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메일 인프라와 전산망 안정성 강화 - SMTP 및 API 기반 이메일 솔루션이 보안성과 전송률 개선에 기여하며, 향후 이메일 인프라 보안 강화에 참고할 만함. - 국가 전산망 마비 사건과 해킹 포비아 확산에 따라 보안주가 급등하는 등, 전산망 안정성에 대한 위기가 재조명됨.
• 클라우드, AI 기반 보안 혁신 및 해킹 대회 - zeroday.cloud의 클라우드 및 AI 해킹 대회 개최는 최신 위협 환경을 체험하고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기회로, 보안 관리자에게 대비와 혁신의 필요성을 일깨움. - 데이터브릭스가 AI 기반 사이버보안 솔루션을 공개하여 실시간 위협 모니터링과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사례도 주목할 만함. - AhnLab은 Guardian Agent SecureBridge, Agentic AI 기반 TDIR 시스템, 제로 트러스트 도입 등 AI 기술을 접목한 보안 운영 혁신 전략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음.
• 하드웨어 및 산업별 보안 취약점 이슈 - 칩 제조사들이 물리적 공격 위협 모델을 보안 설계에서 배제한 점은 사용자들에게 추가 경각심을 요구하며, 보안 관리자 입장에서 하드웨어 기반 공격을 간과하지 않도록 경계가 필요함. - GIST와 자율주행 관련 연구진이 자율주행차 시각 인식 보안 취약점 진단 기술을 개발하는 등, 특정 산업 분야의 보안 취약점 진단이 확대됨.
• 랜섬웨어와 사회공학 공격 경고 - “추석선물 배송문자, 알고보니 랜섬웨어?”와 같은 명절맞이 공격 사례가 반복 등장하며, 사회공학 공격과 랜섬웨어 위협에 대한 주의가 요구됨. - 씨큐비스타가 랜섬웨어 탐지 및 전 단계 TTP(전술, 기법, 절차)를 추적하는 ‘헌터 랜섬’ 엔진을 개발, 기업 보안상 허점을 선제적으로 점검할 필요성을 시사함.
• 글로벌 및 정부 기관 보안 동향 - 정부 기관 화재 이슈와 연계해 사칭 스미싱, 피싱 공격이 확산되고 있어, 정부 및 공공기관 역시 ‘긴급 보안 점검’을 받고 있음. 대통령 지시와 함께 모든 부처의 보안·안전 점검 결과 제출이 요구됨. - 국정원과 관련 기관들은 해외 마약운반 연루 경고 및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시스템 이전 등, 국가 차원의 보안 인프라 재정비에 집중.
• 주요 취약점 및 연구 결과 - 구글 Gemini AI 어시스턴트의 ‘Gemini Trifecta’ 취약점, Cisco ASA/FTD (CVE-2025-20333, CVE-2025-20362) 및 IOS SNMP 서브시스템 취약점 등 심각한 보안 결함들이 다수 보고됨. 또한 Red Hat OpenShift AI 서비스의 권한 상승 취약점 등, 조직 보안환경에서 예방 조치가 필요. - 최신 연구에서는 macOS에서 EV 코드 서명 인증서를 남용한 악성 캠페인, Linux 커널 우회 루트킷(FlipSwitch) 등 심도 있는 공격 기법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음.
• 오픈소스 및 커뮤니티 중심 보안 도구 - GitHub에서는 누출된 자격 증명 분석, eBPF 기반 네트워킹·모니터링, Gitleaks 등을 비롯해 NGINX, 개인 VPN 설정, SBOM(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목록) 분석 등 다양한 보안 도구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며, 개발자 및 보안 관리자들이 이를 활용해 정밀한 보안 분석 및 관제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음. - OWASP 치트시트와 같은 고부가가치 자료도 최신 보안 트렌드를 반영하여 제공되고 있음.
• 기타 산업/기업 보안 및 디지털 전환 동향 - LG CNS, 로이드케이, 시선AI, 아콘소프트·가온아이, 현대오토에버 등 주요 IT·보안 기업들이 AI와 피지컬 보안, 클라우드 보안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 사례와 솔루션을 공개함. - SK쉴더스는 모의 해킹과 공격표면 분석을 결합한 선제적 보안 점검 서비스를 출시, 기업의 보안 사각지대를 줄이는 방향으로 주목받고 있음. - 각종 국책 연구 및 협력 사업(예. KISA-나이프 아랍 안보과학대, 한국-중동 사이버보안 협력)과 디지털 주권, 데이터센터 투자 등도 보안 정책과 연계되어 있음. - 윈도우 10의 지원 종료 이후 1년간 보안 유지 프로그램 제공 및 보안 교육, 사이버보안 기초 교육 온라인 과정(카스퍼스키 발표) 등도 조직 내부 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정보임.
• 최신 위협과 대응 전략 - 주요 보안 연구에서는 악성 PyPI 패키지(SoopSocks), DNS 기반 명령 제어 캠페인(Detour Dog), 텍스트 메시지를 통한 랜섬웨어 유포 등 다각도의 위협이 포착됨. - 기업과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하드웨어 기반 메모리 암호화, SaaS 보안 가이드(예, 구글 Threat Intelligence 그룹의 Salesforce 보안 강화 가이드) 등을 통해 새로운 공격 벡터에 대응 중. - 사이버 공격이 점점 복잡해지는 가운데, AI와 자동화 기술을 통한 선제적 모니터링과 사고 대응 체계 구축이 필수적임.
보안관리 담당자로서는 위와 같은 다양한 위협 및 기술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AI 및 자동화 기반 보안 운영 체계를 도입하며, 정부 및 업계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보안 인프라 전반의 취약점을 선제적으로 점검해야 함. 최신 오픈소스 도구와 커뮤니티 제공 자료를 적극 활용하고, 명절 기간 등 특별시기에 증가하는 사회공학 공격과 랜섬웨어 위협에 대비하는 보안 교육 및 대응 매뉴얼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글로벌 보안 이슈와 취약점 발표에 맞춰 관련 패치 적용, 보안 점검 및 위협 인텔리전스 업데이트를 정기적으로 수행할 것을 권고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