 스팸 캠페인으로 악성코드를 배포한 사례가 드러남. 보안 관리자는 네트워크 장비 구성 점검과 DNS 보안 설정 강화, 악성 트래픽 모니터링 등의 예방 조치가 필요함.

– 광주고용노동청장 이도영이 ㈜명신 군산공장의 취약점을 시정 조치한 사건이 언급됨. 물리적 및 시스템 보안 점검, 취약점 분석 후 신속한 패치 적용의 중요성이 강조됨.

– 국내 보안 관련 기사에서는 지난 6년간 침해사고가 7,000건을 돌파했다는 경고와 함께, 해킹 빈도 및 규모가 증가하고 있음을 지적. 정부 기관 및 기업의 보안 투자와 통합 대응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부각됨.

–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엔트라ID 취약점이 전 세계 계정 보안에 위협이 되고 있다는 보도가 있음.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 정책 재점검과 다중 인증, 권한 관리 등의 강화가 요구됨.

– 카드 정보 유출 및 악성코드 삽입 사건에서 실형 선고 비중이 낮아 처벌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등장. 금융권 등 민감 정보를 다루는 기업은 내부 보안 규정 강화와 법적 대응 체계 마련이 필요함.

– macOS 사용자를 대상으로 가짜 GitHub 저장소를 통해 악성코드를 대규모 유포한 사건이 보고됨.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시 신뢰할 수 있는 소스에서 검증된 패키지를 사용하고, 사용자 보안 교육 강화가 요구됨.

– 금융지주회사와 자회사 간 공동 대응을 통한 보이스피싱 예방 사례는, 협업과 정보 공유를 통한 위협 대응의 좋은 사례로 주목됨.

– 대법원 판결로 미국 IP 기업이 한국 내에서 발생한 특허료 수입에 대해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와, 지식재산권과 관련한 보안 및 법적 이슈에 대한 관심을 높임.

– 오픈소스 보안 도구와 플랫폼 관련 GitHub 프로젝트들이 다수 언급됨.  • Infisical – 비밀 관리, PKI, SSH 접속 관리 플랫폼  • Proxmox VE Helper-Scripts (Community Edition)  • Matomo – 구글 애널리틱스에 대한 오픈소스 대안으로 개인정보 보호 중심의 웹/앱 데이터 분석 도구  • 누출된 credentials, 리버스 엔지니어링 프레임워크, eBPF 기반 네트워킹/보안 및 관찰 도구, KeePassXC (비밀번호 관리)  • 컨테이너, Kubernetes, 클라우드 내 취약점 및 구성 오류, SBOM 탐지 도구 등

– 여러 기사에서는 국내에서 연이어 발생하는 해킹 및 유출사고, 해킹 사고 증가, 정부 및 기업 보안체계의 미흡함을 지적하며, 보안 재난에 대한 인식 개선과 체계적 보안대책 마련의 절실함을 강조함. 특히 KISA(한국인터넷진흥원) 내부 문제와 보안 하청 구조의 취약성이 언급되며,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협조가 요구됨.

– APT 집단에 의한 AI 무기화 경고와 사이버 보안 AI 데이터셋 실증 참여 설명회 소식 등이 등장해, 인공지능이 사이버 공격 도구로 활용되는 신종 위협에 대한 대비와 최신 기술 적용의 중요성이 부각됨.

– 해킹 사고 및 보안 취약점에 따른 처벌 미흡, 보안 투자 부족 등 문제에 대한 사설 및 비판 기사들이 다수 실리며, 보안 위협을 기술 문제를 넘어서 국가 안보 차원에서 다루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됨.

– 마지막으로, 최신 Synthetic Data Generation Tools와 같은 AI 및 테스트 도구에 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어, 보안 관련 최신 기술 동향과 도구 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킴.

