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kr 날으는물고기·´″°³о♡

2025년 8월 3일 일요일

글로벌 사이버 위협 및 보안 도구 동향 요약

● Chinese-speaking 위협 행위자들이 PlayPraetor Remote Access Trojan(RAT)을 이용해 전 세계 11,000개 이상의 Android 기기를 감염시킨 사례가 보고됨. 모바일 보안 강화와 MaaS 형태의 악성코드 유통 경로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함.

● Check Point Research는 중국 APT 그룹과 연계된 Storm-2603 위협 행위자의 작전을 분석함. 보안관리 담당자는 글로벌 APT 행위 동향과 최신 TTP(전술, 기법, 절차)에 주목하여 위협 인텔리전스 시스템을 보완해야 함.

● Sonatype의 자동화 검출 시스템은 악명 높은 Lazarus Group이 오픈소스 생태계 전역에 지속적인 침투를 시도하고 있음을 밝혀냈음. 공급망 보안 강화와 오픈소스 컴포넌트 모니터링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 LockBit 랜섬웨어 운영자들이 탐지를 회피하고 피해를 극대화하기 위해 TTP를 개선한 사례가 보고됨. 신속한 위협 탐지와 함께 위협 정보 공유, 보안 업데이트, 이상 행위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 랜섬웨어 시장에서는 RaaS 그룹들(예: RansomHub, Babuk-Bjorka, FunkSec, BianLian 등)의 급작스런 활동 중단이 확인됨. 이로 인해 RaaS 생태계의 변화와 신생 그룹(예: SafePay)의 부상에 주의해야 하며, 공격자의 전략 변화에 따른 대응 체계 재점검이 요구됨.

● SafePay 랜섬웨어 조직은 2024년 9월 초기 탐지 이후 빠르게 성장하며 사이버 extortion 위협을 확대하고 있음. 조직은 이와 같은 신생 공격자에 대한 조기 대응 및 모니터링이 필요함.

● Linux 관리자들을 위한 디지털 풋프린팅 이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클라우드 환경의 Linux 보안 강화 방안도 재조명되고 있음. 실시간 모니터링과 취약점 스캐닝 도구 도입이 필요함.

● Microsoft 엣지 브라우저의 보안 패치가 완료되어 위험한 취약점이 차단되었음. 정기적인 패치와 업데이트를 통해 웹 브라우저 보안 유지에 힘써야 함.

● 해커들이 ATM 네트워크에 라즈베리파이를 연결해 현금 인출 시도를 벌인 사례가 보고됨. 금융 인프라의 물리적·네트워크 보안 점검 및 비상 대응 체계 구비가 필수적임.

● GitHub 기반 보안 도구들이 주목받고 있음.   ○ Nuclei: YAML 기반 DSL로 제작된 빠르고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취약점 스캐너로, 애플리케이션, API, 네트워크, 클라우드 설정 등 다양한 환경의 취약점을 탐지.   ○ Single Sign-On Multi-Factor 포털: OpenID Certified™ 인증을 획득해 SSO와 다중 인증을 한층 강화함.   ○ IPsec/L2TP, Cisco IPsec 및 IKEv2 기반의 VPN 서버 구축 스크립트: 자체 VPN 서버 인프라 구축에 유용.   ○ 컨테이너, Kubernetes, 코드 저장소, 클라우드의 취약점 및 비구성 오류를 탐지하는 도구 모음과 호스트 파일 통합, 인터넷 트래픽 모니터링, TLS-capable 인터셉팅 프록시, 자동 HTTPS를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웹 서버 등 다양한 오픈소스 보안 도구와 정보가 활발히 공유되고 있음.   ○ OWASP Cheat Sheet Series와 해커, 펜테스터, 보안 연구자를 위한 Awesome List 역시 유용한 참고 자료로 활용 가능함.

● 저시정·저조도 CCTV 제품 및 솔루션 리포트는 어둠이나 안개 속에서도 명확한 영상 제공 기술을 다루며, 공공안전 및 감시 시스템 관련 보안 강화에 참고할 만함.

● 우크라이나 해커가 러시아 드론 공급사 ‘Gaskar Group’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한 사례가 보도됨. 지정학적 갈등과 연계한 사이버 공격 위협에 대비해야 하며, 관련 경계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지도 반출 및 관련 자료 관리에 관해 지속되는 갈등과 절충안 모색 기사가 공개됨. 민감 정보 관리와 내부 보안 정책 강화에도 주목해야 함.

● Arctic Wolf에 따르면 2025년 7월 말, SonicWall 방화벽을 타깃으로 한 랜섬웨어 공격이 크게 증가했음. 방화벽 설정과 관련 벤더 보안 권고사항을 재검토하고, 외부 위협 탐지 시스템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지니언스는 해킹 공격 급증 속에서 상반기 매출 200억 원 돌파를 기록하며 보안 예산 확충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음. 보안 예산 및 투자 확대 계획 수립 시 참고할 만함.

● 보안 연구진은 주요 안티바이러스 엔진을 회피하는 Linux 백도어 'Plague'를 다수의 샘플 분석 후 발견함. Linux 시스템에 대한 심층 분석과 보안 솔루션 점검이 요구됨.

● Qilin 랜섬웨어 조직 내부의 보안 침해 사건을 통해 어필리에이트 네트워크 구조와 운영 방식에 관한 전례 없는 정보가 공개됨. 랜섬웨어 그룹들의 조직적 특징과 협력망 분석을 통한 대응 전략 마련이 필요함.

● AI와 보안을 결합한 사례로, 펑크섹 랜섬웨어가 무료 복호화 도구를 공개하며 위협 행위를 무력화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여전히 심각한 보안 위협으로 남아 있음. AI 기술의 악용 가능성과 이를 방어하기 위한 AI 기반 보안 솔루션 개발도 주목할 사안임.

● IP전략연구소의 기사에서는 DJI 등 기업의 특허 전략과 IP 관리가 강조되며, 지식재산권 경쟁이 기술 혁신과 보안 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되어 있음.

최근 사이버 보안 동향은 위협 행위자들의 전술 변화, 공급망 및 오픈소스 생태계 침투, 랜섬웨어 조직의 진화 등으로 요약되며, 보안관리 담당자들은 위의 다양한 위협 사례와 최신 보안 도구, 기술 동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체계적이며 다층적인 보안 전략을 수립해야 함. 추가적으로 GitHub 및 보안 리포트, 각종 오픈소스 도구들의 최신 업데이트와 자료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취약점 스캐닝, 네트워크 모니터링, AI 기반 위협 탐지 기술 등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