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kr 날으는물고기·´″°³о♡

2025년 6월 23일 월요일

Global Cybersecurity Developments Amid Geopolitical Tensions and AI-Driven Innovations

• KISA 주최 국민참여단 발대식
– 제7기 국민참여단 발대식을 통해 국민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정보보호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
– 보안관리 담당자는 정책 방향과 향후 시민 참여 기반 보안 강화 전략에 주목할 필요 있음.

• 이란 지지 해커티비스트 연합의 이스라엘 표적 공격
– 35여 개의 친이란 해커 조직이 이스라엘 군사, 정부, 주요 인프라를 동시에 겨냥한 사이버 공격을 감행.
– 기업 및 기관은 지정학적 갈등이 전면화되었을 때 사이버 위협 모니터링과 신속 대응 체계 마련이 필수.

• 마이크로소프트, Enterprise Exposure Graph 통합 발표
– 위협 탐지 및 대응 기능에 혁신적 Enterprise Exposure Graph 기술을 도입하여 외부 노출 자산 파악 강화.
– 보안관리자는 자산 식별 및 취약점 분석 도구 도입을 검토해 IT 전반의 노출 위험을 낮출 필요 있음.

• ESET, Sednit 그룹의 사이버 스파이 캠페인 보고
– 러시아 연계 Sednit 그룹이 고가치 웹메일 플랫폼을 대상으로 교차 사이트 스크립팅(Cross-site Scripting) 공격 시도.
–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정책 검토와 취약점 점검 강화가 필요하며, 최신 패치 적용과 모니터링 체계 점검 필수.

• SK쉴더스, 전 세계 랜섬웨어 피해 484건 보고
– 지난달 전 세계에서 발생한 랜섬웨어 피해 건수가 484건에 달하며 24시간 대응 체계의 필요성이 강조됨.
– 관리자는 비상 대응 프로세스와 백업, 재해 복구 체계 점검을 통한 피해 규모 축소 조치를 마련할 것.

• AI 사이버보안 국가역량 구축 정책 제언
– 정부 차원에서 AI 시대에 맞는 사이버보안 국가 역량 3대 구심체 모델 수립 논의.
– 보안 전략 수립 시 AI 기반 위협 예측 및 대응 모델 도입과 공공·민간 협력 강화가 핵심.

• 카카오톡 스포일러 방지 기능 추가
– 단톡방 내 주소 등 민감 정보 공유 시 스포일러 예방 기능 도입.
– 내부 커뮤니케이션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변화와 함께 사용자 교육 필요.

• misconfigured 웹 서버 통한 악의적 도구 노출
– 여러 misconfigured 웹 서버에서 공격자들이 사용하는 도구와 전술이 공개되어 있음.
– 서버 설정 및 보안 점검 강화, 불필요한 서비스 제거와 접근 제어에 신경 쓸 필요 있음.

• DuckDuckGo, Scam Blocker 기능 업데이트
– 브라우저 내 내장 Scam Blocker의 고도화 버전 출시로 사용자를 다양한 사기 수법으로부터 보호.
– 인터넷 사용 보안 교육과 함께 최신 브라우저 보안 기능 적용 권장.

• 글로벌 플랫폼 16억 로그인 정보 유출 발생
– 160억 로그인 정보 유출 사건으로 사이버 보안에 심각한 경종이 울림.
– 다중 인증, 비밀번호 관리, 모니터링 강화 등 사용자 인증 및 계정 보안 조치를 재검토해야 함.

• 이스라엘-이란 충돌에 따른 사이버전 확산
– 전통적 전투 외에도 사이버공간이 주요 전장으로 부상하며 양측의 공격·방어 기술이 치열하게 전개.
– 실시간 위협 인텔리전스와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중요.

• GitHub 보안 및 오픈소스 프로젝트 모음
– Matomo(개인정보 보호 분석), eBPF 기반 네트워킹, KeePassXC, Single Sign-On MFA 포털, OpenZeppelin Contracts, NGINX, OWASP Cheat Sheet, Windows용 사용자 모드 디버거, 해커/펜테스터 자료 등 다양 프로젝트가 공개되어 있어 참고 가능.
– 보안관리자는 최신 오픈소스 도구와 커뮤니티 자료를 연구하여 내부 보안 정책 및 도구 업데이트에 반영할 수 있음.

