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어제(2025-03-16) 및 주변 날짜에 발표된 보안 관련 주요 소식을 보안관리 담당자의 시각에서 핵심 사항과 참고해야 할 포인트를 중심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라온시큐어의 주주친화 경영 강화
• 내용: 라온시큐어가 5:1 주식 병합을 결정하며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시사점: 기업 내부 지배구조 및 재무구조 변화는 보안 솔루션 투자 및 R&D 예산 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관련 협력업체나 솔루션 제공업체와의 협의 시 재무 상황의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카이토 AI 소셜 미디어 해킹 및 암호화폐 보안 위협
• 내용: AI를 이용한 소셜 미디어 해킹 사례와 암호화폐 관련 보안 위협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시사점: 인공지능 기반 공격 기법은 기존 보안체계로 탐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최신 위협 동향과 AI 기반 보안 솔루션 도입을 검토해야 합니다.개인정보위의 ’24년 개인정보 처리방침 평가 결과 공개
• 내용: 개인정보보호 관련 감독 당국이 내년도(2024년) 개인정보 처리방침 평가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 시사점: 조직 내 개인정보 처리 및 관리 기준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관련 정책을 재검토하고 보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데이터 관리 정책 및 내부 감사 체계 점검이 필요합니다.센스톤의 EU 사이버보안 대표단 대상 OT 보안 기술 시연 및 협력 시사
• 내용: 센스톤이 방한한 EU 사이버보안 대표단 앞에서 OT(운영기술) 보안 기술을 시연하며, 양측 간의 협력 가능성을 암시했습니다.
• 시사점: OT 보안은 산업현장 및 인프라의 안정 운영에 필수적입니다. 보안관리자는 사이버와 OT 보안 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유럽 연합 등 국제 사이버보안 트렌드 및 협력 사례를 면밀히 살펴보아야 합니다.국정원-KAIST ‘사이버안보 최고위 과정’ 1기 출범
• 내용: 국정원과 KAIST가 공동으로 사이버안보 최고위 과정을 시작했습니다.
• 시사점: 인력 양성과 최고위급 보안 전문 인력을 육성하는 이같은 교육 프로그램은 최신 위협 대응 및 정책 수립에 큰 도움이 됩니다. 보안담당자는 이와 같은 산학 협력 프로그램의 내용을 주목하고, 필요한 경우 내부 교육 모델에 벤치마킹할 수 있습니다.안랩 관련 두 뉴스
a. 매일 악성코드 31만 개 탐지 ‘사이버 방패’
• 내용: 안랩의 보안 시스템이 매일 약 31만 개의 악성코드를 탐지해 대응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향후 1조 기업 도약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b. 창립 30주년 기념 및 월드클래스 기업 도약 선언
• 내용: 안랩이 창립 30주년을 맞아 자사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도약 의지를 밝힌 바 있습니다.
• 시사점: 안랩의 기술력과 보안 솔루션 운영 능력이 인정받고 있음을 시사하며, 보안 인프라 및 위협 탐지 체계 강화 측면에서 참고할 만한 성공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SECON & eGISEC 2025] 물리보안 인증 및 연동 기술 콘퍼런스
• 내용: 2025년 물리보안 관련 인증 및 연동 기술에 대한 콘퍼런스가 개최되어, 물리적 보안과 IT 보안의 융합 사례와 최신 기술이 논의되었습니다.
• 시사점: 물리적 접근 통제와 IT 인프라 보안 간의 연동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으므로, 관련 기술 동향 및 인증 제도를 면밀히 검토하여 기업 보안 체계에 반영할 필요가 있습니다.파이오링크의 올해 사업전략 ‘String #n Together’ 발표
• 내용: 파이오링크가 올해 사업전략으로 ‘String #n Together’를 제시하며, 협업과 통합을 통한 기술 및 서비스 강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 시사점: 기술 통합 및 협업 모델은 사이버보안 솔루션 개발 및 공급망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관련 사례 및 전략을 참고해 향후 보안 협력 모델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추가 최신정보 및 참고사항: – 인공지능 및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해킹 기법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므로, 보안 관련 교육 프로그램(예, 국정원-KAIST 과정)이나 최신 연구 결과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습니다. – OT 보안과 물리보안 인증 기술 등은 산업 전반의 안전관리 강화 추세에 따라 앞으로 더욱 주목받을 분야입니다. 보안담당자는 관련 국제 협력 사례와 인증 기준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자사 보안 인프라에 반영해야 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방침 평가 결과는 향후 정부의 규제 강화 가능성을 예고하므로, 내부 데이터 관리 체계를 점검하고 정책을 선제적으로 보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주요 보안 기업들의 글로벌 도약과 기술 경쟁력 강화(안랩 사례 등)는 외부 위협 뿐만 아니라 보안 솔루션 시장의 변동성에도 대비할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영역(재무, 기술, 정책, 교육, 국제 협력)에서의 보안 관련 소식을 종합해 볼 때, 보안관리 담당자는 최신 위협 동향과 기술/인력 양성, 국제 협력 추세 등을 면밀히 주시하여 체계적이고 선제적인 보안 정책과 대응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