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kr 날으는물고기·´″°³о♡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보안 위협과 대응 전략 사이버 공격 취약점 AI 보안 혁신

• Discord 웹훅 남용 및 오픈소스 패키지 – 위협 행위자들이 Discord 웹훅을 은밀한 C2(명령 및 제어) 채널로 악용해 비밀, 호스트 정보, 개발자 데이터를 탈취하는 기법이 증가하고 있음. 보안관리 담당자는 서드파티 라이브러리 및 오픈소스 코드에 포함된 웹훅 호출에 대한 모니터링과 이상 징후 탐지가 필요함.

• 국내 통신·카드사 보안사고 및 정보유출 – 2025년 대한민국에서 통신사와 카드사 보안사고로 대규모 정보 유출이 발생했으며, 롯데카드 해킹사건과 관련해 금융감독원의 보안 부실이 지적됨. 이와 함께 LH 및 국토부 산하기관에서 정보 시스템 취약점이 다수 보고되었음. 관리자는 관련 사고 대응 프로세스, 취약점 점검 및 보안 인증 체계 강화 방안을 검토해야 함.

• VPN 및 SSL 취약점 – 소닉월 SSL VPN 제품에서 대규모 침입 및 비밀번호 탈취 사례가 발생했고, 관련 대상 공격 캠페인이 다수 탐지됨. EDR(침입 탐지 및 대응) 체계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과 함께 IPsec VPN 서버 구축 스크립트 관련 내용도 있으며, 보안 담당자는 VPN 관련 취약점 패치와 로그 모니터링, 계정 관리 강화를 우선 검토해야 함.

• 주요 보안 오픈소스 및 GitHub 프로젝트 –

  • Infisical, eBPF 기반 네트워킹/보안/관찰성 도구, Nuclei 취약점 스캐너, Single Sign-On 멀티팩터 인증, IPsec VPN 서버 구축 스크립트, OWASP 치트시트 시리즈, 자동 HTTPS 적용 웹 서버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활발히 활동 중임.
  • 이러한 도구들은 취약점 스캔, 애플리케이션 보안 강화, 인프라 모니터링에 유용하므로 최신 버전과 커뮤니티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함.

• 기업 및 기술 이벤트, 컨퍼런스 – 부산 사이버보안 콘퍼런스, 정읍시 사이버보안 실태 평가(5년 연속 최우수), 통신3사 CEO 줄소환 및 국정감사, 국내 최대 AI 콘퍼런스(SK AI Summit 2025) 등 주요 행사와 정부/지자체 주도의 보안 점검 및 혁신 추진 소식이 잇따름. 각 기관의 보안 역량 강화 및 최신 위협정보와 기술 동향을 반영한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함.

• AI와 보안의 융합 – 구글 클라우드의 ‘제미나이 엔터프라이즈’, 오픈AI의 코덱스 출시, AI 기반 SQL 자동 튜닝, 매트랩 코파일럿, 금융권 AI 솔루션 등 AI 기술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하는 다양한 시도가 보임. 보안관리 담당자는 AI 기반 위협 탐지, 예측모델 및 자동화 솔루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운영체제 및 플랫폼 취약점 –

  • Microsoft Defender for Endpoint의 클라우드 통신 악용, Windows 11 “업데이트 후 종료” 오류 수정, Microsoft Edge의 IE 호환 모드 취약점 보완 등 주요 OS 및 보안 제품에 관한 이슈가 보고됨.
  • 또한 Happy DOM JavaScript 라이브러리의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5-61927) 및 Autodesk Revit 플러그인 취약점 등도 언급됨.
  • 해당 취약점들에 대한 신속한 패치 및 보안 설정 강화가 필요함.

• 악성코드 및 해킹 캠페인 –

  • McAfee가 발견한 Astaroth 캠페인, 새로운 사이버 범죄 집단(Scattered Lapsus$ Hunters)의 대규모 데이터 유출 시도, WhatsApp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브라질 내 공격 등이 보고되었음.
  • 또한, 북한 위협 행위자의 npm 패키지 악용(50,000회 이상 다운로드) 공격과 TwoNet 해킹 그룹의 OT/ICS 시스템 침입 사례 등 다양한 악성 행위가 존재하므로, 멀티팩터 인증, 네트워크 세분화, 이상 징후 감시를 강화해야 함.

• 최신 보안 도구 및 연구 동향 –

  • EDR-Freeze와 같이 엔드포인트 보안 제품을 일시 중단시키는 PoC 도구, Microsoft Defender, McAfee, Oracle의 취약점 경고, 그리고 다양한 보안 교육 및 암호모듈 검증 전문교육(예: 국내 암호모듈검증 심화과정)이 소개되고 있음.
  • 보안 담당자는 최신 위협 인텔리전스와 교육 과정을 적극 활용해 내부 보안 역량 강화에 힘써야 함.

• 기타 기업·산업 동향 및 AI 기술 응용 –

  • 의식주컴퍼니의 드라이클리닝·빨래 합포장 로봇 시스템 상용화, 버카다 및 인트라링크의 임원 재임명 등 IT, AI, 스마트제조, 데이터센터 관련 다양한 산업 소식이 발표되고 있으며, 보안과 IT 인프라 전반의 안정성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음.
  • EU의 AI 우선 전략과 칼럼에서 언급된 기업 스토리지 전략 변화 등 글로벌 기술 동향도 주시해야 함.

• 해외 법 집행 및 사이버 범죄 시장 –

  • 스페인 법 집행기관이 AI 기반 피싱 네트워크를 해체하고 주요 해커 개발자 'GoogleXcoder' 체포에 성공한 사례가 있음.
  • 또한, 러시아 시장에서 RDP 접근 권한 판매를 시작으로 온라인 사이버 범죄 시장이 활발해지고 있어, 외부 위협에 대한 국제 협력과 정보 공유가 요구됨.

• 산업 제휴 및 제품 출시 –

  • 기원테크의 AI 기반 통합 보안 플랫폼 'EG-Platform'으로 랜섬웨어 선제 방어, 시놀로지와 파트너사의 랜섬웨어 대응 세미나, 오마다의 무선 브릿지 솔루션 출시, 각종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신규 제품 출시 소식이 다수 있음.
  • 신기술과 제품에 대한 테스트 및 적용 검토가 보안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음.

전반적으로 보안관리 담당자로서는 공격 표면 확장, 취약점 신속 대응, AI 및 자동화 기반 보안 솔루션 도입, 그리고 글로벌 및 국내 보안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신속한 패치 및 보안 교육, 내부 감사 강화 등을 통해 조직의 보안 수준을 향상시켜야 함. 최신 위협 인텔리전스와 기술 혁신 사례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관련 행사 및 연구 성과를 반영한 전략 수립이 요구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