보안관리 담당자는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인프라 보안 점검, 취약점 신속 패치, 보안 인식 제고, 내부 및 외부 협업 체계 강화와 함께 최신 오픈소스 보안 도구와 AI 기반 위협 대응 기법을 적극 도입하는 등 다각도의 접근을 고려해야 한다. 최신 연구 및 GitHub 프로젝트, 정부 및 산업계 보안 사례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보안 정책 및 대응 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임.

2025년 9월 21일 일요일

보안 위협 대응 및 인프라 강화: 해킹 사고, 랜섬웨어, AI 오남용, 클라우드·OT 취약점 집중 분석

[롯데카드 해킹 및 금융 보안 강화 필요] • 롯데카드 해킹 사고 사례가 반복적으로 보도되고 있음. 막대한 보안예산 투입에도 불구하고 해커에 의해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국회에서 KT·롯데카드 해킹 사건에 대해 청문회를 열어 전반적인 보안 시스템 점검과 금융권 해킹 조사 및 징벌적 과징금 부과 여부를 검토 중임. • 배종찬의 보안 빅데이터 분석과 “내 카드 안전할까” 등의 보도가 금융 및 카드사 보안 취약점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어, 보안관리 담당자는 내부 통제와 침투 테스트 강화, 재사용 비밀번호 등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 대응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음. • 정부는 신고 여부와 관계없이 기업 해킹 사고를 직접 조사할 계획이며, 특히 금융사에 대해서는 강력한 제재가 시행될 가능성이 있어 관련 정책 동향을 주시해야 함.

[국내외 해킹 사고와 APT 조직 활동] • 공공리포트와 WIRED에 따르면, 롯데카드 해킹과 Azure 고객 계정 접근 허점 등 대형 해킹 사고가 연이어 발생. 동시에, Turla와 Gamaredon—러시아 FSB 산하의 첩보 조직들이 활동 중임을 보도, 지정학적 관점에서 국가 주도의 APT 위협에 주목해야 함. • 국내 기업과 기관들이 ‘건라’ 랜섬웨어 등 새로운 랜섬웨어 공격에 직면하고 있으며, “포스트 콘티” 관련 공격 기법이 급부상하는 등 최신 공격 양상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신속 대응 체계 구축이 요구됨.

[랜섬웨어·피싱 및 EDR 우회 공격의 진화] • 광주시에서는 AI 기술을 활용해 랜섬웨어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내며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나, 전반적으로 랜섬웨어 위협은 계속 진화하고 있음. ‘서비스형 피싱(PhaaS)’의 등장 역시 전통적 랜섬웨어보다 더욱 위험한 공격 수단으로 부상. • “클릭픽스 이어 파일픽스” 등 EDR(침입 탐지·대응 시스템) 우회 공격 기법이 발전하고 있어, 보안관리자는 기존 보안 솔루션의 한계를 인식하고 최신 위협 정보와 대응책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음.

[AI 보안 및 악용 위험] •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해커에게도 AI 도구가 제공될 경우, 사이버 보안 위기가 가중될 수 있음. “AI가 해커 손에 쥐어지면… 사이버 보안 위기 '비상'” 보도처럼, AI 기술의 이중성에 주의하며, AI 기반 보안관제와 위협 탐지 시스템 도입을 고려해야 함. • 메타넷티플랫폼의 ‘생성형 AI 기반 차세대 보안관제’와 같이 클라우드 및 AI를 활용한 보안솔루션이 등장하고 있으므로, 최신 기술 동향 및 관련 솔루션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산업 자동화(OT) 및 클라우드 보안 강화] • OT(산업 자동화 시스템) 취약점이 주요 리포트에서 지적되었으며,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ADC 스위치 등 3선 보안관제체계 구축이 강조됨. 또한, 소프트캠프의 SHIELD Drive와 같은 솔루션이 클라우드 보안 강화에 활용되고 있음. • Azure와 같이 글로벌 클라우드 플랫폼에서의 보안 취약점 사례가 발생한 만큼, 클라우드 보안 설정과 접근 제어를 재점검하고, 침해 사고에 대비한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해야 함.

