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kr 날으는물고기·´″°³о♡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보안 동향 사이버위협 제로트러스트 AI 랜섬웨어 OSINT 스마트계약

[정부·규제 및 공공 기관 발표] • 방송미디어통신사무소(공고 제2025-15호, 부산분소, 2025-11-27): 과태료 고지서 및 독촉장 반송 관련 공시송달 조치가 진행됨. 보안관리 담당자는 공시송달 방식과 대응 프로세스를 점검할 필요가 있음. • (공동) 금감원–금보원 간담회 (2025-11-26): GA(법인보험대리점) 대상 보안 강화 논의. 금융 및 보험 관련 기관은 보안 체계 재검토와 강화 방안을 모색해야 함. • 개인정보위 조치 (2025-11-27): 미국 스타벅스 본사와 홍콩 엘리베이트에 대해 개인정보 과다 수집‧처리로 시정명령이 내려졌으며, 안전조치 의무 위반 사업자 두 곳에 제재가 시행됨. 공공기관 및 민간기관 모두 개인정보 최소 수집 원칙과 안전조치 강화가 요구됨. • 캄보디아 ‘코리아 전담반’이 현지 스캠 조직을 적발(2025-11-27): 국외에서의 사이버 범죄 활동 및 스캠 조직 대응이 강화되고 있으며, 국제 협력의 중요성이 부각됨. • 「공공기관 가명정보 제공 및 관리 체계에 관한 규정」 제정안이 행정예고됨(2025-11-27): 공공기관에서 가명정보 활용과 관리가 체계화될 예정이므로, 향후 관련 규정 변경에 대비 필요.

[사이버 위협 및 동향 보고] • 해외 사이버 일일동향 (2025-11-27): 국제 사이버 위협 동향을 점검할 수 있는 일일 리포트로, 해외 위협 행위 및 공격 기법 변화를 모니터링해야 함. • 안랩 ‘2025년 사이버 위협 동향 & 2026년 전망’ 보고서 (2025-11-26/27): 침해 사건, 취약점, 랜섬웨어 등 다양한 보안 이슈와 트렌드 분석을 통해 내년 사이버 보안 위협을 예측. 보안관리 담당자는 이 보고서를 참고하여 향후 위험 요소와 대응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UNC2891 해커 그룹이 리눅스 기반 악성코드를 활용해 주요 금융권 보안 침해 사건을 일으킴(2025-11-26): 은행 및 금융 기관은 리눅스 서버 및 관련 인프라 방어 강화 필요. • Shai-hulud 2.0 캠페인 (2025-11-27): 클라우드 플랫폼과 개발자 서비스에서 자격 증명과 비밀 정보를 탈취하며, NPM 패키지에 백도어를 자동화하는 새로운 공격 기법이 등장함.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강화와 관련 모니터링이 시급함. • Ransom & Dark Web Issues – 2025년 11월 4주차 (2025-11-27): 랜섬웨어 및 다크웹 관련 이슈를 심도 있게 다루며, 관련 공격 패턴 및 새로운 위협 동향을 파악할 수 있음.

[제로트러스트 및 AI 기반 보안 전략] • 제로트러스트 보안전략: 데이터(Data) (2025-11-27): 데이터 보호를 위한 제로트러스트 접근법이 강조됨. 내부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자산 모두에 대해 “신뢰하지 말고 검증하라”는 원칙을 적용해야 함. • 사이버보안 특화 Vertical AI 구축 방안 (2025-11-27, 17:43): AI 기술을 활용해 보안 위협 탐지 및 대응 자동화 구현 전략이 제시됨. AI 기반 보안 솔루션은 실시간 위험 분석과 이상 징후 탐지에 도움이 되므로, 최신 AI 도입 동향과 관련 솔루션 검토가 필요함. • (관계부처 합동) 규제 합리화를 통한 AI 혁신 가속화 (2025-11-27) 및 신산업 규제합리화 로드맵(AI 분야) 발표 (2025-11-27): AI 기술과 관련한 규제 변화가 보안 및 IT 혁신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으로, 관련 정책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됨.

