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kr 날으는물고기·´″°³о♡

2025년 9월 8일 월요일

WhatsApp 0Day Docker Bug Salesforce Breach Fake CAPTCHAs Spyware AI보안 DDoS SAP취약점 국경간해킹

• Weekly 보안 이슈 종합 – WhatsApp 제로데이 취약점, Docker 결함, Salesforce 침해, 가짜 CAPTCHA, 스파이웨어 앱 등 다양한 최신 공격 기법과 해킹 도구가 보고되었음. 보안관리 담당자는 관련 취약점에 대한 패치와 보안 공지 확인, 사내 보안 교육 강화가 필요함.

• 오픈소스 공급망 위험 – ESLint 해킹 악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오픈소스 도구의 보안 검토와 신뢰할 수 있는 업데이트 적용, 의존성 관리 정책 재검토가 요구됨.

• 웹 애플리케이션 방어 강화 – 웹 애플리케이션 침투 테스트와 보안 점검의 중요성이 강조됨. 공격 벡터가 다양해진 상황에서 보안관리자는 정기 점검, 취약점 진단 및 모의해킹을 통한 대응체계 강화가 필요함.

• 삼성전자 및 기술혁신 관련 인증/수상 – 삼성전자가 TUV SUD ‘유럽 RED 사이버 보안 시험소’ 인증을 획득했고, 티앤디소프트 최성묵 대표가 중소기업 기술혁신대전 대통령 표창을 받음. 이는 국내외 보안 인증 및 혁신 기술 도입에 대한 긍정적 신호로, 보안 관련 기준 강화와 최신 인증 동향 파악이 도움이 됨.

• 오픈소스 분석 도구와 보안 프로젝트 –

  • Matomo와 같은 오픈소스 웹 분석 도구가 개인정보 보호를 내세우며 주목받고 있음.
  • GitHub 상에서는 유출된 자격증명 분석, 역공학 프레임워크, eBPF 기반 보안 모니터링, Gitleaks(코드 내 비밀 탐지), KeePassXC, 단일사인온+다중요소 인증 포털, 컨테이너 및 클라우드 취약점 분석 도구, 인터넷 트래픽 모니터링 도구, 해커 및 펜테스터를 위한 Awesome 리스트 등이 활발히 업데이트되고 있음.
    보안담당자는 최신 오픈소스 보안 도구를 면밀히 검토하고, 내부 보안 인프라에 통합할 수 있는지 평가할 필요가 있음.

• 기상 및 사회 이슈 – 세종시의 국지성 폭우 취약점 사례가 드러났으며, 정부는 금융·의료 전문 AI 모델 개발 프로젝트를 공모 중임. 기상 및 사회적 이슈를 악용한 스미싱 공격, 휴대폰 소액결제 피해 사례 등도 보고되었으므로,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신규 위협 유형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함.

• 사이버 보안 행사 및 캠페인 –

  • 광복 80주년 기념 여의도 사이버 보안 마라톤이 개최되어 5천여 명의 참여와 관심을 받음.
  • 한국정보기술연구원의 ‘제17회 사이버 영토 수호 마라톤 대회’ 및 KCSCON 2025와 같은 주요 보안 컨퍼런스가 예정되어 있어 최신 보안 트렌드와 기술 동향을 파악할 기회가 됨.

• 개인정보 및 AI 시대 이슈 – 개인정보보호위원이 ‘제47차 GPA 총회’를 통해 AI 시대 개인정보 이슈를 글로벌 차원에서 논의함. 한편, AI 보안 분야에서는 그록AI를 악용한 ‘그로킹’과 딥페이크 등 새로운 위협이 부각되고 있어, AI 관련 보안 정책 수립과 위험 평가가 필요함.

• 기업 해킹 및 내부 위험 – 롯데카드 해킹 사고로 인한 공식 사과, Salesloft의 OAuth 토큰 탈취 사건 등 기업 대상을 노린 해킹 사건이 발생하고 있음. 보안담당자는 인증 토큰 관리, 접근 제어 및 내부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해야 함.

• 클라우드 보안 – 클라우드 내비게이터 기사에서 최소 권한 원칙과 보안 태세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됨. 클라우드 환경에서 세밀한 접근 통제와 지속적인 보안 평가가 필요하며, 클라우드 보안 정책과 도구를 최신 상태로 유지해야 함.

• 데이터 유출 및 모니터링 – 재난 이전 데이터 유출 탐지 기술과 SIEM 경보의 한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짐. ‘Detecting Data Leaks Before Disaster’와 ‘The High Cost of Useless Alerts: Why SIEMs No Longer Make Sense’ 같은 이슈를 통해 불필요한 경보를 줄이고, 효과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야 함.

• 주요 취약점 및 악성코드 –

  • SAP S/4HANA의 주요 취약점(CVE-2025-42957)이 실시간으로 악용됨.
  • VirusTotal에서 발견한 44개의 감지되지 않은 SVG 파일을 통한 Base64 인코딩 피싱 페이지, APT28의 NATO 대상 Outlook 백도어, X의 Grok AI를 이용한 악성 광고 우회 및 악성코드 확산, HexStrike AI를 이용한 Citrix 취약점 공격 등 복합적 위협이 포착됨.
  • Cloudflare가 11.5 Tbps DDoS 공격을 차단했고, Lazarus Group 등 해커 그룹이 PondRAT, ThemeForestRAT, RemotePE 등 다양한 악성코드를 확장 중임.
  • Android 드로퍼가 기존의 뱅킹 트로이 목마 외에도 SMS 탈취 및 스파이웨어를 탑재해 배포되고 있음.
    보안관리 담당자는 각종 취약점에 대한 신속한 패치와 위협 인텔리전스 업데이트, DDoS 대응 및 악성코드 탐지 기술 도입이 필수적임.

추가 최신 정보
• 오픈소스 도구의 취약점과 관련한 최신 보안 리서치 동향, Docker 및 ESLint 관련 공식 보안 권고사항을 모니터링할 것.
• AI와 결합된 보안 도구 및 위협 분석 솔루션이 주목받고 있으므로, 사이버보안 관련 벤더와 협력하여 최신 공격 기법에 대응할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클라우드와 기업 인증 관련 국제 규격, 예를 들어 TUV SUD나 RED 인증 등 유럽 인증 동향을 주시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공급업체와 협력체계를 강화할 것.

모든 내용은 최신 보안 위협, 기술 발전, 그리고 국제 및 국내 인증/행사 동향을 포괄하므로, 보안관리 담당자는 전반적 보안 체계 점검과 최신 기술, 도구, 정책 업데이트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