[보안 도구 및 오픈소스 프로젝트 동향] • GitHub에서 Matomo, 리브릿지 도구, UNIX-기반 역공학 프레임워크, eBPF 기반 네트워킹·보안, OpenZeppelin Contracts, OWASP Cheat Sheet, 네트워크 모니터링 툴 등 보안 관련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주목받고 있음. 이들 도구는 취약점 분석, 침투 테스트, 로그 모니터링 및 개발 보안 강화에 유용하므로, 보안담당자는 최신 오픈소스 도구 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해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 • 특히 SSO 다중인증 포털 및 GenAI를 활용한 RAG(검색・응답 생성) 도구 등은 보안 프로세스와 사용자 인증 강화 측면에서 참고할 점이 많음.

[보안 인력 및 조직 체계 강화] • 순천향대 제23회 청소년 정보보호 페스티벌 성료 및 신진 화이트해커 등 젊은 보안 인재의 등장, 그리고 전 국정원 3차장이 율촌에 합류해 ‘통합보안센터’를 출범한 사례는 보안 전문 인력 양성과 조직 체계 강화를 시사함. • 대기업 및 공공기관은 내부 보안 인력 역량 강화와 더불어, 최신 보안 위협에 실시간 대응할 수 있는 통합보안관제 센터의 역할을 재정비해야 함.

[기타 동향 및 사회적 기여] • 한편, 글로벌 AI가 K-IP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기업들이 보안 외에도 사회적 기여(예: SFG 신화푸드그룹의 나눔 기부) 및 IP 경영 우수 기관 선정 등의 소식을 통해 기업 신뢰도 회복에 힘쓰고 있음. • 보안관리 담당자는 기술적 보안 강화 뿐 아니라, 조직의 전반적 리스크 관리 및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도 종합적인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최근 보안 사고와 관련 솔루션 동향, 오픈소스 도구 및 글로벌 APT 활동 등 다양한 측면의 정보를 종합하여, 보안관리 담당자는 내부 보안 강화, 최신 위협 기법 대응, 클라우드 및 산업 시스템 보안 재점검, AI 및 인증 시스템의 보완, 그리고 조직 내 보안 인력 및 체계 확장을 적극 검토해야 함.

2025년 9월 20일 토요일

보안관리 핵심 이슈 및 최신 동향 종합

• 정부·공공 정책 및 국제 협력
 - 방송통신사무소 공고 및 과태료/독촉장 반송에 따른 공시송달(부산분소)
 - 정부와 금융·통신 분야 해킹 사고 다발에 대한 범부처 대책 마련, 징벌적 과징금 및 지연 신고 과태료 인상 추진
 - 과기부·금융위가 해킹사고 원인을 악성코드와 보안패치 미비로 규명하며, 보안체계 전면 재검토 진행
 - 국회와 정부가 이동통신·금융 해킹사고 조사를 위한 청문회 개최 및 국가안보실 중심 대책 마련
 - KISA와 인도네시아, 한·일 사이버보안 협력 협의 등 국제 보안 파트너십 강화
 - IP 정책 관련 간담회에서 AI·로봇 등 신산업 특허 심사기간 단축 요구

• 기업 보안 투자·사건 및 산업 동향
 - 롯데카드 회원 297만명 정보 유출 및 부정사용 가능성 사건 발생, 피해액 전액 보상 약속과 5년간 1100억원 보안 투자 선언 (경영진 교체 기조 포함)
 - 지에프아이와 합병, 카카오의 500억 규모 AI 지역 거점 조성, 투비소프트의 엔비디아 ‘커넥트’ 공식 파트너 선정 등 기업 주도 보안 및 AI 인프라 강화
 - 넷스코프 IPO 첫날 18% 급등, 소프트캠프 및 싸이버원 등 보안주가 해킹 사고 여파로 주목받음
 - 에스투더블유 등 AI 사이버보안업체의 코스닥 상장 및 투자 활성화

