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 인터넷망 해킹 사례와 예산 확대
– 올해 상반기에 군 인터넷망 해킹 시도가 9,000건을 넘어섰다는 점은 내부 네트워크 접근, 보안 로그 모니터링, 위협 탐지 체계의 재점검 필요성을 시사함.
– 연이은 해킹 사고에 따라 보안 예산이 확대되고 있으며, 보안업계는 하반기 사업에 탄력을 받고 있음.
• 웹 콘텐츠 필터링 및 관리 서비스의 중요성
– 웹 콘텐츠 필터링 솔루션이 네트워크 관리와 사이버보안의 필수 구성 요소로 강조되고 있음.
– Managed Service Providers (MSP)와 Managed Security Service Providers (MSSP)는 다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보안 위험 대응에 핵심 역할을 수행.
• 오픈소스 및 GitHub 보안 프로젝트 동향
– eBPF 기반 네트워킹, 보안 및 모니터링 도구, KeePassXC(패스워드 관리), SSO·다요소 인증 포털, 컨테이너 및 클라우드 취약점 스캐너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활발히 발전 중.
– TLS 인터셉터 프록시, 다중 플랫폼 HTTP 서버, 호스트 파일 통합 프로젝트 등은 보안 관리자가 참고해야 할 실질적 도구 및 자산이며 최신 오픈소스 보안 자원 활용이 중요.
• 글로벌 및 국내 보안 협력과 비즈니스 동향
– S2W가 사우디 정부 기관에 안보 AI 플랫폼 공급을 시작하는 등 정부 기관과의 협력이 강화되고 있음.
– 트루컷시큐리티와 올리브텍 간 랜섬웨어 방어 및 백업 데이터 보호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ransomware 피해 예방 및 복원 전략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음.
– ISEC 2025 미리보기에서 세이퍼존의 ‘SaferZone-Edge’ 제로트러스트 보안 플랫폼 공개와 아리아카의 Unified SASE 솔루션 등 첨단 보안 솔루션이 주목받고 있음.
• AI 및 클라우드 보안, 글로벌 IT 투자 및 인재 확보
– AI 전문 기업 4사가 LLM·VLM 등 신사업 모델 개발에 나섰고, 클라우데라와 카카오페이 등은 데이터 플랫폼 성능 강화를 지원하고 있음.
– 앵커노드, 씨이랩, 가비아, 투비소프트 등은 국내외 협력 및 글로벌 시장 공략에 집중, 최신 기술 인증 및 국제 시장 진출이 가시화됨.
– 누리랩은 AI 피싱 URL 검출 기술로 일본 특허를 획득하는 등 공격 탐지 및 대응 기술이 발전 중.
• 주요 보안 취약점 및 위협 정보
– Apple의 iOS에서 제로클릭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과 Salesforce의 Tableau 서버·데스크탑 관련 치명적 취약점이 발표되어, 공격자가 악성 파일 업로드 및 임의 코드 실행 가능성이 제기됨.
– Microsoft Copilot 에이전트의 관리 프레임워크 결함, Zip Slip(압축 해제 시 Path Traversal 취약점), Zendesk Android SDK의 치명적 취약점 등 복수의 소프트웨어 취약점이 보고됨.
– NIST는 제한된 디바이스용 경량 암호화 표준(SP 800-232)을 발표하며, IoT 및 제약 환경에 특화된 암호화 솔루션을 제시함.
• 악성코드 및 APT 공격, 사이버 범죄 행위 심화
– 코리아플러그(APT43/Kimsuky) 관련 작전 파일 덤프가 다크웹에 유출되는 등 국가 단위의 APT 공격 양상이 드러남.
– 보안 연구진은 Windows 자격 증명 추출, macOS 인포스틸러, Android 백도어 및 다양한 악성코드 (예: DripDropper, PipeMagic RansomExx, ClickFix 사회공학 변종) 확산을 경고, 내·외부 위협에 대한 모니터링 및 대응 체계 보강을 요구함.
• 클라우드, 컨테이너 보안 및 취약점 제어
– Docker, Kubernetes, 클라우드 인프라, 코드 저장소 등에서 취약점, 잘못된 설정,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관리에 관한 보안 위험이 대두되고 있음.
– Microsoft Windows의 업데이트(KB5063878) 배포 후 성능 저하 문제, Apache ActiveMQ의 취약점을 이용한 DripDropper 악성코드 배포 사례도 주목할 만함.
• 보안 정책, 인증 제도 및 사이버법 강화
– 방송법 개정 시행, FCC의 해저케이블 채용 라이선스 규칙 채택 등 규제 및 정책 관련 변화가 진행 중.
– 국내에서는 2025년 개인정보 영향평가 인증시험 및 보안 제품 인증제도 워크숍이 개최되어, 기업 보안 인증 강화가 이루어짐.
• 최신 보안 연구 및 사이버 범죄 판례
– DOM 기반 확장 프로그램 클릭재킹, 암호 관리자 탈취, AI 요약 도구를 이용한 ransomware 전파 등 새롭고 교묘한 공격 기법이 보고됨.
– 전직 개발자의 네트워크 파괴, SIM 스와핑 및 로직 폭탄 사건 등 내부 위협 및 범죄 행위에 대해서도 엄중한 판결이 내려졌으며, 사이버 보안 인식 및 내부 통제 중요성이 재확인됨.
• 글로벌 협력 및 기술 발전 관련 기타 주요 사항
– 박람회, 취약점 제로 컨테이너 이미지 공급, 보안 교육 및 산학 협력(네이버클라우드와 5개 대학) 등 보안 기술 인재 육성과 글로벌 로우코드 시장 진출 사례가 보고됨.
– IT 기업 IPO 성공 로드맵, 투자유치지원사업 모집, 기술 인증 획득 사례 등 비즈니스와 보안의 융합이 두드러지며, 보안관리 담당자는 기술 변화와 시장 동향에 주목해야 함.
보안관리 담당자로서는 내부 네트워크 강화, 제로트러스트 및 SASE 솔루션 도입, 최신 취약점 및 패치 동향 파악, 오픈소스 도구 활용 검토, 그리고 보안 관련 정책·인증 제도 변화에 따른 준법감시 강화가 중요하다. 최신 GitHub 프로젝트 및 글로벌/국내 보안 협력 사례들은 향후 보안 아키텍처 및 전략 수립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 URL과 관련 보안 컨퍼런스, 인증 시험 및 워크숍 등의 최신 정보는 관련 기관 사이트 및 오픈소스 커뮤니티(예: GitHub)에서 업데이트되고 있으므로 주기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