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및 디바이스 보안 취약점
• 삼성, 애플, 구글, 샤오미 등 15종 스마트폰에서 주요 취약점이 발견되어 통신 마비 등 심각한 보안 위협이 드러남. 보안관리 담당자는 모바일 기기 및 IoT 공급망의 취약점 점검과 보안 대책 마련에 주목해야 함.
• 삼성전자가 EU 무선기기, TV·모니터 등 다양한 제품군에 대해 EU RED(전기통신 및 전자제품 안전 관련) 사이버 보안 인증을 획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보안 경쟁력을 강화함. 이는 각종 제품에 대한 보안 인증이 필수화되는 추세를 반영하며, 향후 해외 판매와 공급망 관리 측면에서 참고할 만함.
■ 정부 및 산업계의 사이버보안 전략 강화
• 과학기술정통부 배경훈 장관은 "견고한 사이버보안 체계 없이는 AI 3대 강국도 불가능"하다고 강조하며, 국가 정보보호 체계의 대개편과 AI 시대에 맞춘 새로운 보안 정책 추진 의지를 밝힘.
• 과기정통부는 AI 시대에 대비한 사이버보안 전면 개편을 단행하고 있으며, 정부는 KISA 및 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휴가철 개인정보 보호 안전수칙도 발표하는 등 국민 데이터 보호에도 힘쓰고 있음.
• LH와 당진종합병원 등 주요 기관 및 시설에 대한 보안·안전 평가와 점검이 이루어지고 있어, 공공기관 및 기업관계자는 내부 보안 점검 및 위험성 분석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랜섬웨어 및 사이버 공격 추세
• 올해 상반기 전세계 랜섬웨어 공격이 69% 증가하는 등 위협이 급증하고 있음. 정부 기관(HIS, FBI, CISA 등)이 BlackSuit 랜섬웨어 관련 다크웹 인프라를 공동 압수하는 등 맞춤형 협상 및 단기 전술로 공격 집단의 활동이 축소되는 전략이 전개되고 있음.
• 보안관리 담당자는 최신 랜섬웨어 공격 동향과 대응 전략, 타 조직의 협력 사례(국내외 사이버 보안 기관 간 협력)를 모니터링하며 위기 대응 체계를 재점검해야 함.
■ 오픈소스 보안 도구 및 커뮤니티 활동
• GitHub 상에서는 다음과 같은 보안 관련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활발히 활동 중임
– Matomo: 구글 애널리틱스 대안으로, 데이터 수집 및 시각화를 통해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분석 도구
– eBPF 기반 네트워킹, 보안, 관찰 가능성 도구: 커널 수준에서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보안 강화 제공
– 싱글 사인온 및 다중인증 포털: OpenID 인증을 획득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보안을 강화
– OpenZeppelin Contracts: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시 보안에 집중한 라이브러리
– NGINX 공식 오픈소스 리포지토리: 웹 서버의 효율적 보안 운영을 지원
– 여러 호스트 파일을 통합·확장하는 도구, 인터넷 트래픽 모니터링 툴, 윈도우용 사용자 모드 디버거 등도 제공됨.
• 보안 담당자는 이러한 오픈소스 도구들을 참고하여 내부 보안 시스템 강화, 트래픽 모니터링, 펜테스트 및 악성 프로그램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음.
• GitHub 프로젝트들의 높은 스타 수와 활동량은 커뮤니티 신뢰도를 반영하므로, 최신 업데이트 및 취약점 정보도 주기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음.
■ 산업 및 기타 관련 소식
• 에이서는 AMD 라데온 RX 9000 시리즈 GPU를 탑재한 그래픽카드를 국내 출시하며, 기술 보안과 성능 향상에 따른 수요 확대에 대응하고 있음.
• 라이온하트 스튜디오와 서강대 미래교육원이 공동으로 기업 견학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등, 보안 및 IT 교육 관련 현장 체험 프로그램도 확대되고 있음.
• ISEC 2025 미리보기에서는 엔시큐어가 CCTV 운영 안정성을 높이는 ‘AUNES for CCTV’를 선보이며, 보안 관련 장비 및 시스템의 운영 모니터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 참고 및 최신정보
• 각종 사이버 보안 인증 취득 사례(특히 EU RED 인증)는 해외 진출 및 글로벌 보안 경쟁력 확보를 위한 선례로, 보안관리 담당자들은 제품 출시 전 인증 기준 및 보안 점검 절차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
• 글로벌 랜섬웨어 위협 및 정부의 사이버보안 체계 개편 관련 최신 동향은 보안 컨설팅 업체,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보고서, 산업별 세미나 등에서 추가 정보를 수집하고 내부 보안 정책에 반영해야 함.
• 오픈소스 커뮤니티 활동 및 GitHub 상의 보안 도구 업데이트는 보안 솔루션의 신속한 적용과 취약점 대응 측면에서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할 항목임.
•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해 여행 등 외부 활동 전 반드시 보안 점검 및 정보 잠금 상태를 확인해야 함.
각 뉴스 항목과 관련 URL(예: 삼성전자 EU 인증 관련 보도, GitHub 프로젝트 업데이트, 정부 발표자료 등)은 해당 기관 및 공식 발표 채널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안 관리 담당자는 관련 자료 및 업데이트를 수시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