• 해킹 사건, 취약점 및 악성코드 위협
 - ShadowLeak이 OpenAI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실행되며 프롬프트 인젝션과 차별화된 공격 방식 시사
 - Wiz Research: Vibe 코딩 방식 응용 프로그램에 조직의 20%가 시스템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경고
 - ChatGPT Deep Research 에이전트의 제로클릭 취약점이 Gmail 민감 정보 탈취 가능성을 보여줌
 - HubSpot의 Jinjava 템플릿 엔진 및 구글 크롬 제로데이(CVE-2025-10585) 등 주요 소프트웨어에서 치명적 취약점 발견
 - Ivanti Endpoint Manager Mobile (CVE-2025-4427, CVE-2025-4428)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 로더 공격 및 Orange Cert가 노키아 인증 우회 취약점 공개
 - NPM 공격으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공급망 위험이 부각됨
 - CountLoader를 비롯한 PDF 기반 랜섬웨어 전파, AI 기반 ‘슈퍼 악성코드’ 등 신종 악성코드 및 랜섬웨어 위협 증가

• 클라우드·엣지 보안 및 인프라 대응
 - AI PC 도입과 함께 클라우드 탈피, 엣지 보안으로 전환하는 추세에 대한 전망 제시
 - Cloudflare Tenant Service API 및 Dashboard 장애 발생 사례와 통합 탐지·대응 플랫폼 소개 (클라우드 내비게이터 관련 보도)
 - GitHub에 공개된 다양한 보안 도구(예: Nuclei 취약점 스캐너, OpenZeppelin 스마트 계약 라이브러리, 공식 NGINX 소스코드, VPN 서버 구축 스크립트 등)가 보안 취약점 진단 및 모니터링에 활발히 활용 중

• AI와 보안 혁신
 - AI 기술이 랜섬웨어 방어체계와 보안 점검, 악성코드 및 다크 AI 분석(카스퍼스키 사례) 등 보안 전반에 변화를 일으킴
 - 라드웨어 AI SOC 엑스퍼트, 클라우드플레어 커넥티비티 클라우드, 클라우드네트웍스의 AI 활용 세미나 등 AI 보안 솔루션 도입 가시화
 - 메타의 AI 안경 생태계 확장 및 웨어러블 액세스 툴킷 공개, Windows 11 Notepad의 AI 기능 업그레이드 등 IT 운영 및 신규 기술과 보안의 융합 시도
 - Trend Micro가 AI 기반 플랫폼(Lovable, Netlify, Vercel)을 악용한 피싱 캠페인 감지에 대해 경고

• 국제 및 사이버 범죄 조직 동향
 - 러시아 국영 해커 집단 Gamaredon, Turla 등 FSB 산하 해커들의 작전 스타일 및 표적 분석
 - 영국 법 집행기관이 Scattered Spider 사이버범죄 그룹 연관 인물 2명 체포
 - Tiffany와 같이 대형 브랜드의 데이터 유출 사례 발생 (2,590명 고객 정보 노출)
 - 자동차 사이버보안 콘퍼런스 ‘오토섹’에서 통합 보안 전략 및 대응 방안 발표, 관련 업계 협력 강화

• IT 인프라 취약점 및 기타 보안 이슈
 - 무단 소액결제 사건(IMEI 유출 등)과 통신사의 보안 취약점, 해킹 사고 후 청문회 개최 등 외부 위협 대응 강화 필요
 - Remote Monitoring and Management 도구(ScreenConnect 등)와 iOS 탈옥 환경에서의 비디오 인젝션 도구, 크롬, HubSpot 등 신기술 취약점에 대한 신속 패치 및 보안 점검 필수
 - 국가 연구기관에 대한 반복 해킹 시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 탈취 시도가 SKT·KT 사례에서 빙산의 일각임을 시사

