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nicWall VPN 클라이언트 변조 사례 및 북한 주도의 공급망 공격 캠페인이 확인되어 공급망 보안과 VPN 애플리케이션 무결성 검증의 중요성이 대두됨
• Brother 제조 멀티펑션 프린터 등 산업용 장비에 대한 제로데이 취약점(총 8건)과 IBM i, HPE OneView, Cisco ISE 등 주요 시스템·플랫폼의 치명적 취약점이 다수 보고되어 신속한 패치 및 취약점 관리가 필요함
• Android ‘Wedding Invitation’ 피싱, Prompt Injection 기법을 이용한 AI 보조 악성코드, 이란 APT(Educated Manticore)의 스피어피싱, Proofpoint가 발견한 Microsoft Entra ID 타깃 ATO 캠페인 등 정교한 사회공학 공격 및 악성코드 변종 기법이 증가하고 있어 사용자 교육과 탐지 기술의 고도화가 요구됨
• 랜섬웨어 공격 사례로 예스24가 해커에게 비트코인 지급으로 문제를 해결한 사례, 독일 전통 기업의 파산 위기, 제조업체 OT 보안 침해로 500만 달러 이상의 피해 사례 등 랜섬웨어 위협이 전 세계적이며, 체크멀 등 보안 솔루션 및 파트너 확보가 시급함
• INTERPOL의 아프리카 사이버 위협 평가 보고서와 남부발전의 전력시설 사이버 보안 총력 대응 등 주요 기관 및 정부의 사이버 범죄 대응 활동과 CISA의 차량용 ControlID iDSecure 및 CVE-2024-0769에 대한 긴급 경고가 각광됨
• 구글은 검색 광고 의존 취약점으로 20년 만의 위기를 맞았으며, 애플 및 구글 공식 앱스토어에서도 변종 앱을 통한 암호화폐 정보 탈취 사례가 발견되어 광고 및 앱 유통 관련 보안 점검이 필요함
• 중국 계열 Hive0154, BreachForums 관련 주요 피해자 검거, 그리고 Kai West 등 국제 공조 수사 사례를 통해 범죄자 추적 및 법 집행 강화의 중요성이 대두됨
• Microsoft Teams의 서드파티 앱 관리 업데이트, Cisco의 ISE 취약점 긴급 패치, 클라우드 보안 챌린지 및 Wiz의 CNAPP 리더 인정을 비롯해 기업용 클라우드·협업 툴 보안 업데이트와 관련 기술 발전이 진행 중임
• GitHub 상 다수의 오픈소스 보안 도구들이 소개됨 – 예를 들어, Nuclei 취약점 스캐너, OpenZeppelin 스마트컨트랙트 라이브러리, IPsec VPN 서버 구축 스크립트, Windows 사용자 모드 디버거 등은 보안 진단 및 리버스 엔지니어링에 유용하며 최신 보안 도구 도입을 고려할 만함
• 국내에서는 랜섬웨어 레질리언스 컨퍼런스, 사이버보안 기술 전략 및 심포지엄, 국방 AI 기술 워크숍, 그리고 ‘BoB 14기’ 등 사이버 보안 인식 제고와 전문인력 양성, 기업·공공기관 대상 보안 역량 강화 행사가 활발히 개최되고 있음
• 개인정보 보호 위원회 및 방송통신 위원회의 제재 및 공표, SKT 해킹 사건 후 모의해킹 수요 증가,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의 보안 역량 강화 노력 등 조직별 내부 통제 및 외부 규제 대응 역시 중요한 이슈로 대두됨
• 추가로, AI 도입에 따른 IT 일자리 변화, 합성 데이터 활용 비즈니스 모델, 윤리적 AI 보조금 지원 등 디지털 전환과 AI 기술이 보안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주목하며, 사이버 보안 관리자는 기술 변화에 따른 조직 내 대응 전략 및 인력 재교육을 준비해야 함
각 분야별 최신 위협 동향과 기술 업데이트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신속한 패치 적용, 사용자 교육 강화, 오픈소스 보안 도구 및 협업 채널 활용 등을 통해 전반적인 보안 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