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kr 날으는물고기·´″°³о♡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글로벌 사이버보안 트렌드 AI 보안 취약점 관리 인증 강화

· 에스투더블유가 싱가포르 및 아태지역 행사 “거브웨어 2025”에 참가하며 글로벌·AI 기반 사이버보안 전략을 논의. 보안담당자는 향후 AI 도입과 첨단 위협 대응을 위한 정책과 예산 배분에 주목할 필요.

· 금융 및 통신 분야에서 보안 사고가 지속되는 가운데, 강준현 의원 및 정부 관계자들이 사이버보안 책임 강화와 “사이버 경영 책임제” 도입 등을 요구. 특히 통신사 해킹 및 IT 시스템 취약점 점검 강화에 따른 규제와 징벌적 과징금 등 정책 변화가 예상됨.

· LG유플러스의 서버 무단 폐기 의혹 및 해킹 정황, SK쉴더스 유출 데이터 등 기업 내부 보안관리 체계의 중요성이 재부각됨. 보안관리 담당자들은 취약점 점검, 증거보전 및 사고 조기 탐지 체계를 재점검해야 함.

· Ubuntu의 커널 취약점(권한 상승, 서비스 거부 위험 USN-7289-1)과 Active Directory, Hybrid/Cloud 환경 보안 강화 등 인프라 취약점 보완에 집중. 기업은 최신 패치 적용과 보안 하드닝 작업을 꾸준히 수행해야 함.

· 구글과 IBM 등 글로벌 IT 대기업은 AI 기반 사이버보안 플랫폼 및 AI 추론 성능 강화를 발표. 새로운 보안 기술 도입을 참고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위협 탐지 및 대응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 로크웰오토메이션, 삼성전자, 현대로템 등은 산업 및 철도 분야에서 IEC 62443 등 국제 사이버보안 인증 획득을 통해 수주 경쟁력과 신뢰성을 강화. 산업 인프라 보안과 관련한 최신 인증 및 표준 동향을 주시할 필요.

· 랜섬웨어 공격이 정보 탈취와 데이터 암호화 기법을 결합하며 진화 중임. Gunra 랜섬웨어 및 신종 악성코드, ChaosBot(Discord를 통한 C2 운영) 등 신종 위협을 예의주시하고, 공격 패턴 분석 및 내부 방어 전략을 강화해야 함.

· GitHub 상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취약점 스캐닝(Nuclei), 비밀 및 자격증명 관리(Infisical, KeePassXC), 스마트 계약 보안(OpenZeppelin Contracts) 등 다양한 도구를 제공. 보안팀은 이를 활용해 IT 자산, 클라우드 환경, 컨테이너, 코드 저장소 등에서 발생 가능한 취약점을 선제적으로 진단·보완할 수 있음.

· 국가 및 기업 차원에서는 AI 해킹모델 등장과 사이버 범죄 생태계 변화—예를 들어 OAuth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클라우드 계정 탈취, 악성 Office 매크로 및 미공개 WinRAR 취약점 등—에 따른 선제 방어가 필요함. 최신 위협 정보와 패치, 모니터링 체계 강화가 요구됨.

· 여러 업계 행사와 학술 포럼(예: KU-ICCSP 2025, KCA 사이버보안·네트워크 세미나)을 통해 AI, ESG, 보안, 디지털 전환 등 신기술 동향이 논의됨. 보안관리 담당자는 이러한 행사와 정부·업계 발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최신 동향에 기반한 전략 수립 및 내부 보안 정책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함.

· 사이버 사고 발생 시 기업의 자발적 신고 없이도 정부 주도의 현장 조사와 징벌적 가중 처벌, CEO 및 경영진에 대한 엄격한 책임 추궁 등 법적 규제 강화 흐름도 보안경영 전략에 반영해야 할 주요 사항임.

· GitHub에 발표된 다양한 보안 도구 및 정보(예, OAuth, Direct Send, SMS 스미싱, Zero-Day 공격 등)와 함께, Windows, Linux, Cisco, AMD, Adobe, WatchGuard VPN 등 주요 플랫폼의 최신 취약점 분석 및 패치 권고 사항들을 적극 반영해야 함.

· 해외 및 국내 해킹 사건 다발과 정부·국제기관(CISA, IP전략연구소 등)의 경고, 그리고 Financial Times 등 주요 매체의 보도도 감안하여, 보안 위협에 대한 전방위적 모니터링과 다계층 대응 체계를 재정비할 시점임.

추가 최신정보:

  • AI를 활용한 위협 탐지 및 대응 솔루션이 빠르게 발전 중이며,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자동화 및 사고 대응(AI-SOC) 플랫폼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음.
  • 클라우드 보안에서는 OAuth 등 합법 기능을 악용한 공격 기법이 증가하므로, 클라우드 접근 정책 재검토와 MFA(다중요소 인증)의 강화가 필요함.
  • 국제표준 인증(IEC 62443 등) 취득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므로, 산업 분야별 보안 인증 획득을 통한 신뢰도 제고와 경쟁력 강화를 적극 추진해야 함.

보안담당자로서 최신 취약점 정보, 국제 인증 및 AI 보안 솔루션 도입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고, 전사적 보안 관리 체계 강화 및 선제적 대응 전략 수립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