• 산업 이벤트 및 교육·포렌식 대응
 - PATINEX 2025 개막과 위베어소프트-비트윈소프트의 인증서 자동화 솔루션 ‘서트베어 v1.0’ 선봬 등 신기술 전시
 - 마에스트로 포렌식이 취약점 진단 및 악성코드 탐지, 침해 사고 포렌식 특강을 개최하여 보안 인력 역량 강화에 집중
 -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자 양성교육(보안성능, 2차) 신청·접수 안내가 진행되며 교육을 통한 전문 인력 확보가 강조됨
 - 산업 전반에서 안전조끼 배부 등 물리적 안전 강화 사례도 나타남

최근 보안 트렌드는 AI를 이용한 공격과 방어, 공급망 및 클라우드/엣지 보안 강화, 국제 협력 확대가 핵심이다. 보안관리 담당자는 최신 취약점 패치, 오픈소스 보안 도구 업데이트, 공급망 보안 및 범부처/국제 보안 정책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기업의 보안 투자 및 교육 체계를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2025년 9월 19일 금요일

AI 보안 혁신·취약점 관리·해킹 대응 최신 동향

[특허·IP 및 교육] • “이달의 특허심사관, ‘나야 나!’” 및 특허심판원 관련 활동, IP교육 행사와 함께 중국 IP5 회의 참석 등 IP 분야의 최신 동향을 주시할 것.
• 필리핀 CHED 의장이 지적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 취약점은 글로벌 인재 양성과 관련된 보안 및 지식재산 교육 협력 측면에서 참고할 만하다.

[AI와 보안 기술] • 테너블이 AI를 이용해 취약점 우선순위를 산정하는 솔루션을 선보이며, 보안 관리 측면에서 AI를 통한 위협 분석·대응방법 전환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 오픈AI가 ‘프라이버시 필터’ 오픈소스를 공개함으로써 전 세계 AI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높이려는 움직임은 향후 AI 시스템 내 보안 통합의 모범 사례로 주목된다.
• 대통령 및 정부 고위 관계자가 “보안 없이는 AI 강국도 사상누각”이라고 발언한 것처럼, AI 도입과 보안 인프라의 동시 강화가 중요하다.

[오픈소스 도구 및 GitHub 프로젝트] • Matomo와 같이 오픈소스 기반의 분석 플랫폼, 그리고 다양한 GitHub 프로젝트(예, leaked credentials 분석 도구, UNIX-like 역공학 프레임워크, eBPF 기반 네트워킹∙보안 도구, 멀티팩터 SSO 포털, OpenZeppelin Contracts 등)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으니, 기업 보안 관리 체계에 통합 가능한 도구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랜섬웨어, 피싱, 원격 접근 트로잔 분석 및 인터셉팅 프록시, 윈도우용 사용자 모드 디버거 등 개발자와 보안 담당자가 최신 위협 대응 도구 정보를 GitHub와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주시할 것.

[취약점 업데이트 및 패치 소식] • Google Chrome이 네 가지 중대한 취약점(제로데이 포함)에 대한 긴급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했고, Varonis Threat Labs는 브라우저 취약점이 10년 이상 방치되어온 문제를 지적하는 등 소프트웨어 취약점에 대한 신속한 패치와 관리가 요구된다. • Greenshot, TP-Link 라우터, PureVPN Linux 클라이언트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네트워크 장비에서 발견된 취약점 사례는 체계적 취약점 진단 및 패치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킨다. • WatchGuard Firebox와 같은 네트워크 보안 장비에서의 심각한 취약점(CVE-2025-9242)도 확인되었으므로, 관련 제품 사용 시 즉각적인 조치와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해킹 사고 및 데이터 유출] • 롯데카드 해킹사고로 297만 고객 정보와 200GB 이상의 데이터가 유출되었으며, 해킹 사고 후 인적 쇄신과 보안 강화, 징벌적 과징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KT 및 통신 3사 관련 해킹 및 무단 소액결제 사건, 그리고 LG전자 TV 업데이트 패치 배포 사례는 소비자 개인정보 보호와 신속한 사고 대응 체계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BMW, 구찌·발렌시아가 등 대형 기업 및 명품 브랜드 해킹 사건, 몽클레르 개인정보 유출, 그리고 ShinyHunters 등 해커 그룹의 활동 확대는 사이버 범죄 전반에 대한 위험도를 상승시키고 있으므로, 피해 규모 및 대응 전략 점검이 필요하다. • 미국 하원에서 발의한 광역 정보관리법안과 EU 정보보호 감독기관의 AI 관련 규제 움직임 등, 글로벌 규제 변화도 연계해 내부 보안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

