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kr 날으는물고기·´″°³о♡

2025년 3월 23일 일요일

2025-03-21 보안 AI, 제로데이 취약점, 정책·행사 동향 종합

[요약 개요]
어제(2025-03-21) 보안 업계에선 인공지능과 오픈소스, 제로데이 취약점, 그리고 정책·행사 관련 다양한 소식들이 속속 보도되었습니다. 보안관리 담당자로서는 신기술 도입 및 최신 위협 동향, 그리고 정부·산업계의 정책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 주요 내용을 세부적으로 정리합니다.

─────────────────────────────

  1. 신기술·신제품 발표 및 솔루션 업데이트
    ───────────────────────────── • 슈프리마 ‘바이오스타 X’ (2025년 03월 20일)
    – AI 알고리즘을 강화하여 생체인증 성능이 크게 개선된 제품으로, 물리적 신원확인과 보안 인증을 함께 제공.
    – 보안 시스템 구축 시 생체 인증 솔루션 적용을 검토 필요.

• Kali Linux 2025.1 (2025-03-21)
– 윤리적 해킹과 펜테스트를 위한 최신 보안 도구 세트와 업데이트를 포함하여, 보안 실무자가 최신 취약점 분석 및 모의해킹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설계됨.
– 내부 보안 점검 및 교육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음.

• 원우이엔지 - 신규 AF 줌 모듈 (2025년 03월 21일)
– 영상 회의 및 원격 협업 환경에 최적화된 보안 기능이 포함된 모듈로, 원격 업무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 차단에 기여할 전망.

• 이노뎁, ‘소통형’ 부스로 대규모 업데이트 안내 (2025년 03월 21일)
– 사용자와 실시간 소통하며 최신 기술 및 업데이트 내용을 소개, 기업 고객 대상 보안 솔루션 설명 강화.
– 최신 업데이트 사항과 취약점 패치 동향에 관심을 기울일 것.

• 버카다 - 물리·사이버 통합 보안 시스템 (2025년 03월 21일)
– 물리적 환경과 IT 네트워크 보안을 하나로 융합한 시스템을 제시, 경계 없는 보안 환경 구현을 지향.
– 보안 인프라 전반의 통합적 관리 필요성을 시사.

• 윈스, AI 기반 무인 보안 관제 솔루션 (2025-03-22)
– 인공지능을 통한 자동 모니터링 및 위협 탐지 기능으로, 인력 부담 경감 및 빠른 대응 체계 마련 가능.
– 실시간 사이버 공격 및 이상 징후 감지에 활용할 만함.

• 트렌드마이크로, 사이버 보안 특화 AI 모델 오픈소스 공개 (2025-03-21)
– 최신 위협 분석 및 대응을 위한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면서, 보안 커뮤니티와의 협력 강화 및 모니터링 기술 발전에 기여.
– 관련 소스 코드를 통한 내부 커스터마이징 고려 가능.

─────────────────────────────

  1. 행사, 전시 및 산업·연구 동향
    ───────────────────────────── • 여기는 킨텍스 관련 전시 소식
    – eGISEC 2025 및 SECON 2025 참가 기업 관련 보도 (2025년 03월 21일)
    · 보안 상장기업들의 주가 변동과 투자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전시장에서 신기술 및 전략 발표 주목.
    – IP코드 부스에서 특허 상담 진행 (2025년 03월 21일)
    · 기술 특허 및 라이선스 관련 상담이 이루어져, 기술 보호 및 지식 재산권 확보에 대한 관심을 반영.
    – 이노뎁과 ‘확장현실’ 시대 관련 전시
    · ‘확장현실(XR)’ 기술 적용과 B2B 시장 확대를 주제로, 보안과 ICT 융합 솔루션 소개.

• 한국항공보안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2025년 03월 21일)
– 보안 연구와 항공 보안 관련 최신 이슈 및 기술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로, 관련 논문 및 기술 발표가 이루어짐.

─────────────────────────────

  1. 정책·규제 및 정부 지원
    ───────────────────────────── • 류종우 의원, 대구시 출자·출연 기관 사이버보안 관리 근거 마련 (2025-03-22)
    – 공공기관의 사이버보안 관리 강화 및 법적 근거 마련 추진, 기관 보안 프로세스 점검 및 개선 필요성이 대두됨.
    – 보안관리 담당자는 공공 및 준정부기관 협력체계 강화에 주목할 것.

• 방송통신위원회 관련 공고 및 유의사항 안내
– “통신서비스 가입 유의사항” (2025-03-21)
· 가입 시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주의사항 제공.
– 신규 본인확인기관 지정심사 계획 공고 (2025-03-20)
· 통신 및 본인확인 기술의 보안성 평가 강화.
– 정보처리 거부·제한 명령 관련 공고 (2025-03-21)
· 정보통신망법에 따른 명령 이행 상황 점검, 내부 정책 점검 필수.

• 암호모듈검증 제출물 개발 컨설팅 참가기업 모집 (2025-03-21)
– 암호모듈의 안전성 점검 및 인증 취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으로, 국내 보안 제품의 신뢰성 제고에 도움.