[보안 솔루션·오픈소스 및 도구 업데이트 (GitHub)]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최근 업데이트됨. 보안 관리 담당자는 최신 도구 및 솔루션을 활용하여 보안 체계를 강화할 수 있음. • Single Sign-On Multi-Factor portal for web apps now OpenID Certified™ (2025-11-27, 04:17, 25.9k 스타): 웹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강화를 위한 다중인증 포털. • OpenZeppelin Contracts: 스마트 계약 보안을 위한 라이브러리 (2025-11-27, 00:08, 26.8k 스타): 블록체인 및 스마트 계약 개발 시 안전한 코드 구현 필수. • All-in-one OSINT tool for analysing any website (2025-11-15, 06:54, 27k 스타): 웹 사이트 분석 및 정보 수집을 위한 OSINT 도구. • The official NGINX Open Source repository (2025-11-27, 03:46, 28.6k 스타): 웹 서버 보안을 위한 최신 NGINX 오픈소스 자료. • 취약점, 잘못된 설정, 비밀정보, SBOM 등을 컨테이너, Kubernetes, 코드 저장소 등에서 탐지할 수 있는 도구 (2025-11-26, 18:38, 30k 스타): 다양한 환경에 대한 보안 점검 가능. • 클라우드에서 개인 VPN 설정 (2025-11-27, 03:30, 30.1k 스타): 원격 접속 및 프라이버시 보호 강화. • TLS 지원 인터셉팅 HTTP 프록시 (2025-11-25, 03:47, 41.4k 스타): 침투 테스트와 개발 환경에서 HTTPS 트래픽 분석 가능. • Windows용 오픈소스 유저 모드 디버거 (2025-11-26, 22:18, 47.3k 스타): 리버스 엔지니어링 및 악성코드 분석에 최적. • 자동 HTTPS 기능을 갖춘 다중 플랫폼 고속 웹 서버 (2025-11-27, 01:57, 68.1k 스타): 최신 프로토콜(HTTP/1,2,3) 지원 및 보안 네트워크 구축에 유용. •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및 펜테스트/CTF용 유용한 페이로드 리스트 (2025-11-16, 01:37, 71.9k 스타): 보안 취약점 테스트와 모의 해킹 시 활용 가능.

[AhnLab 보안 솔루션 업데이트] • AhnLab TMS C (2025-11-27, 8:49): 강력하면서도 단순화된 보안 운영 구축 방안 제시 – 보안 운영의 효율화와 관리 체계 개선에 참고. • AhnLab AIPS C (2025-11-27, 8:46): 고성능 트래픽 처리 및 정교한 위협 대응 방안을 소개 – 대규모 네트워크 트래픽과 실시간 위협 대응에 적합. • 안랩의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2025년 사이버 위협 동향 & 2026년 전망): 최신 랜섬웨어, 침해사건, 취약점 분석에 기반한 미래 보안 전략 수립 필요.

[랜섬웨어 및 취약점 이슈] • 기존 랜섬웨어 코드를 재활용한 BlackField 랜섬웨어 (2025-11-27, 17:43 및 2025-11-27 반복): 전통적 랜섬웨어 기법을 변형하여 사용함. 랜섬웨어 대응 및 백업 체계 강화, 교육 및 모의훈련 필요. • EQST Insight 2025년 11월호 (2025-11-27, 17:44): 최신 보안 동향과 기술, 위협 분석을 소개하는 업계 리포트로, 보안 전략 수립과 정책 결정 시 참고할 만함.

[전자문서 및 산업 실태 조사] • 2025년 전자문서산업 실태조사 공표예정일 공지 (2025-11-27): 전자문서 관리 및 관련 보안 기준 재검토 필요. 관련 부서 간 조율 및 대응 계획 마련이 요구됨.

전체적으로, 보안관리 담당자는 최신 사이버 위협 동향(해외 및 국내 모두), 정부 및 규제 기관의 정책 변경, AI와 제로트러스트를 활용한 보안 전략 그리고 GitHub에 공개된 다양한 오픈소스 보안 도구 업데이트 정보를 주목해야 함. 추가로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클라우드 보안 강화와 관련한 최신 동향(Shai-hulud 2.0 캠페인, UNC2891 사건 등)에도 신속히 대응할 준비 및 국제 협력 강화가 필요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