[랜섬웨어 및 사이버 악성 활동] • Qilin과 Everest 랜섬웨어, Warlock Group(별칭 GOLD SALEM) 등 최신 랜섬웨어 및 공격 그룹의 활동이 보고되었으며, AI 기술을 활용한 대응 및 탐지 체계(랜섬트레이스 등) 구축에 주목해야 한다. • 악성 코드로 분류되는 Raven Stealer, Spyware, 그리고 Python 기반 RAT을 유포하는 악성 패키지 등 새로운 공격 벡터가 등장하고 있어, 전사적 위협 인텔리전스와 더불어 실시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Splunk가 발표한 Remote Employment Fraud(REF) 탐지 가이드와, 페이스북 외부 URL 경고를 악용한 피싱 캠페인 사례 등은 사회공학 기법과 비대면 환경 보안 강화에 대한 주의를 요구한다.

[국내외 사이버보안 행사 및 정부/기관 동향] • 광주광역시가 AI 기반 랜섬웨어 방어로 행안부장관상을 수상하고, 대동과 KT·롯데카드 해킹 사건 등 주요 사이버 사고를 계기로 정부와 금융당국이 사이버보안 체계 전면 재검토에 나섰다. • KISA와 샌즈랩이 주최하는 ‘2025 사이버보안 AI 데이터셋 실증 참여 설명회’, 트렌드마이크로의 ‘월드 투어 2025 서울’ 및 IBM AI 서밋 코리아 등 주요 보안 컨퍼런스는 최신 보안 기술, 정책, 그리고 위협 대응 전략을 논의하는 장으로, 보안 담당자는 참여 또는 자료 검토를 통해 최신 트렌드를 파악해야 한다. • 이동통신 3사 CEO의 국회 청문회 증언, 그리고 “카드·통신 해킹” 관련 정부 및 국회 압박 사례 등은 조직 내 최고 보안 책임자가 정부와 협력하여 사고 예방과 위기 대응 체계를 재정비할 필요를 보여준다. • EU CRA에 따른 사이버 보안 규제 대응 및 국내외 투자·협력 동향(윈드리버·현대모비스, 스먀일샤크, 몽고DB, 와이즈넛, 오라클 등)도 기술적·전략적 협업의 새로운 방향을 시사하므로 주시할 만하다.

[기타 관련 뉴스 및 도구] • 오케스트로의 ‘탈VM웨어’ 추진, 양자컴퓨팅 시대의 데이터 안전 보장 위한 대응 방안, 그리고 국산 1위 DBMS 티맥스티베로 해킹 사례 등은 다양한 IT 인프라의 보안 취약점을 노드별로 점검할 시급함을 알린다. • 국내외에서 발표되는 다양한 카드뉴스(예,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스미싱, 가족 명절 피싱 주의 등)와 언론 보도를 통해 최종 사용자 대상 피싱 경고 및 보안 인식 제고 활동 역시 현장의 보안 관리자가 참고해야 할 중요한 내용이다. • GitHub 상의 다양한 오픈소스 보안 프로젝트 및 도구 업데이트, 오픈소스 기반 보안 솔루션(예, 펜타시큐리티 WAAP ‘와플 v7.0’, 체크멀의 랜섬웨어 분석 서비스 등)은 조직 내 보안 솔루션 보강 및 새로운 기술 도입의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또한, 정보 유출 및 불법 기지국 장비 확보, 해킹 관련 수사 진행 상황(예, KT 무단 소액결제, 인천공항 검거) 등은 실시간 위협 환경을 반영하여 내부 보안 통제와 대응 프로세스를 교정하는 데 참고해야 할 사항이다.