• 중소기업 45개사 방송광고 제작 지원 (2025-03-21)
– 보안과 직접적 연관보다는 정부 지원 정책에 따른 미디어 활용 지원 정책이지만, 정보 전달 및 브랜드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1. 글로벌 취약점 및 보안 위협 동향
    ───────────────────────────── • Unpatched Windows Zero-Day 취약점
    – 11개국가 지원 공격 그룹이 활용 중인 제로데이 취약점으로, 공격 노출 위험 증가.
    – 신속한 보안 패치와 취약점 관리 체계 마련 필수.

• Apache Tomcat 취약점
– 공개 30시간 만에 악용된 사례로, 오픈소스 서버 플랫폼의 취약점에 대한 위협이 지속됨.
– 취약점 공개 시점에 즉각적인 업데이트 및 보안 패치 적용 필요.

• “눈앞에 다가온 AGI 시대···통제불능 AI 막아라” (2025-03-21)
– 인공지능 발전과 함께 발생할 수 있는 통제 불능 상황에 대한 경고 메시지, AI와 보안의 상호보완성 강화 요망.
–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이 보안 취약점을 악용할 가능성에 대한 내부 모니터링 강화 필요.

• “AI가 보안이고, 보안이 AI인 세상” (2025년 03월 21일)
– AI 기술을 보안 솔루션 전반에 통합하는 추세와, 보안 위협 대응에 AI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시장 변화 강조.

─────────────────────────────

  1. 기업 경영 및 시장 동향
    ───────────────────────────── • 큐브리드 – 오픈소스 DBMS로 국산 경쟁력 강화 (2025-03-21)
    – 오픈소스 기반 데이터베이스 기술을 통해 국산 기술 개발과 경쟁력 확보를 추진, 보안 관리 측면에서도 자체 개발 및 커스터마이징 가능성이 높아짐.

• LG CNS – 작년 역대 최대 실적 기록 (2025-03-21)
– 보안 및 AX 전문기업으로 도약 중이며, 기업 내부 보안 인프라 강화 및 클라우드, ICT 융합 솔루션에 지속적 투자.

• 한화시스템 – 6G 우주 인터넷 개발 착수 (2025-03-21)
– ETRI와 협력하여 미래 통신 환경에 대비, 보안 관점에서 우주·6G 환경의 위협 분석과 대응 방안 마련 필요.

• SFG – 프로모션 이벤트 진행 (2025-03-21)
– 보안 관련 직접적 내용은 아니지만, 프로모션 및 기업 마케팅 전략 전개 소식.

• 캐럿 – AI 크리에이터 프로그램 4기 참가자 모집 (2025-03-21)
– AI 창작 기술과 보안의 융합 가능성 모색, 데이터 보호 및 저작권 관리 체계 강화 요구.

• 심플랫폼 – 코스닥 입성 후 산업용 AIoT 시장 공략 (2025-03-21)
– 산업용 사물인터넷과 AI 기술을 통해 보안 솔루션 개발에 집중, 실시간 모니터링 및 위협 탐지 기술 적용.

─────────────────────────────
[추가 최신 정보 및 관리자가 주목해야 할 핵심 사항]
– AI와 보안의 결합이 가속화됨에 따라, AI 기반 위협 탐지 및 무인 관제 솔루션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음.
– 오픈소스 툴 및 플랫폼 (Kali Linux, 트렌드마이크로 AI 모델 등) 사용 시, 정기 패치와 업데이트, 내부 커스터마이징을 통한 보안 강화 전략 마련 권장.
– 글로벌 제로데이 및 공개 취약점에 대한 신속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제3자 보안 모니터링 시스템과 협력하여 실시간 위협 대응 역량을 높일 것.
– 공공기관 및 주요 기업의 보안 정책 변화(본인확인기관 지정, 암호모듈검증 등)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향후 보안 기준 및 규제 대응 전략에 반영할 것.
– 전시회와 학술대회를 통한 최신 기술 트렌드 및 보안 솔루션 동향을 파악, 내부 R&D 및 협력 네트워크 확대에 활용할 수 있음.

─────────────────────────────
[관련 URL 및 자료]
각 기사에 언급된 내용은 ‘여기는 킨텍스’, [bnTV], ‘사람과 보안’, NGSV 솔루션 리뷰 등 여러 보안 전문 미디어와 정부, 기업 공고를 통해 공개되었으며, 해당 URL들을 참고하여 보다 세부적인 기술 사양, 정책 문서, 그리고 행사 일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결론
보안관리 담당자로서는 이번 종합 보안 소식을 통해 AI 융합 보안 기술의 발전과 동시에, 최신 취약점(Windows 제로데이, Apache Tomcat) 공격 동향, 그리고 정부의 보안 규제 강화 및 공공기관 관리 체계 마련 추세를 면밀히 관찰하고, 내부 보안 강화 전략 및 즉각적인 패치 관리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주요 전시회와 학술대회를 통한 최신 기술 트렌드 파악과 오픈소스 솔루션 활용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