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kr 날으는물고기·´″°³о♡

2025년 10월 9일 목요일

AI 보안과 취약점, 랜섬웨어, 정부 클라우드 위협 대응

– AI 보안 솔루션 수요 및 대응: 보안 종사자의 97%가 AI 기반 보안 솔루션 필요성을 언급하는 가운데, AI를 악용한 공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Chatbot이 백도어로 변할 위험, AI 취약점 보완을 위한 딥마인드의 ‘코드멘더’와 Google의 인공지능 취약점 보상 프로그램(최대 3만 달러) 등이 주목된다. 최근 리코디드 퓨처와 같은 AI 자동 위협 대응 솔루션 및 OpenAI의 ChatGPT 관련 악용 사례(중국 해커 계정 차단)도 보안 담당자가 주목해야 할 이슈이다. 이에 따라 AI 도입 시 취약점 분석, 자동 패치 및 AI 기반 공격 식별 능력 강화가 필수적이다.

– 보이스피싱과 금융·가상자산 공격: 가상자산 고수익 미끼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공격이 경고되고 있으며, 금융권에서도 해킹 사고에 대응해 AI와 화이트해커를 총동원하는 등 보안 강화 노력이 진행 중이다. 관련 공격은 직원 교육과 다층적 인증 등 예방 대책이 필요하다.

– 정부 및 공공기관 사이버 보안 평가와 국감 동향: 과기정통부가 자체 평가에서 ‘1등급’으로 포장한 사이버보안 성과와 2025년 국감에서 사이버 보안 분야,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인력 처우 등 다양한 이슈가 다루어지고 있다. 소방공무원 시험(119고시) 개인정보 유출, 국정자원 화재 사태 복구율 문제 등 공공 분야의 보안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정부 지침과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 취약점과 랜섬웨어 공격 사례:   • 오라클 EBS 제로데이 취약점 및 그 악용 사례, Oracle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등 공급망 취약성이 두드러진다.   • SQL 인젝션 취약점(CVE-2025-57819) in FreePBX, Redis Lua 스크립팅 취약점, Zimbra Collaboration Suite의 제로데이 XSS 취약점, Nagios Log Server 취약점, Ubuntu 커널의 네트워크 DoS 문제 등 새로운 취약점이 다수 보고되고 있다.   • 랜섬웨어 공격 조직(예: Trinity of Chaos, 키린(Qilin) 등)의 실제 공격, Shuyal Stealer와 같은 인포스틸러 전개 등은 조기 패치와 적극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최근 ‘Mic-E-Mouse’ 공격에서는 일반 컴퓨터 마우스가 정교한 도청 도구로 변모하는 사례가 보고되어, 주변 장비 보안 관리에도 주의해야 한다.

– 클라우드와 공급망 보안 이슈:   • AWS 관련 취약점(예: macOS 클라이언트 VPN CVE-2025-11462)과 Crimson Collective와 같은 신생 위협 그룹의 공격 기법이 나타나고 있다.   • Autodesk Revit 플러그인에서 Azure Storage Account 자격증명 노출 사례는 공급망 공격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하며, 클라우드 인프라와 제3자 소프트웨어 보안 점검이 중요하다.   • BK Technologies의 보안 사고 및 CloudSEK TRIAD 단위의 Charming Kitten (APT35) 관련 내부 자료 공개 사례는 글로벌 사이버 스파이 활동에 대비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 오픈소스 보안 도구와 GitHub 업데이트:   • Gitleaks, KeePassXC, OpenZeppelin Contracts, NGINX 공식 저장소, TLS-capable HTTP 프록시, 빠른 HTTP/1-2-3 웹 서버 및 다양한 페이로드 목록 등 GitHub에서 공개되는 보안 관련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소개된다.   • 또한 Single Sign-On 다중요소 인증 포털, 컨테이너 및 클라우드 취약점 탐지 도구 등 최신 보안 도구 활용을 통해 환경의 취약한 부분을 선제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 HoneyBee와 같은 자동화된 허니팟 배포 도구도 위협 연구와 실시간 공격 탐지에 도움을 준다.

– 최신 업데이트 및 기타 보안 이슈:   • Microsoft Teams 보안 강화 권고, 애플의 윈도우 보안 취약점 저격 ‘BSOD’ 광고, 그리고 이메일 기반 공격에서 CSS를 이용한 ‘salt’ 주입 등이 주목된다.   • ClamAV 1.5.0 업데이트로 문서 형식에 대한 악성코드 탐지 기능 강화, 그리고 OpenAI의 ChatGPT 관련 악용 방지 조치 등 각 플랫폼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보안 점검이 강조된다.   • 보안 관련 국제 이슈로 북한 IT 근로자의 글로벌 위협, AI와 SaaS 애플리케이션 기반 정보 유출 사례 등도 추후 모니터링해야 한다.

보안관리 담당자는 AI 기반 보안 솔루션 도입과 자동화 취약점 탐지 도구 활용, 정부 정책 및 국감 결과 반영, 최신 취약점(CVE) 및 패치 적용, 클라우드 및 공급망 보안 강화 등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GitHub 등 오픈소스 보안 프로젝트를 통한 도구 업데이트와 실시간 보안 모니터링을 병행하며, 내부 직원 교육과 보안 인력 보강을 통해 전반적인 사이버 방어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최신 보안 동향과 국제 사이버 위협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분석이 필수적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