전반적으로 보안관리 담당자는 AI 기술을 활용한 신기술 및 오픈소스 도구의 도입, 지속적인 취약점 모니터링과 패치 관리, 대형 해킹 사고 및 데이터 유출 사례 분석을 통해 전사적 보안체계를 강화해야 하며, 정부 및 국제 규제 동향과 산업계 주요 움직임을 면밀히 주시하여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2025년 9월 18일 목요일

보안 신기술 취약점 해킹 공격 인프라 위험 동향

Seraphic가 CrowdStrike Marketplace에서 Secure Enterprise Browser(SEB) 솔루션을 출시하면서 엔터프라이즈 보안툴 시장에 새로운 선택지가 등장했다. 보안관리 담당자는 최신 브라우저 보안 솔루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피싱 및 악성코드 공격] • 이더리움 개발자를 노린 스트리밍 피싱 및 ‘메타 계정정지’ 경고와 같이 금융 및 가상자산 분야에서 정교한 피싱 수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 해커들이 가상자산 거래소 채용담당자 사칭, 직원 PC에 악성코드를 설치하는 등 내부 침투를 시도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조직 내부 보안 교육과 의심스러운 이메일 자동 필터링 강화가 필요하다. • 안랩과 같은 기업에서는 견적서 요청을 사칭한 피싱 메일로 다크클라우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으므로, 외부 메일 검증 및 모니터링 강화를 추진해야 한다.

[신종 취약점 및 공개소스 도구] • Linux 커널의 KSMBD 구현에서 원격 공격자가 서버의 연결 자원을 고갈시킬 수 있는 핵심 취약점(CVE 등)이 발견되었으며, Windows Boot Manager의 “BitPixie” 취약점으로 BitLocker 암호화를 우회하고 권한 상승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 Chaos Controller Manager GraphQL 서버의 기본 설정 취약점(CVE-2025-59358~59361) 및 Kubernetes C#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의 중간자 공격 취약점도 보고되어, 관련 시스템 패치와 모니터링이 시급하다. • GitHub 상의 오픈소스 보안 도구들 – Slim(toolkit), UNIX 리버스 엔지니어링 프레임워크, eBPF 기반 네트워킹/보안 툴셋, Gitleaks, SSO 멀티팩터 포털, OpenZeppelin Contracts 등 – 은 개발 및 보안 분석에 유용하므로 참고해 보안 자동화 및 코드 리뷰 프로세스를 강화할 수 있다.

[공급망 및 API 공격] • Supply chain 공격 사례로 Shai-Halud이라 불리는 NPM 패키지 대상 공격이 발생해 JavaScript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쳤으며, FileFix 공격 캠페인이 실제 환경에서 확인되는 등 공급망 위협이 심화되고 있다. • API 대상 공격이 2025년 상반기에 40,000건 이상 보고되었으므로, API 보안 점검 및 취약점 스캐닝, 접근 통제 등이 필수적이다. • PureHVNC 리모트 액세스 트로이 목마의 구성 요소가 GitHub에 공개되면서, 원격 액세스 위협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랜섬웨어, 정보 탈취 및 악성 광고] • XillenStealer라는 Python 기반 정보 탈취 악성코드가 Windows 시스템의 민감정보(브라우저 자격증명 등)를 수집하는 위협이 등장했다. • 글로벌 광고 사기 캠페인 SlopAds와 같은 악성 광고 및 클릭 사기 캠페인이 정교해지면서, 광고 네트워크와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점검이 필요하다. • Magecart 스타일의 악성 JavaScript 삽입 공격이 온라인 결제 단계에서 데이터를 탈취하는 위험이 증가하고 있어, 결제 시스템의 소스 코드 및 스크립트 무결성 검증을 강화해야 한다.

