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규제·공시 및 행정 조치
ㆍ방송미디어통신사무소 공고(제2025-13호)는 부산분소에서 과태료 고지서 및 독촉장 반송에 따른 공시송달 건을 발표하였다.
ㆍ개인정보 관련 정부 기관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들이 이루어짐
- 개인정보위가 공공분야 집중관리시스템에 대해 전수점검을 완료하였으며, 스팸번호 차단 시스템 사전적정성 검토 결과 의결됨
- 법무법인 ‘로고스’가 소송자료 유출 건으로 제재되었고, 안전조치 의무 위반 사업자 3곳이 제재됨
- 본인전송요구 강화와 관련해 개인정보보호법시행령 개정사항에 대해 상세 설명하는 등 실무협의체와 범정부 마이데이터추진단이 관련 논의를 진행 중
- (보도참고) 개인정보위는 블록체인 응용서비스 분야 사전 실태점검을 추진하고 있으며, 본인전송요구 실무협의체를 개최함
ㆍ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화이트해커 제보를 통한 해킹 위험 예방 활동을 강화하여 사이버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ㆍ해외 사이버 일일동향(2025년 11월 21일)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사이버 위협 동향을 모니터링 중이며, 금융정보보호 컨퍼런스 “FISCON 2025”가 성황리에 개최되어 최신 보안 트렌드와 위협 대응 전략들이 공유되었다.
◈ 운영체제 및 인프라 보안
ㆍUbuntu 18.04의 EOL(End of Life) 도래에 따른 보안관리와 위험 요소를 이해하는 자료가 발표되었다. 운영체제 업데이트 및 장기 지원 제품(LTS) 교체 전략 마련이 시급하며, 보안 패치 미적용에 따른 취약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 개발 및 코드 보안 도구
ㆍGitHub를 통한 다양한 오픈소스 보안 도구들이 주목받고 있다. 보안관리 담당자로서 다음 도구들의 활용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누출된 자격증명(Leaked Credentials)을 찾아 검증하고 분석하는 도구
- Infisical: 비밀정보, 인증서 및 권한 있는 접근 관리 플랫폼으로, 보안 비밀 관리의 자동화 및 중앙집중화를 지원
- Gitleaks: 코드 저장소 내의 비밀(Secrets) 노출을 검출할 수 있는 도구
- Nuclei: YAML 기반의 DSL을 활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API, 네트워크, DNS, 클라우드 구성 등 다양한 환경에서 취약점을 빠르게 스캔하는 도구
- 싱글 사인온(SSO) 및 멀티팩터 인증 포털이 OpenID Certification을 획득하여 웹 앱 사용자 인증 강화를 지원
- OpenZeppelin Contracts는 스마트 계약 개발 시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로, 블록체인 관련 보안 강화에 활용 가능
- 컨테이너, 쿠버네티스, 코드 저장소, 클라우드 환경 내의 취약점, 잘못된 구성, 비밀 정보, SBOM 관리 도구 제공
- 인터넷 트래픽 모니터링 도구를 통해 네트워크 이상 징후를 감지하고, HTTP/1-2-3 지원 및 자동 HTTPS 설정 기능이 있는 다중플랫폼 웹 서버도 주목받고 있음
- 보안 및 IT 교육을 위한 컴퓨터 과학 동영상 강의 목록도 제공되어, 내부 교육 및 역량 강화에 참고할 만함
◈ 위협 탐지 및 대응 인증
ㆍWiz 팀에서 제공하는 Wiz Defend 인증 과정은 위협 탐지와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보안 운영팀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 추가 최신 보안 정보 및 참고 사항
ㆍ각 도구와 솔루션은 오픈소스 기반으로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커뮤니티 피드백을 받고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GitHub 저장소와 관련 URL(예: Infisical, Gitleaks, Nuclei 등)에서 최신 버전과 보안 패치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ㆍUbuntu 18.04 EOL과 관련하여, 운영체제 공급망 보안과 장기 지원 버전 전환이 중요한 시점이며, 보안 취약점 대응 및 패치 일정 관리가 필요하다.
ㆍ정부와 금융권, 개인정보 보호 관련 실무협의체 및 컨퍼런스 자료는 최신 법령 및 규제 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 수립에 참고할 만하다.
이상의 내용들을 보안관리 담당자로서 참고하여, 내부 보안 정책 강화, 최신 도구 및 기술의 도입, 그리고 정부 및 산업계의 규제 동향에 따른 적절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