• Aflac, 네트워크 인프라 무단 접근 사고
– 미국의 Aflac Incorporated에서 네트워크 무단 접근 발견 후 즉각 대응 조치.
– 기업 환경에서 내부와 외부 침입 탐지 시스템 점검 및 보안 인식 제고가 필요.

• KT, 한국통신학회에서 “AI 시대 사이버보안” 특별세션 개최
– 학술 행사에서 AI 시대에 대응하는 사이버보안 전략 및 기술 혁신에 대해 논의됨.
– 최신 AI 기반 보안 기술과 협업 사례 공유를 통해 미래 위협에 대비해야 함.

• Mattermost,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공개
– 협업 플랫폼 Mattermost에서 경로 탐색을 통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이 발견됨.
– 내부 협업 도구의 정기 점검 및 보안 패치 적용이 반드시 필요.

• 이란의 이중심리전 및 미군 기지 취약성 경고
– 이란 측은 소셜미디어를 통한 심리전과 중동 내 미군 기지가 강점이 아니라 취약점임을 강조하며 보복 경고.
– 지정학적 갈등 및 관련 공격 가능성을 고려, 국방 및 민간 인프라 보안 강화가 요구됨.

• OpenVPN 2.7_alpha2 베타 릴리스
– 네트워크 관리와 VPN 보호를 위해 OpenVPN 최신 버전 출시 예정.
– VPN 구성을 담당하는 보안관리자는 릴리스 노트를 검토하고 테스트 후 적용 검토해야 함.

• 개인정보위, 마이데이터 확대 논의
– 국민의 개인정보 주권 보장을 위해 범정부 마이데이터 추진단이 마이데이터 확대 방안을 계속 논의 중.
– 개인정보 보호법 및 데이터 유통 정책 면밀히 검토하여 내부 데이터 관리 체계를 강화할 필요.

• 인천시 출자·출연기관 사이버보안 조례 마련 추진
– 김종득 의원 등 관계자들이 사이버보안 관리 체계를 제도화하자는 움직임을 보임.
–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강화 사례로 주목.

• 제주 전국체전 ‘디지털 체전’ 기획
– 내년 제주 전국체전에서 첨단 기술과 디지털 기술이 대거 접목되어 진행될 예정.
– 공공 이벤트에 대한 사이버 보안 및 물리 보안 통합 점검이 필요.

• SK그룹, AI 기반 4차 ‘퀀텀 점프’ 전략
– AI 기술을 발판으로 기업 차원의 디지털 전환과 보안 시스템 혁신 시도.
– 기업 내 AI 보안 적용 및 기술적 진보 사례에 주목.

• 짝퉁 화장품 ‘맹물’ 주의보 발령
–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위조 화장품과 관련한 보안 및 인증 체계 점검 필요.
– 유통 경로에 대한 감시 강화와 소비자 인식 제고가 요구됨.

• 한국마사회, 사이버보안 협의회 개최 및 기관 간 협력
– 한국마사회가 국가정보원 지부, 한국석유관리원 등과 협업하여 사이버보안 강화 추진.
– 기관 간 협력 모델로서 국내 보안 네트워크 확산 및 정보 공유 중요.

• LG유플러스, 보안 전문 매장 운영
–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보안 전문 상담 및 관련 서비스 제공 사례가 등장.
– 소비자 접점에서의 보안 인식 강화와 서비스 질 개선에 참고할 만함.

• 학계·산업계·정부의 산학연 협력을 통한 AI 사이버보안 혁신
– KT를 비롯한 여러 기관이 학술행사에서 AI 시대의 사이버보안 전략과 혁신을 모색하며 협력 중.
– 보안관리 담당자는 혁신 기술 도입 및 협업 네트워크 구성에 관심을 가져야 함.

• 이재훈 목사의 유튜브 관련 해킹 사고 언급
– 북한과 관련된 해킹 사고에 대해 외부 소행 가능성을 지적하며 사이버 위협의 다양성 시사.
– 미디어 채널 및 SNS에 대한 보안 모니터링이 중요.

모든 내용은 최신 보안 동향 및 정책, 기술 업데이트, 국제 정치와 연계된 위협, 그리고 오픈소스 및 기업 협업 프로젝트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있으므로, 보안관리 담당자는 각 영역별로 위험 평가, 신속 대응 체계 강화, 정책 및 기술 혁신 도입, 그리고 관련 기관과의 지속적인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중점으로 대응해야 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