[금융 및 카드 보안 사건] • KT, 롯데카드, SK텔레콤 등의 해킹 사건이 잇따르면서 금융권과 통신사의 내부 보안 시스템과 모니터링 체계 재점검이 요구된다. • 롯데카드의 해킹 사고 규모 확대 및 MBK의 보안 소홀 문제가 부각되면서, 고객 정보 보호를 위한 보안 인프라 강화와 위기 대응 매뉴얼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 은행 및 카드사에서는 내부 침투, 직원 대상 악성코드 설치 시도, 그리고 해커가 내부 데이터를 유출하는 사례에 대해 제로트러스트 모델 및 다중 인증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

[국내외 정책, 업계 동향 및 AI 보안] • 개인정보 이노베이션 존 운영기관 지정 공모, KISA 주관 ICT·AI 분쟁조정 경연대회, 정부의 국외 사용 영업비밀 원본증명서 인증 등 정부 및 기관 차원의 보안·개인정보 보호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 중국의 ‘1시간 내 보고’ 규제와 엔비디아 제재 등 글로벌 사이버 및 AI 공급망 동향은 국내 보안 정책과 협업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관련 규제 동향과 국제 협력을 주시해야 한다. • AI 기반 보안 솔루션(예: AI로 보이스피싱 탐지, SQL 자동 변환 솔루션, AI 보안 기능 강화 등)과 AI 채팅봇 정책(오픈AI의 청소년 보호 강화 정책) 등 AI를 융합한 기술 발전은 보안 전략에 중요한 참고사항이다.

[기타 인프라 및 정보 유출 사례] • 삼성 이미지 라이브러리, 일부 SK하이닉스 DDR5 메모리, LG 스마트TV 등 다양한 인프라와 제품에서 제로 클릭 백도어 및 신규 취약점이 발견되었으며, 기업은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 전반에 걸친 보안 취약점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 내부 자료 유출 및 랜섬웨어 피해 사례(예: 휴맥스홀딩스 사건)와 더불어, 해커들이 내부 자료를 유출해 공급망 및 조직 신뢰도를 훼손하는 사례에 대한 대응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 GitLab, Microsoft DCU 등의 글로벌 디지털 범죄 대응 사례—예를 들어 RaccoonO365 피싱 플랫폼에 대한 제재—는 신속한 대응 및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추가 최신정보 및 대응 권고] • MITRE ATT&CK Evaluations 참여 확대와 보안 업체 간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주요 보안 솔루션 평가와 피드백을 참고해 보안 투자 및 우선순위 결정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 새로운 사이버 위협 캠페인(AdaptixC2, BeaverTail 변종, Google Sheets/C2 채널 운영 등)과 관련해 위협 인텔리전스 공유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 권장된다. • 웹 취약점 진단 무료 캠페인, 보안 취약점 신고포상제 도입 등 중소기업 및 공공기관 차원의 보안 강화 조치를 참고해 조직 내 보안 문화 정착이 요구된다.

전체적으로, 다양한 신종 취약점과 공격 기법, 공급망 위협, 그리고 금융 및 인프라 관련 해킹 사건들이 잇따르는 가운데, 보안관리 담당자는 기술적 취약점 패치, API 및 내부 침해 대응, 제로트러스트 및 다단계 인증 도입, 그리고 최신 위협 인텔리전스 공유 체계를 통해 보안 체계를 재점검하고 강화해야 한다. 최신 정부 정책 및 국제 보안 동향과 함께 오픈소스 도구 및 AI 기반 보안 솔루션 도입을 적극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